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저항의 종류를 들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1. 개요
열차저항이란 열차 성능 및 운행 계획의 기본적 조건으로 열차의 속도 차량의 구조 궤도의 조건 등에 따라 변동되며 이론적으로 구할 수 있으나, 실제의 열차에서 측정한 자료를 활용하기도 함. 열차저항에는 주행저항, 구배저항, 곡선저항 및 가속저항으로 분류한다
2. 주행저항
가. 출발저항
1) 출발저항은 약 3kph에서 소멸
2) 정지상태에서 열차가 기동할 때 기계저항 뿐이다. 차축의 베어링 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음.
나. 기계저항
1) 전동 마찰 저항
2) 회전 마찰 저항
다. 공기저항
라. 터널저항
3. 구배 저항
Rg=± n [kg/t]
n : 구배[‰]를 1,000m당 고저차[‰]를 표시하는 이유
4. 곡선저항
가. 곡선에서는 레일과 차륜간 마찰에 의한 저항이 발생
나. 다음의 간이식 사용
Re = K /r [kg/t]
5. 가속 저항
가. 열차속도를 올리려면 가속력이 필요하며 이에 대응한 저항을 말한다.
나. 간이식으로 열차 중량 가속도 가속력간 표시
다. 대표적으로 가 사용됨(0.07 전동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류 전철 변전소의 필터(Filter)에 대하여 (0) | 2017.03.30 |
---|---|
직류 직권 전동기가 전기차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유 (0) | 2017.03.30 |
응하중장치 (應荷重裝置)를 (0) | 2017.03.30 |
차량 한계에 대하여 (0) | 2017.03.30 |
철도의 디젤 운전과 전기 운전의 장, 단점 (0) | 2017.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