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방식 비교 검토
구분 | 교류식(A.C 25㎸) | 직류식(D.C 1,500V) |
변 전 소 | ㆍ변전소 간격이 약30~50㎞로 소요개소가 적다. ㆍ직류변성기와 정류기가 불필요 하기 때문에 건설비가 적게 든다. | ㆍ변전소 간격이 약5~10㎞로 소요개소가 많다. ㆍ변성기와 정류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건설비가 많이 든다. |
전차선로 | ㆍ고전압을 사용하므로 전류 및 소요동량이 적고, 구조가 경량이다. | ㆍ전류가 커서 소요동량이 많고, 구조가 중하중이다. |
전압강하 | ㆍ직렬콘덴서에 의해서 간단하게 보상가능하다. | ㆍ급전선의 증설이나 급전구분소, 변전소의 신설이 필요하다. |
보호설비 | ㆍ운전전류가 작아서 사고전류의 판별이 용이하고 보호설비가 간단하다. | ㆍ운전전류가 커서 사고전류의 선택차단이 곤란하고 복잡한 보호설비가 필요하다. |
유도장해 | ㆍ유도장해의 정도가 크고 비절연보호선(AT방식) 부급전선[(흡상변압기(BT방식)] 등이 필요하다. | ㆍ유도장해의 정도가 작고 변전소에 필터를 설치하는 외에 특별한 설비가 필요 없다. |
전 식 | ㆍ누설전류가 AT변압기와 흡상변압기로 강제 흡입되기 때문에 전식의 전류가 적다. | ㆍ대지로의 누설전류가 커서 전식의 진도가 심하고 별도의 대책이 필요하다. |
터 널, 과선교 높이 | ㆍ특고압으로 절연이격거리가 커서 터널단면 및 과선교가 높게 된다. | ㆍ고압이므로 절연이격 거리가 작다. |
사용전압 | ㆍ전기차에 변압기를 탑재하므로 임의의 사용전압을 쉽게 얻을 수 있다. | ㆍ절연설계상 고전압 이용이 불가능하다. |
집전장치 | ㆍ집전장치가 소형경량으로 추종성이 좋다. | ㆍ집전전류가 크고 집전장치도 대형으로 추종성이 나쁘다. |
기기보호 | ㆍ교류 소전류차단 및 사고전류의 선택차단이 용이하다. | ㆍ직류 대전류차단 및 사고전류의 선택차단이 곤란하다. |
속도제어 | ㆍVVVF 제어를 한다. | ㆍVVVF 제어를 한다. |
점착특성 | ㆍ점착특성이 우수하고 소형으로 대형출력이 가능하다. | ㆍ교류전기차에 비해서 점착성능이 나쁘고 대형출력이 나쁘다. |
급전방식의 비교 검토
구 분 | A.T 방식 | B.T 방식 |
급전전압 및 급전거리 | ㆍAC 50㎸, 변전소간격이 B.T방식 보다 멀다.(약 40-100㎞) | ㆍAC 25㎸,변전소 간격이 A.T방식 보다 짧다.(약 30㎞) |
전차선로 | ㆍ복잡하다. | ㆍ간단하다. |
부스타섹션 | ㆍ부스타 섹션이 불필요하다.
| ㆍ전기차 부스타섹션을 통과할 때 심한아크를 발생하므로 저항섹션 등의 소호 대책이 필요하다. ㆍ가선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유지보수가 어렵다. |
통신유도 | ㆍB.T 방식보다 적다. | - |
전압강하 | ㆍB.T 방식의 1/3이면 된다. (대용량 장거리급전에 가장 적합)
| ㆍ급전전압이 A.T에 비해 낮기 때문에 같은 마력의 전기차에 공급하는 전류가 크게 되며 전차선로의 전압강하가 커진다. |
회로보호 | ㆍ전압이 높으므로 고장전류가 크므로 보호가 비교적 용이하다. | ㆍ전압이 낮으므로 고장전류가 적어 보호가 비교적 어렵다. |
고장점표정 | ㆍ회로가 복잡하므로 어렵다. | ㆍ회로가 단순하므로 용이하다. |
경 제 성 | ㆍ수전점 간격이 먼 경우 수전점 측으로 접근시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 ㆍ수전점 간격이 먼 경우 송전선 건설비가 많다.
|
선 정 | ㆍAT방식은 BT방식에 비하여 전차선로의 급전전압이 2배가 되므로 대용량, 고빈도 전철 설비에 적합하며, 부하용량이 일정한 경우 전류치가 1/2로 되어 전압강하는 1/4로 감소하므로 변전소 간격을 크게 할 수 있어, 변전소 위치 선정이 보다 자유로워진다. 또한 BT방식의 Booster Section이 없어 급전회로(전차선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AT를 약 7~10㎞ 마다 설치하여야 하고, AT급전선을 전 구간에 가설하여야하기 때문에 급전회로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00선 00~00간 복선 전철설비는 00선과 00선(00~00)과 연계성을 감안하여 AT 급전방식을 적용하였다.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의 디젤 운전과 전기 운전의 장, 단점 (0) | 2017.04.15 |
---|---|
고속철도의 타당성 (0) | 2017.04.15 |
염해오손지역 검토 (0) | 2017.03.02 |
구조물 설계에 반영하는 기상조건 (0) | 2017.03.02 |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 (0) | 2017.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