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무자동화설비

 

(역무자동화설비별 기능)

역무자동화설비별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승차권발매용단말기”(WTIM)는 발매창구에 설치하는 구조로서 통합정보시스템과 실시간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승차권발매, 승차권 예약, 잔여석정보안내, 운임정보안내, 여행정보안내 및 신용카드 결재 수단 기능 및 영수증 발행기능이 있어야 한다.

2. “승차권자동발매기”(ATIM)는 역 대합실의 Free Area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서, 신용카드를 결재수단으로 통합정보시템과 실시간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고객이 직접 기계를 조작하여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3. “승차권자동개집표기”(AGM)는 역단위 서버와 실시간 온라인으로 정보를 전송하며, 승차권발매단말기 또는 승차권자동발매기에서 구입한 승차권으로 Free Area Paid Area 간을 출입하는 문(Gate)을 말한다.

4. “역단위 서버”(SMCS)는 역무실에 설치하여 통합정보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열차정보 수신 및 보고, 승차권자동개집표기의 기능을 감시제어하며, 각 역무자동화설비로부터 수집된 장애정보를 저장하고, 장애통계 보고서등을 프린터로 출력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5. “여행정보안내기(KIOSK)”는 통합정보시스템과 실시간 연결되어 복합정보이용 시스템을 갖춘 무인안내단말기로서, 열차운임정보, 열차운행정보, 잔여석 정보, 역사주변안내, 여행상품정보(타 교통연계, 렌터카, 숙박안내 등) 및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이 있어야한다.

6. “무선이동단말기“(MTIT)는 운행중인 열차에서 승무원이 휴대 사용하는 장비로서, 이동통신망을 통신매체로 하여 통합정보시스템의 컨텐츠를 이용하여 신용카드를 결재수단으로 승객에게 대용승차권을 발행, 열차정보안내, 여행 및 교통정보를 안내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7. 중앙전산기(MS : Magnetic Stripe) : 선별처리장치 및 역단위전산기를 제어하는 컴퓨터로서 MS승차권과 관련한 역의 회계관리 및 각종 통계자료를 생산하며 프린터, 보조기억장치, 무정전전원공급장치 및 항온항습기 등을 포함한 기기를 말한다.

8. 선별처리장치 : 역단위전산기와 중앙전산기(MS)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를 말한다.

9. 보수자용전산기 : 각 장비별 고장상태를 감시하고 고장관련 통계자료를 생산하는 기기를 말한다.

10. 운용자용전산기 : 회계 및 통계자료를 생산하는 기기를 말한다.

11. 연락운임전산기 : 수도권 전철 운영기관간 연락 운송자료를 교환하여 연락 운송 통계자료를 생산하는 기기를 말한다.

12. 네트웍관리용전산기 : 수도권 전철 네트웍망을 관리하기 위한 기기를 말한다.

13. 역단위전산기 : 자동발권기, 자동발매기, 자동개집표기를 제어하는 컴퓨터로서 역의 회계관리 및 각 장비별 운용상태를 통제하고 선별처리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를 말한다.

14. 자동발권기 : 여객이 사용하는 전철승차권을 역무원이 조작하여 발권하는 기기를 말한다.

15. 자동발매기 : 여객이 직접 주화 또는 지폐를 사용하여 전철승차권을 발행하는 기기를 말한다.

16. 무임권용자동발매기 : 노인, 장애인, 유공자 등 전철 무임권 대상자가 직접 조작하여 전철승차권을 발행하는 기기를 말한다.

17. 자동개집표기 : 전철승차권의 자성띠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 및 기록하여 승차구간의 여객이동을 통제하는 기기로서 삼발이형(4종류)과 플랩형(7종류)으로 구분된다.

18. 교통카드용중앙전산기 : 교통카드집계기를 제어하는 컴퓨터로서 교통카드와 관련된 역의 회계관리 및 각종 통계자료를 생산하며 네트웍설비, 프린터, 보조기억장치, 무정전전원공급장치 및 항온항습기 등을 포함한 기기를 말한다.

19. 원격관리용전산기 : 각 역의 집계기를 원격으로 제어관리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20. 교통카드집계기 : 교통카드단말기, 충전기, 정산기를 제어하는 컴퓨터로서 역의 교통카드 회계관리 및 각 장비별 운용상태를 통제하고 교통카드용중앙전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를 말한다.

21. 교통카드단말기 : 자동개집표기 위에 부착되어 교통카드를 비접촉 방식으로 정상 유무를 판독하여 여객의 진출입을 통제하는 기기를 말한다.

22. 교통카드유인충전기 : 역무원이 여객의 요청 금액을 선급교통카드에 충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말한다.

23. 교통카드무인충전기 : 여객이 직접 선급교통카드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말한다.

