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의 디젤 운전과 전기 운전의 장, 단점을 기술하시오.

 

1. 서론

운반비의 절감, 출력 증대 및 고속화에 주력하게 되면서 철도 동력에 변환이 이루어져 디젤기관차가 운전하는 디젤 운전과 전기차가 운전하는 전기 운전 방식에 이르게 되었다.

 

2. 디젤운전의 장, 단점

1) 디젤 운전의 개요

디젤기관차는 경유를 사용, 주발전기를 회전시켜 발전된 전기로 견인 전동기를 구동 하는운전 방식, 수송량이 적은 선로 구간이나 열차 밀도가 그리 높지 않은 선로 구간에 적합.


(1) 장점

고가의 설비 투자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급유 설비만 있으면 운전선로 구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2) 단점

차량 수리비, 동력비가 고가이며 차량의 수명이 짧다.

유동 연료를 사용하므로 에너지 자원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없다.

자체 내에서 동력을 발생하므로 동력유의 급유가 필요하며 출력 제한도 받기 쉽다.

단위 출력당의 중량도 전기차에 비해 크다.

매연을 발생한다.

 

3. 전기 운전의 장, 단점


1) 전기 운전의 개요 장점

전차선에 기계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차 모터에 전기를 전해주는 동력 전달 방식. 철도의 수송량이 많고 열차 밀도가 높은 선로 구간에서는 일반적으로 전기 운전 방식이 유리.


(1) 장점

차량 수리비가 저렴하고 수명이 길다.

석유 자원이 적고 수력 자원이 풍부한 경우에는 동력비가 저렴하다.

수력자원, 석탄자원 등의 광범위한 에너지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동력이 외부에서 공급되므로 출력 제한을 적게 받고 동력용 급유가 필요 없다.

(2) 단점

설비 투자비가 고가이다.

전식 및 통신 유도 장해가 발생한다.

 

4. 결론

디젤운전은 수리비, 동력비, 차량 감가상가비 등의 경비가 높은 비율을 차지, 수송량이 많고 열차 밀도가 높은 선로 구간에서는 수송량 증가에 따른 경비의 증가 비율이 크다. 수송량이 많으면 디젤 운전에 비하여 경비 증가 비율이 적으므로 일정 한도 이상의 수송량 및 밀도가 있는 선로 구간에서는 전기 운전이 유리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