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색구간(폐색방식, Blocking system)


1. 개요

1)폐색구간이란 열차가 충돌이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열차와 열차사이에 일정한 시간이나 간격을 두는 것

2)역간을 1개 또는 수개의 역으로 분할하여 1구간에 1개의 열차만을 허용하여 운행하도록 한 시스템


2. 폐색방법

1)시간간격법

선행열차가 출발한 뒤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후속열차를 출발시킴

사고로 중간에 지연열차가 있는 경우 대형사고 우려로 보안도가 낮다

2)공간간격법

선행열차와 후속열차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놓고 운전하는 방법

폐색구간이 길수록 보안도는 향상되지만 운행밀도는 제한

국철에 일반적으로 채용


3. 폐색방식

1)상용폐색방식 : 평상시 사용하는 폐색방식

단선구간 : 자동폐색식, 연동폐색식, 통표폐색식

복선구간 : 자동폐색식, 연동폐색식, 쌍신(차내신호)폐색식

2)대용폐색방식 : 폐색장치의 고장등으로 상용폐색이 불가능할때 사용

단선구간 : 지도식(1명의 지도자), 지도통신식(전화, 전신, 지도자)

복선구간 : 통신식(전화, 전신으로 양단 정거장 간을 폐색)

4. 결론

1)폐색구간은 자동구간에서는 신호취급소간, 비자동구간에서는 출발신

호기와 인접역 장내신호기 간의 구간을 말함

2)폐색구간의 길이는 열차운전속도, 운전밀도, 선로상태 등으로 결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