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빙기 안전점검방법

 

해빙기란?

 

겨울철 얼어있던 땅이 봄기운에 녹기 시작하면서 머금고 있는 수분양이 증가하여 공사장, 축대, 웅벽 등이 약해지는 시기

 

[점검사항]

지반 침하로 인한 굴곡 등 이상 징후 있는지 주의합시다.

지하굴착 주변에 추락.접근금지 표지판, 안전휀스 등 안전시설 설치여부 확인합시다.

토사가 흘러 내릴 위험은 없는지 확인합시다.

낙석(들뜬 암석)의 우려가 없는지 확인합시다.

절개지에 접한 건물 내.외벽에 균열은 없는지 확인합시다.

낙석방지를 위한 안전망이 훼손 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합시다.

위험지역 안내 표지판은 설치되었는지 확인합시다.

노후건축물.축대.옹벽 주변 점검합시다.

주변 건축물이 균열이나 지반침하로 기울어져 있는지 점검합시다.

집 주위의 배수로가 토사 퇴적 등으로 막혀 있는지 점검합시다.

지반 침하나 배수 불량으로 무너질 위험은 없는지 점검합시다

 

 

불청객 황사 대처

 

황사란?

 

몽골의 고비사막에서 형성되어 봄에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황토먼지이며, 평상시 먼지 농도보다 4~5배 높다. 황사는 사람의 폐 속으로 들어가 기침, 가래, 염증을 일으키기도 하며 눈병이나 피부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 점검합시다.

외출할 때 마스크는 기본, 매일 세탁 후 사용합시다.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 실외활동 자제합시다.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등 충분히 세척 후 섭취합시다.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외출 할 때 긴소매 옷 착용합시다.

소금물로 입안을 헹궈 유해 물질 제거하고, 살균 효과를 냅시다.

구석구석 집안 청소합시다.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과 얼굴을 씻읍시다.



 다중이용시설 안전하게 이용

 

다중이용시설이란?

 

다중이용시설은 백화점, 영화관, 터미널, 찜질방, 유흥업소, 산후조리원, 고시원 등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로서 방심할 경우 작은 화재나 사고에도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상구(2개 이상)와 계단의 위치 등을 미리 알아둡시다.

소화기, 소화장비 사용요령 평소 숙지합시다.

화재가 발생하면 119에 신고하고, 젖은 수건 등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낮은 자세로 신속히 대피

소방·방화시설 완비된 업소이용합시다.

비상구로 통하는 통로 장애가 없는지 확인합시다.

*화재 등 재난 발생시 비상구를 확인하고 침착하게 대피합시다.

 

 

위급상황시 행동요령(3C)

 

1단계 : 위급상황을 인식하고 어떻게 행동할 지를 결정하는 것(Check)

2단계 : 도움을 요청하는 것(Call)

3단계 : 응급의료기관에 인계할 때까지 적절한 처치를 하는 것(Care)

 

 

구조 요청시 꼭 알려야 할 정보

 

응급 상황이 발생한 정확한 장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부상자의 상태 정도

전화 거는 사람의 이름, 연락처

얼마나 많은 사람이 다쳤는지

응급처치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부상자 조사와 응급처치 요령]

 

의식확인 호흡확인 맥박확인 출혈확인 얼굴색 체온·피부상태확인 골절확인 구토 등 주변상황 확인 응급처치 기도개방 구조호흡 심폐소생수 충격예방처치 지혈 상처처치·골절처치

 

 

유행성 출혈열 등 예방 안전수칙

 

예방

야외활동 시 반드시 긴 옷을 입고 장화, 장갑 등 보호장구를 착용 합니다.

작업 후에는 반드시 목욕하고 입은 옷은 세탁 합니다.

잔디나 풀밭에 앉거나 눕지 않습니다.

성묘 및 야외활동 후 13주 사이에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서둘러 의사를 찾아 치료를 받아

   야 합니다.

야간에 도로변에 가급적 주정차를 삼가고 주정차를 할 경우에는 반드시 비상등을 켭니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난관리 비상연락망  (0) 2017.03.01
차량에서의 구조  (0) 2017.03.01
소화기사용법  (0) 2017.03.01
심폐소생술  (0) 2017.03.01
교통사고  (0) 2017.03.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