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급전회로의 특성 및 구비조건
1. 서론
전기철도에서 운전용 전력은 변전소로부터 전차선로에 급전되고 전기차를 구동시킨 후에 레일
등의 귀선을 경유하여 변전소로 귀환된다. 이 전기 회로를 일반적으로 전철 급전 회로라 한다.
2. 급전 회로의 특성
1) 선로 조건에 제한을 받는다.
중량과 크기가 제한되고 광범위한 속도와 대 출력이 요구된다.
2) 변동이 극심한 이동 부하이다.
기동, 정지가 빈번하게 반복되므로 부하가 격심하게 변동.
3) 고신뢰도와 안정성이 요구된다.
설비의 일부가 기능을 상실하면 수송을 마비시키게 되므로 고신뢰도와 안정성이 요구된다.
4) 양호한 집전이 요구된다.
전기차 집전장치의 접촉에 의한 것으로 고속 운전시에도 양호한 집전이 요구된다.
5) 전식 및 통신 유도 대책이 요구된다.
직류방식에서는 다른 지중 매설물에 전식을 일으키고, 교류방식에서는 통신 유도 장해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6) 직류 회로의 사고 전류 차단이 어렵다.
직류전차선로는 운전전류가 커서 사고전류와의 차이가 작으므로 사고전류의 선택차단이 곤란.
3. 급전 회로의 구비조건
① 전류 용량은 전기차 부하에 충분히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② 전차선 전압은 전기차의 운전에 지장이 없는 일정 한도 내에 있어야 한다.
③ 변전소, 전차선로, 전기차의 절연협조가 충분히 유지되고 소요 절연강도, 절연이격이 확보 되어야 한다.
④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사고 개소를 구분하고 지정된 보호가 수행되어야 한다.
⑤ 보수작업이나 사고 발생시에 열차에 영향이 작도록 급전 구간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4. 결론
직류급전방식과 교류급전방식으로 분류, 직류 급전 방식은 전류가 크므로 전식의 우려. 교류급전 방식은 양방향 단독 급전으로 하고 있으며 전압이 높으므로 통신유도 장해가 발생.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철도 급전계통 분리 (0) | 2017.04.11 |
---|---|
전기철도 급전방식 종류별로 임피던스의 특징 (0) | 2017.04.11 |
전기철도 방식을 선정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제반 요소 (0) | 2017.04.11 |
철도의 특징으로 거론될 수 있는 사항 중 4가지 (0) | 2017.04.11 |
고무타이어식 철도의 장, 단점 (0) | 201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