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철

 

(배전용 완철의 사용과 간격)

배전용 완철의 사용은 다음 각호에 의한다.

1. 완철은 경완철의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2. 최상단의 완철은 목주인 경우에는 말구로부터 300[], 콘크리트주 및 강관주인 경우에는 말구로부터 250[]의 위치에 시설한다.

3. 동일지지물에 2개 이상의 완철을 설치할 때에 완철 중심간의 최소간격은 다음 표에 의한다. 다만, 경간이 50[m] 이상의 장경간 또는 특수장소 등 필요한 경우에는 간격을 증가한다.


종류

직선주[]

각도주[]

특고압과 특고압

특고압과 고압 또는 저압

특고압 또는 고압과 전화선

고압과 고압

고압과 저압

저압과 저압

특고압 또는 고압과 중성선

1,000

1,200

1,200

750

900

750

900

1,500

1,750

1,200

1,200

1,350

1,200

900

  

(배전용 완철의 길이)

용도별 완철의 표준길이는 다음 표에 의한다. 다만, 개폐기나 피뢰기 등을 시설할 경우, 장경간 또는 특수 장주의 경우 및 공사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길이를 증가할 수 있다.



용도

길이[]

비고

저압 2선용

저압 4선용

고압 3선용

750

1,400

2,400

다만, 절연전선을 사용할 경우 고압 3선용은 1,800[] 사용



(배전용 완철의 시설)

완철은 전주를 중심으로 하여 전원의 반대측(부하측)에 시설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다음 각호의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인류 및 분기 완철은 장력방향의 반대측에 시설한다.

2. 철도도로약전류전선 또는 하천 등을 횡단하는 경우에는 횡단하고자 하는 경간의 반대측에 시설한다.

3. 보호선(또는 보호망)용 완철은 장력방향의 반대측에 시설한다.

4. 하부 완철은 상부 완철과 동일측에 시설한다.

완철은 전철주에 시설하는 경우 긴 쪽을 궤도 반대측으로 하고 시설방법은 다음 각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1. 완철 부착용 볼트는 완철과 반대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완철이 전주에 밀착되도록 충분히 조여야 한다.

2. 동일 전주에 시설하는 완철은 평행하게 시설한다.

3. 목주인 경우에는 완철 양측에 암타이를 사용한다.

4. 완철의 시설방향은 다음 표에 의한다.

선로의 방향

완철 시행의 방향()

직선

30° 미만의 각도

30° 이상의 각도

직선로의 직각

2등분선의 방향

양측 전선에 각각 직각



(전철용 완철) 완철은 다음 각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1. 특수한 장소 이외에는 시설표준도에 의한다.

2. 완철은 전주밴드 또는 붙임 철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암타이 또는 텐숀바에 의하여 지지하며, 2단 이상의 경우는 암프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문형완철)

문형완철(전주대용물)은 형강 또는 강관을 사용하여 비임에 시설한다.

비임에 설치된 급전선로는 비임 상부에 문형완철을 설치하여 지지함을 표준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비임 하부에 지지할 수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뢰기  (0) 2017.05.24
지선 및 지주  (0) 2017.05.24
사구간(데드섹션)의 길이  (0) 2017.05.18
행거길이 계산  (0) 2017.05.18
전차선의 마모(Wear)  (0) 2017.05.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