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의 타당성

 

 

1. 서론

 

자동차 보유 대수의 증가는 도로망의 증가를 상회하게 되면서 교통정체는 심각한 실정이며 교통난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고속철도가 가장 유리한 방안으로 분석된다.

 

2. 필요성

과중한 물류 비용은 국제경쟁력을 약화. 교통난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송능력이나 수송 효율이 고속도로나 기존 본선 전철에 비해 2~3배인 고속철도가 가장 유리. 에너지 절감이나 환경보호, 기술발전, 국토 개발 등의 측면에서도 유리. 초정밀 첨단 기술을 전수받아 광범위한 기술 파급효과도 얻게 된다.

혁신적인 고속, 대량 수송 수단, 즉 고속철도의 도입이 필요.

 

3. 기대 효과

1) 경제적 효과

철도여객은 수송 능력이 약 3.4배 증가하고, 화물 수송 능력은 약7.7배 증가, 시간 비용 및 운행비가 절감되는 사회, 경제적 편익이 발생.

 

2) 사회, 문화적 효과

인구의 지방 분산 및 기업의 지방이전. 국토의 균형 개발. 지방의 관광산업 등의 활성화.

 

3) 기술, 산업적 효과

산업 전반의 설계 기술 향상

컴퓨터 관련 기술의 발달 촉진

건설 기술의 향상

 

4) 경영의 합리화와 수입 증대 효과

국내 에너지 자원의 유효 이용, 동력비의 절감, 수송력의 증대, 서비스 향상, 수송원가의 절감 등으로 수입이 증대되어 경영의 합리화.

 

4. 결론

국가 기간 교통망을 구축하는 사회 간접자본 투자사업으로 50, 100년을 내다보는 사업이다.

극심한 교통난과 숨막히는 대기오염,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물류비의 증가 등을 해소하기 위해 고속, 대량 수송수단인 고속전철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