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하중장치 (應荷重裝置)를 설명하시오.

 

1. 개요

VVVF 전동차 제동방식은 디지털의 전기지령에 작동하여, 전자회로의 연산제어 되어 회생제동과 공기제동을 병용하는 일괄교차 연산식의 HRDA(High Response Digital Analog) 전자공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중에서 공전회로는 공기스프링의 압력을 응하중전기신호로 변환시킨다.

 

2. 응하중 기능(Variable Load Function)

이 기능은 공전변환회로(두개의 공기스프링 압력으로부터)에 의한 두개의 하중감지신호의 평균에 의한 차량중량과 제동지령의 합을 연산하여 혼합된 연합지령을 주제어장치(회생제동회로)와 공기제동작용 장치에 전송한다. 공기스프링이 파손하거나 공전변환회로의 출력이 공차의 신호보다 적을 때, 적어도 소요공기제동력이 공차의 80%에 상당하는 제동력이 확보 될 수 있도록 하고, 공전변환회로의 출력이 만차 신호보다 많은 때도, 소요공기제동력이 만차의 120%에 상당하는 제동력이 생성될 수 있도록 이 회로는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기능은 응하중신호를 주제어장치의 추진회로에 보낸다.

 

3. 적용

차량의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제동율이 저하되는 곳을 보상해 주기 위해 대차의 볼스타 스프링 높이의 변화에 따라 하중의 변화를 감지하여 같은 감압량에서도 승객의 증/감에 따라 제동실린더 압력이 자동적으로 증/감 될 수 있도록 응하중장치를 설치하여 승객의 변화에 관계없이 동일한 감속도가 얻어지도록 되어있다.

VVVF 전동차의 제동장치는 응하중장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승객이 많아서 차량중량이 무거워지면 같은 감압량이라도 제동력은 크게 된다. 이것은 차량중량이 무거워짐에 따라 대차 스프링의 변위가 커지는 것을 측중변이 검출하여 응하중변에 이 정보를 보내 응하중변이 변환기에 가는 공기를 자동 조정하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