차량에서의 구조

 

현장통제

가능한 한 신속히 현장통제를 구축합니다.

안쪽 작업반경은 5m의 상상적인 서클로, 구조대원과 의료대원만 진입가능 합니다.

바깥쪽 작업 서클은 교통차단 테이프(약 반경 10m)를 쳐서 구축하고 구조대원이 대기하고, 장비와 잔해물을

   모아 두는 곳으로 사용됩니다.

기타 소방원, 경찰 및 구경꾼은 교통차단 테이프 바깥에 있어야 합니다

 

상황판단

 

일차적 상황판단은 현장에 가는 도중에 응답 시 받은 정보로 합니다.

현장 도착 시 외관으로 피해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자동차와 그 주변을 안정화시킵니다.

  (차량의 수와 종류, 부상자의 수와 부상정도, 현재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추가적 위험요소 등)

 

접근시도

 

차량을 안전하게 고정시킵니다.(바퀴와 차체에 부목을 대어서 고정)

시동이 켜져 있다면 시동을 끄고 전류가 흐르는지를 확인하고, 핸드브레이크가 열려 있다면 핸드브레이크도

   잠급니다.

차량의 문이 열린다면 문을 열고 피해자에게 접근합니다.

문이 열리지 않으면 깨어진 앞 유리, 창문이 통해 피해자에게 접근하고, 불가능시 차량을 전개 합니다

 

접근

 

피해자에게 접근하면 먼저 환자의 상태를 살핍니다.(의식이 있다면 피해자에게 아픈 곳을 물어보고, 작업 진

   행시 작업의 진행과정을 설명하여 피해자를 안심시킵니다.)

피해자의 경추()을 확실하게 고정시킵니다.(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절대로 놓거나 움직여서는 안 됩니다.)

피해자의 상태가 안정되고 나면 피해자의 구출 계획에 뒤따를 필요한 공간을 만듭니다. (의자를 뒤로 젖힌다

   든지, 차량 지붕의 전개 등)

피해자의 신체중 일부가 다른 위험요소에 노출될 곳이 있는지를 확인 합니다

 

구출

 

공간이 확보되고, 피해자의 대한 처치가 완료되면 피해자에게 긴 척추판을 갖다 댑니다.

피해자가 다치지 않게 조심하면서 긴 척추판에 피해자를 눕힙니다.

피해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척추판에 고정시킵니다.

고정이 완료되면 피해자를 구급차로 이동합니다.

어떤 부상자라도 구급차가 올 때까지 옮겨져서는 안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피해자나 구조대원이 생명이 위

   험한 경우엔 무시될 수 있습니다. 화재, 가연성 기체나 액체, 절벽에서 차량의 요동, 혹은 다른 직접적인 위

   험으로 상황이 위급할 때)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진 진도계급  (0) 2017.04.03
재난관리 비상연락망  (0) 2017.03.01
구조 요청시 꼭 알려야 할 정보  (0) 2017.03.01
소화기사용법  (0) 2017.03.01
심폐소생술  (0) 2017.03.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