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급전방식 종류별로 임피던스의 특징
1. 개요
교류 급전 회로에서 변전소에서 급전측을 본 선로 임피던스는 다선조회로망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여기서는 간략법으로 기술한다.
2. 직접급전방식
교류 급전 회로에서 변전소에서 급전측을 본 선로 임피던스는 다선조회로망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여기서는 간략법으로 기술한다.
가. 기본형 직접 급전 방식
그림1에 트롤리선과 레일로 구성되는 직접 급전 방식의 기본형을 보인다.
트롤리 선의 전류를 I, 우측방향을 정방향으로 한 레일의 전류를 Ix로 한다.
(a) 급전 계통 | (b) 전류분포 |
[그림 1] 기본형 직접 급전방식
나. NF형 직접 급전 방식
그림2에 NF형 직접 급전 방식의 회로 구성을 보인다.
트롤리 선의 전류를 I, 우측방향을 정방향으로 한 레일의 전류를 Ix로 한다.
[그림 2] NF형 직접 급전 회로
3. BT 급전방식
흡상변압기(BT) 급전 회로의 임피던스에는 트롤리선과 레일 단락과 트롤리선 부급전선 단락이 있으며 전자는 계단 형태, 후자는 직선 형태로 된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직선으로 되는 T-NF 단락 임피던스를 사용한다.
[그림 3] BT 급전 회로의구성 | [그림 4] BT 급전회로의 임피던스 |
4. AT 급전방식
단권변압기(AT) 급전 방식은 트롤리선(T)과 급전선(F), 레일(R) 및 보호선(PW)으로 구성되고 전류 분포가 복잡하므로 선로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그림과 같이 보호선을 무시한 단선 간이 등가회로를 이용하여 등가 자기임피던스에 의해 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림 5] AT 급전회로의 전류분포. | [그림 6] 간이등가회로에 의한 해석 |
[그림 7] AT 급전회로의 선로 임피던스 걔략치
5. 선로 임피던스의 계산 예
교류급전회로의 임피던스 계산 예는 다음과 같다.
급전방식 | 선로구분 | f[Hz] | Z[Ω/km] | 전선의종류 | ||
M : | T : | NF : | ||||
직접급전 | 일반전철 | 50 | 0.2410+j0.4930 | St 55 | Cu 85 | PH 100 |
BT급전 | 일반전철 | 50 | 0.2750+j0.7930 | St 135 | GT 110 | HAL 200 |
60 | 0.2760+j0.9520 | |||||
AT급전 | 고속전철 | 50 | 0.0432+j0.1506 | PH 150 | CS 110 | HAL 300 |
60 | 0.0436+j0.1804 | |||||
일반전철 | 50 | 0.1110+j0.1760 | St 90 | GT 110 | HAL 95 | |
60 | 0.1130+j0.2140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철도 방식을 선정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제반요소 (0) | 2017.04.12 |
---|---|
전기철도 급전계통 분리 (0) | 2017.04.11 |
전기철도 급전회로의 특성 및 구비조건 (0) | 2017.04.11 |
전기철도 방식을 선정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제반 요소 (0) | 2017.04.11 |
철도의 특징으로 거론될 수 있는 사항 중 4가지 (0) | 201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