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빙기 안전점검방법
⇢ 해빙기란?
겨울철 얼어있던 땅이 봄기운에 녹기 시작하면서 머금고 있는 수분양이 증가하여 공사장, 축대, 웅벽 등이 약해지는 시기
[점검사항]
◦ 지반 침하로 인한 굴곡 등 이상 징후 있는지 주의합시다.
◦ 지하굴착 주변에 추락.접근금지 표지판, 안전휀스 등 안전시설 설치여부 확인합시다.
◦ 토사가 흘러 내릴 위험은 없는지 확인합시다.
◦ 낙석(들뜬 암석)의 우려가 없는지 확인합시다.
◦ 절개지에 접한 건물 내.외벽에 균열은 없는지 확인합시다.
◦ 낙석방지를 위한 안전망이 훼손 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합시다.
◦ 위험지역 안내 표지판은 설치되었는지 확인합시다.
◦ 노후건축물.축대.옹벽 주변 점검합시다.
◦ 주변 건축물이 균열이나 지반침하로 기울어져 있는지 점검합시다.
◦ 집 주위의 배수로가 토사 퇴적 등으로 막혀 있는지 점검합시다.
◦ 지반 침하나 배수 불량으로 무너질 위험은 없는지 점검합시다
불청객 황사 대처
⇢ 황사란?
몽골의 고비사막에서 형성되어 봄에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황토먼지이며, 평상시 먼지 농도보다 4~5배 높다. 황사는 사람의 폐 속으로 들어가 기침, 가래, 염증을 일으키기도 하며 눈병이나 피부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 점검합시다.
◦ 외출할 때 마스크는 기본, 매일 세탁 후 사용합시다.
◦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 실외활동 자제합시다.
◦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등 충분히 세척 후 섭취합시다.
◦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외출 할 때 긴소매 옷 착용합시다.
◦ 소금물로 입안을 헹궈 유해 물질 제거하고, 살균 효과를 냅시다.
◦ 구석구석 집안 청소합시다.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과 얼굴을 씻읍시다.
다중이용시설 안전하게 이용
⇢ 다중이용시설이란?
다중이용시설은 백화점, 영화관, 터미널, 찜질방, 유흥업소, 산후조리원, 고시원 등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로서 방심할 경우 작은 화재나 사고에도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비상구(2개 이상)와 계단의 위치 등을 미리 알아둡시다.
◦ 소화기, 소화장비 사용요령 평소 숙지합시다.
◦ 화재가 발생하면 119에 신고하고, 젖은 수건 등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낮은 자세로 신속히 대피
◦ 소방·방화시설 완비된 업소이용합시다.
◦ 비상구로 통하는 통로 장애가 없는지 확인합시다.
*화재 등 재난 발생시 비상구를 확인하고 침착하게 대피합시다.
위급상황시 행동요령(3C)
◦ 1단계 : 위급상황을 인식하고 어떻게 행동할 지를 결정하는 것(Check)
◦ 2단계 : 도움을 요청하는 것(Call)
◦ 3단계 : 응급의료기관에 인계할 때까지 적절한 처치를 하는 것(Care)
구조 요청시 꼭 알려야 할 정보
◦ 응급 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장소
◦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 부상자의 상태 정도
◦ 전화 거는 사람의 이름, 연락처
◦ 얼마나 많은 사람이 다쳤는지
◦ 응급처치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부상자 조사와 응급처치 요령]
①의식확인 ②호흡확인 ③맥박확인 ④출혈확인 ⑤얼굴색 ⑥체온·피부상태확인 ⑦골절확인 ⑧구토 등 주변상황 확인 ⑨응급처치 ⑩기도개방 ⑪구조호흡 ⑫심폐소생수 ⑬충격예방처치 ⑭지혈 ⑮상처처치·골절처치 |
유행성 출혈열 등 예방 안전수칙
□ 예방
◦ 야외활동 시 반드시 긴 옷을 입고 장화, 장갑 등 보호장구를 착용 합니다.
◦ 작업 후에는 반드시 목욕하고 입은 옷은 세탁 합니다.
◦ 잔디나 풀밭에 앉거나 눕지 않습니다.
◦ 성묘 및 야외활동 후 1∼3주 사이에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서둘러 의사를 찾아 치료를 받아
야 합니다.
◦ 야간에 도로변에 가급적 주정차를 삼가고 주정차를 할 경우에는 반드시 비상등을 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