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해오손지역 검토


1) 지구별의 염해오손지역

(1) 일반지역

해안에서 떨어진 산간, 평야 등에서 특히 염해에 대하여 고려 할 필요가 없는 지역.


(2) 염해오손지역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지형, 풍향, 태풍 습래전도 및 송전선의 염해사고 등으로 보아 상당량의 염해가 예상되는 지역


(3) 염해오손등급 구분

일본의 경우에는 19619월의 제2실호 태풍이 지금까지 가장 광범위한 피해를 가져오게 한 것으로 이 조사결과를 해안선에서 내륙으로 향한 거리로 정리하여 A, B, C, D, E5구분 한 것이 전기협동 연구회의 염해 오손구분의 추정치이며 일반적으로 이수치를 표준적인 염해 오손구분으로서 절연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오 손 구 분

A

B

C

D

E

상정최대등가 염분부착량()

50

100

200

400

해수의 물보라가 직접

받았을 경우를 대상으

로 하여 3.0% 염수,

0.3/min(수평분) 주수

를 상징

최대염분부착

범도(/)

현수

0.063

0.125

0.25

0.5

장간

0.03

0.06

0.12

0.35

해안

으로

부터

개략

거리

2

태풍에

대하여

일반

지역

5~10

1~10

0~3

해안에 지형구조에 따라

0~300 또는 0~500m

계절풍에

대하여

일반

지역

1~5

0.5~2

0~1

해안에 지형구조에 따라

0~300

금회

태풍에

대하여

50이상

(일반)

10~15

3~10

0~3

해안에 지형구조에 따라

0~300 또는 0~500m


또한, 한국전력공사 설계기준-3900 배전선 내 오손기준(잠정)의 염진오손등급 구분에 해안으로부터 설계점까지의 직선거리에 따라 염 진해 오손등급 B급 이상 지역의 내 오손 설계에 적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오손 구분

해 안 별

B

C

D

동 해

3.5 초과 ~ 9

1 초과 ~ 3.5

0 ~ 1

서 해

3.0 초과 ~ 12

1 초과 ~ 3.0

0 ~ 1

남 해

0.5 초과 ~ 5

0 초과 ~ 0.5

 

제 주 도

2.0 초과 ~ 8

1 초과 ~ 2.0

0 ~ 1


2) 염해오손지역 결과

본 00선(00~00) 구간은 선로가 해안에서 대략 5.5이상(B등급)떨어져 있으므로 급전선은 염해에 강한 경동연선을 사용하고 애자는 누설길이가 큰 고분자 현수애자 T-s를 사용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속철도의 타당성  (0) 2017.04.15
전기방식 비교 검토  (0) 2017.03.02
구조물 설계에 반영하는 기상조건  (0) 2017.03.02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  (0) 2017.03.02
전차선로 내진설계  (0) 2017.03.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