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색구간(폐색방식, Blocking system)
1. 개요
1)폐색구간이란 열차가 충돌이나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열차와 열차사이에 일정한 시간이나 간격을 두는 것
2)역간을 1개 또는 수개의 역으로 분할하여 1구간에 1개의 열차만을 허용하여 운행하도록 한 시스템
2. 폐색방법
1)시간간격법
①선행열차가 출발한 뒤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후속열차를 출발시킴
②사고로 중간에 지연열차가 있는 경우 대형사고 우려로 보안도가 낮다
2)공간간격법
①선행열차와 후속열차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놓고 운전하는 방법
②폐색구간이 길수록 보안도는 향상되지만 운행밀도는 제한
③국철에 일반적으로 채용
3. 폐색방식
1)상용폐색방식 : 평상시 사용하는 폐색방식
①단선구간 : 자동폐색식, 연동폐색식, 통표폐색식
②복선구간 : 자동폐색식, 연동폐색식, 쌍신(차내신호)폐색식
2)대용폐색방식 : 폐색장치의 고장등으로 상용폐색이 불가능할때 사용
①단선구간 : 지도식(1명의 지도자), 지도통신식(전화, 전신, 지도자)
②복선구간 : 통신식(전화, 전신으로 양단 정거장 간을 폐색)
4. 결론
1)폐색구간은 자동구간에서는 신호취급소간, 비자동구간에서는 출발신
호기와 인접역 장내신호기 간의 구간을 말함
2)폐색구간의 길이는 열차운전속도, 운전밀도, 선로상태 등으로 결정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선에 미치는 유도 장해와 그 대책 (0) | 2017.03.30 |
---|---|
트윈 심플커티너리 조가 방식의 가선 구조 및 특성 (0) | 2017.03.30 |
표정속도 (0) | 2017.03.30 |
휨응력과 전단응력 (0) | 2017.03.30 |
힘의 시력도 (0) | 2017.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