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장력 조정 장치
전차선로의 장력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특히 자동장력조정장치가 기능을 상실하면 전차선 편위가 초과하거나 팬터그래프가 전차선에 끼어들어 중대한 사고를 유발한다.
가. 자동장력 조정장치의 동작
(1) 하나의 인류구간에 양쪽추의 높이가 레일면상 같아야 하며 로우프 길이가 같아야 한다. 즉 같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2) 로우프는 서로 꼬이거나 끼어있지 않아야 하며 적당한 기름을 주유하거나 구리스를 도포하여야 한다.
(3) 장력조정장치 추의 높이는 온도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온도 10℃일 때 추 조정점에서 활차중심까지 로프의 길이는 1.9m이다.
(4) 활차 자체만으로 조정이 불가능할 때에는 조정 스트랩으로 길이를 가감하여 조정하면서 요크를 수직으로 조정한다.
(5) 활차와 stop bar 간격은 15~30㎜로 조정하여 기능을 유지시켜야 한다.
(6) 활차비는 1 : 4이고 중추에는 콘크리트제와 주철제 2종류가 있고 한조의 중량을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제, 건축한계를 넘을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주철제로 사용한다.
나. 장력조정장치의 보전상의 주의
(1) 바란사의 동작상태는 그 인류구간의 유효장과 가선온도에 의해 가선이 신축하므로 중추의 위치에 의해 활차바란사의 양부가 판정된다. 상대측 바란사의 동작상태와 균형을 맞추어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체크하여 기록하여 두도록 한다.
(2) 와이어 로우프의 점검은 활차에 와이어 로우프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로우프가 찌부러져 소선단선 등이 일어나지 않았는지 주의하여 점검하고 로우프유(油) 또는 그리이스를 도포(途布)하여 기계적 마찰을 유연하게 한다. (활차의 회전축에도 급유한다.)
(3) 중추를 손으로 올렸다 내렸다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 하고 중추고리가 추유도봉에 접촉 마찰되어 동작이 부자연스럽지 않는지를 체크한다.
(4) 장력장치의 (요우크)는 전차선과 조가선의 온도에 의한 신축율이 일반적으로 전차선이 크기 때문에 경사가 심하게 될 때가 있으므로 주의 하도록 한다. 특히 조가선이 아연도 강연선인 경우는 전차선의 온도에 의한 신장율 이 조가선보다 크기 때문에 조가선측이 장력장치 측으로 경사지게하여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우크의 허용경사각 약 45)
다. 장력조정장치 및 인류장치의 점검
(1) 활차 지지밴드 취부간격 및 균열여부 조사
(2) 활차와 Stop Bar 간격 검측
(3) 인류봉 균열과 턴버클 주유 및 와이어 로프 소선상태 점검
(4) 온도변화에 따른 추 동작으로 위치가 변동된 치수기록 측정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늠선장치 (교차장치) (0) | 2017.05.18 |
---|---|
팬터그래프 (0) | 2017.05.18 |
강체 전차선로의 각종 설비 (0) | 2017.05.18 |
강체 전차선로의 설치기준 (0) | 2017.05.18 |
표지류 (0) | 2017.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