24. 교통카드정산기 : 교통카드의 잔액부족, 무표 등을 정산처리하기 위한 기기를 말한다.

25. 화폐교환기 : 고액권 사용이 안되는 개소에 설치하여 고액화폐를 동전 또는 지폐로 교환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케이블 덕트작업)

자동 개집표기 배선인입을 위하여 역사 바닥면에 매립형 케이블 덕트를 시공하며, 덕트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전원케이블과 통신케이블을 구분하여 배선하여야 한다.

 

(통신케이블 및 전원접지)

통신케이블은 운영자 및 승객을 감전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모든 역무자동화(AFC : Automatic Fare Collection)설비는 전원용 접지를 하고, 분전반의 접지반은 전기공사업체에서 공급하는 AFC설비의 접지와는 별도로 주배전실의 접지반에 연결하여야 한다.

전원 접지는 역사외부의 접지개소 또는 주 배전실의 접지단자로부터 매표실내의 분전반의 접지단자로 연결되어 각 장비로 분배되며, 세부사양은 전원 케이블 내에 동시 수용하여야 한다.

 

(차단기 설치)

AFC분전반에는 모든 AFC설비의 소비전력에 맞추어 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며, 전원케이블은 각 장비별로 소모 전력에 따라 케이블의 종류 및 케이블 당 장비의 연결 대수에 따라 상이하나 통상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운용한다.

각각의 장비는 AFC분전반에서 1개의 장비 당 1개의 차단기를 장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소비전력이 적은 설비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승차권발매 단말기 설치)

매표실 등 승차권발매용단말기(WTIM) 및 자동발매기(POM)가 설치되는 장소는 각종케이블의 인출이 용이한 이중마루 구조로 하여야 하며 장비 설치시 다음사항에 따른다.

1. 모든 통신 및 전원케이블은 배관 또는 케이블 덕트에 의하여 이중마루의 아래 부분으로 인입하여야 된다.

. 배관을 사용할 경우 전원 및 통신케이블의 2종류로 구분되어야 한다.

. 케이블 덕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케이블 덕트의 중앙부위를 차단하여 통신케이블이 전원케이블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이중마루를 통하여 승차권발매 단말기 내부로 들어온 케이블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연결하여야 한다.

. 통신용(UTP : Unshielded Twisted Pair)케이블 : 커넥터(RJ45)에 의하여 승차권발매용 단말장치 내부의 LAN(Local Area Network) Port 와 연결

. 전원용 케이블 : AFC콘센트에 플러그로 연결

. 접지선(전원,통신) : 전원접지는 AFC콘센트를 통하여 연결되며 통신접지는 내부의 접지용 M8 볼트로 장비 내 접지 단자에 연결

3. 장비는 운반 중 발생되는 충격, 진동 등으로부터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시에는 장비 내부의 주요 부속장치를 분해하여 별도로 포장한 후 운반하며, 설치위치에서 주요 부속장치를 재조립하여야 한다.

4. 승차권발매단말기의 조립은 매표실내에 장비를 위치시킨 후 각종 부속품을 조립, 장착하여야 한다.

 

(자동개집표기설치)

자동개집표기(AGMAG)의 설치장소에는 건축공사 마감 이전에 케이블 덕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자동개집표기 고정용 Base Channel을 앙카볼트(M16)를 이용하여 설치해야 하며, 케이블 덕트는 향후 자동개집표기의 증설을 감안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장비는 운반 중 발생되는 충격, 진동 등으로부터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장비 내부의 주요 부속장치를 분해하여 별도로 포장한 후 운반하며, 설치위치에서 주요부속장치를 재조립하여야 한다.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서 준비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1. 케이블 덕트는 통신실 및 AFC분전반 인접구간부터 자동개집표기가 설치되는 전구간에 설치한다.

2. 케이블 포설후 자동개집표기 하부의 케이블 인입구를 제외 한부분에 덕트 덮개를 볼트로 고정시켜 이물질이 덕트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3. 자동개집표기 설치후 승객 통로부분 및 향후 자동개집 표기가 증설되는 부분은 화강석으로 마감한다.

장비 설치 전 덕트 및 배선 작업시에는 다음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1. 장비와 장비간에는 기존 통로폭과 같이 550±20(AG), 600±20(AGM), 900±20(장애인용)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며, 각 장비별 외함폭은 다음 각목과 같이 설치하여야 한다.

. 124567: 200±3

. 3: 403이하

2. 바닥 덕트 내에 매립되는 케이블은 단선되는 일이 없도록 시공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장비와의 결선은 각 특성에 맞는 각각의 커넥터를 사용 하여야 한다.

3. 장비의 전원 및 접지는 AFC분전반과 통신접지 단자함에서 인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4. 장비설치 후에는 반드시 실리콘으로 방수처리를 하여 역사내의 물기 등이 장비 및 바닥 덕트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자동개집표기의 조립은 역사 대합실내의 개집표소 위치에 장비를 고정시킨 후 각종 부속품을 조립, 장착하여야 한다.

도시철도(지하역)의 경우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자동개집표기가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자동발매기설치)

자동발매기(ATIM POM) 장비는 운반 중 발생되는 충격, 진동 등으로부터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시에 장비 내부의 주요 부속장치를 분해하여 별도로 포장한 후 운반하며 설치위치에서 주요 부속장치를 재조립하여야 한다.

1. 자동발매기의 전원, 통신케이블, 접지선은 배관을 통하여 인입하여야 된다.

2. 케이블은 바닥에 설치된 케이블 덕트를 통하여 장비내로 인입하여야 한다.

장비 설치 전 덕트 및 배선 작업 시에는 다음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1. 2대의 장비를 연접하여 설치 시에는 장비와 장비간에는 방열을 위하여 100mm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때 그 사이에는 첨부된 부속물을 삽입하여 마감하여야 한다.

2. 바닥의 덕트 내에 매립되는 케이블은 절대로 단선되는 일이 없도록 시공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장비와의 결선은 각 특성에 적합한 커넥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장비의 전원 및 접지는 AFC 분전반과 통신접지 단자함에서 인입되도록 한다.

4. 장비 설치후 에는 반드시 하부에 마감판 작업을 하여 이물질이 바닥 덕트 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자동발매기의 조립은 역사 대합실내의 설치위치에 장비를 고정시킨 후 필요시 각종 부속품을 조립, 장착하여야 한다.

 

(여행정보안내기 설치)

여행정보설비라 함은 열차운행 관련 정보, 연계교통수단, 숙박시설, 관광지 정보 등을 제공하여 여객의 편의증진과 여객유치로 경영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설비로 여행정보서버 및 여행정보안내기(KIOSK)로 구성된다.

여행정보설비는 기존 한국철도공사에서 구축한 통합정보시스템중 여행정보상품포털 및 영업관리 서버 등으로부터 데이터 등을 수집가공하여 표출하여야 한다.

여행정보안내기(KIOSK)의 일반적인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케이블 덕트 등 준비작업

2. 여행정보안내기의 앙카볼트 구멍의 크기 및 위치 점검

3. 여행정보안내기의 구멍(4부분)에 맞게 대합실 바닥에 구멍을 내고 앙카 볼트로 고정

4. 장비 외함을 설치한 후 수평상태를 확인

5. 케이블 덕트로부터 케이블 인입상태 확인

6. 와샤 및 너트를 장착하고 외함을 고정

여행정보안내기의 조립은 역사 대합실내의 설치위치에 장비를 고정시킨 후 필요시 각종 부속품을 조립, 장착하여야 한다.

 

(역단위서버설치)

역단위서버(SMCS)는 현장감시시스템(LMS:Local Monitoring System)Dual System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설치위치에 설치되고 두 장비간 거리는 200미터 이내로 하며, 광역철도의 역단위전산기(SACU)의 설치를 포함하여 모든 케이블은 이중마루의 아래 부분을 통하여 기기로 연결되며, 다음과 같은 준비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1. 모든 통신 및 전원 케이블은 배관 또는 케이블 덕트에 의하여 이중마루의 아래 부분으로 인입 되어야 한다.

. 배관을 사용할 경우 전원 및 통신케이블의 2 종류로 구분되어야 한다.

. 케이블 덕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케이블 덕트의 중앙부위를 차단하여 통신케이블이 전원케이블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이중마루를 통하여 역단위 서버, 지역단위서버 내부로 들어온 케이블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연결되어야 한다.

. 통신용(UTP)케이블 : 커넥터에 의하여 Hub에서 온 Direct 케이블(Hub to PC)SMCS, LMS의 내부의 LAN Port와 연결하고 SMCS LMS간은 Cross케이블(PC to PC)을 이용하여 연결

. 전원용 케이블 : AFC콘센트(UPS전원)에 플러그로 각각 연결

. 접지선(전원) : 전원접지는 전원콘센트를 통하여 연결

3. 장비는 운반 중 발생되는 충격, 진동 등으로부터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주요 부속장치별로 별도로 포장한 후 운반하며, 설치위치에서 주요부속 장치를 재조립하여야 한다.

4. SMCS의 조립은 설치위치에 장비를 위치시킨 후 각종 부속품을 조립, 장착하여야 한다.

 

(인터페이스)

역무자동화설비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통합관리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광역철도의 역무자동화설비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중앙전산기(MS, 교통카드)와 인터페이스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무용 통신 설비  (0) 2017.05.25
열차무선설비  (0) 2017.05.25
통신전원설비 및 기타설비  (0) 2017.05.25
신호제어설비 용어  (0) 2017.05.25
전력설비  (0) 2017.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