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무용 통신 설비

 

(교환설비)

교환설비는 각종 정보통신기기와 정합되어 다양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IP기반의 교환기이어야 한다.

교환기는 다음의 안정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1. 교환기 내부의 주제어부, 보조제어부는 이중화되어야 하며, 전원부는 모든 제어부, 가입자카드에 개별로 장착하여 장애 발생시 서로 영향을 주지 말아야 한다.

2. 이중화된 주제어부 및 보조제어부의 고장 발생시 자동 절체 및 수동절체가 가능하고, 이때 동작중인 회선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말아야 한다.

3. 전원 정전후 입전시에도 메모리에 저장된 운용프로그램이 자동 및 수동으로 원래의 동작상태로 되며, 저장된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위하여 충분한 메인 메모리와 보조 메모리를 갖추어야 한다.

교환설비는 전기시계설비 등 외부 표준시계로부터 11회이상 시각을 동기화하여야 한다.

교환설비의 요소관리시스템(EMS : Element Management System)은 망관리 감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 TNM : Total Network Management System)가 가능한 기반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관제전화설비)

관제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관제전화설비의 일반적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일제호출, 그룹호출, 개별호출이 가능해야 하며, 프로그램 메뉴에 의한 등록 및 변경이 가능해야 한다.

2. 별도의 전기시계설비로부터 시각정보를 수신하여 모든 운용장치와 유지 보수장치에 동일한 시각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3. 주장치의 제어부, 신호처리부, 전원부등의 주요부분은 이중화되어야 한다.

4. 유지보수시 전체 시스템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아야 한다.

5. 자장치의 추가 증설시 확장성이 양호해야 하며, 증설 작업시 시스템의 정상동작에 중단이 없어야 한다.

 

(영상감시장치)

영상감시장치의 설치 기준은 다음 각호를 만족시켜야 한다.

1. 각 역사 승강장 및 변전소, 취약개소, 건넘선 개소, 절연구간, 주요터널, 교량 등 감시가 필요한 취약개소에 설치하여 현장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하며, 운용자의 필요시 영상의 선택 및 녹화를 위한 제어가 되어야 한다.

2. 카메라의 영상신호는 장시간 디지털 녹화기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하여야 한다.

3. 카메라는 해당 영상감시 목적에 부합되도록 조도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4. 진동 등 외부환경으로부터 안정적이어야 한다.

5. 관제실과 역무실에는 승강장, 맞이방 등의 안전이 취약한 장소의 상황을 화상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6. 역무실에는 화재경보가 감지된 지역을 화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7. 운전실에는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여 정차한 후 출발할 때까지의 승강장 상황을 화상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8. 영상감시장치가 설치되는 건물의 주요 출입구에 영상감시장치 안내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전기시계설비)

전기시계의 시스템 구성은 다음의 구성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1. 표준시간 수신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에 의한다.

2. 모시계, 부모시계, 자시계로 구성하여야 한다.

3. 모시계, 부모시계는 이중화하며, 자동절체 기능이 있어야 한다.

4. 모시계는 각 자시계의 시간 보정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제어가 가능하여야 한다.

5. 모시계회로 유니트에서 지정된 시간 입력시 각 자시계는 해당시간으로 제어가 가능하여야 한다.

6. 전원공급부는 이중화되어야 한다.

7. 기기용 접지 및 입력 전원선은 낙뢰시, 지락시에 대한 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8. 모시계에서 발생되는 시각펄스는 매초 및 매 30초마다 발생되어야 하고 실시간 인공위성 GPS에 의하여 시각 조정이 가능해야 한다.

 

(정보통신망 설비)

정보통신망 설비는 각 역 및 기지내의 철도 운영 및 유지보수 업무를 위한 내부 데이터망(LAN)과 이들 각 역 및 기지들간의 상호연결 및 중앙 전산기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통신망(WAN)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안정화된 장비 및 장비의 주요부문 이중화로 운영중 장비불량 및 가동중지 가능성이 없어야 한다.

신기술의 채택 및 접목이 용이해야 하고, 네트워크 장비에 대하여 비밀번호(Password)에 의한 장비자체의 보안 기능이 있어야 한다.

정보통신망설비의 주요설비는 망관리 감시(NMS, TNM)가 가능한 기반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여객안내설비)

여객안내설비는 철도를 이용하는 여객에게 열차운행에 관한 제반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중앙(TIDS : Train Information Display System) 서버및 각 역 TIDS서버와 각종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기 등으로 구성된다.

고속철도 여객안내설비는 고속철도(CTC : Centralized Traffic Control)로부터 운행정보 제공받으며, 일반철도는 TIDS로부터 표출정보를 안정적으로 제공받아 표시기에 표출하여야 하며 지연시각 정보 및 열차 출도착 정보 등을 실시간 처리가능하여야 한다.

표시기는 운행정보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소자를 기준으로 하되 건축 실내외 환경에 따른 적절한 보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TIDS서버는 설치 위치에 설치되고, 모든 케이블은 이중마루의 아래 부분을 통하여 기기로 연결되며, 다음과 같은 준비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1. 모든 통신 및 전원케이블은 배관 또는 케이블 덕트에 의하여 이중마루의 아래 부분으로 인입되어야 한다.

. 배관을 사용할 경우 전원 및 통신케이블의 2 종류로 구분되어야 한다.

. 케이블 덕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케이블덕트의 중앙 부위를 차단하여 통신케이블이 전원케이블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이중마루를 통하여 역TIDS서버 랙 내부로 들어온 케이블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연결하여야 한다.

. 통신용 케이블 : 커넥터(RJ45)에 의하여 역TIDS의 외부 통신장치와 연결

. 전원용 케이블 : TIDS 내부의 무정전전원장치(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서 콘센트로 연결.

. 통신접지 : 통신접지는 장비내 접지단자에 연결.

3. 장비는 운반중 발생되는 충격, 진동 등으로부터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랙과 랙 내의 구성장비를 별도로 포장한 후 운반하며, 설치위치에서 랙 내의 구성장비를 장착하여야 한다.

4. TIDS 설치는 설치위치에 역TIDS Rack을 위치시킨 후 UPS, TIDS1, TIDS2, 모니터1, 모니터2 순으로 장착하여야 한다.

 

(통신망운용센터설비)

통신망운용센터설비(TNM)라 함은 고속철도 또는 일반철도 통신설비의 운영상황 및 경보 등 종합적 통신망 상황을 중앙에서 감시하기 위한 설비로 서버, EMS, NMS 및 미들웨어와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망운용센터설비(TNM)는 각 개소별 통신망 운용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장애발생시 즉각 조치가 가능한 시스템 구조를 가져야 한다.

 

(교통약자편의시설)

철도를 이용하는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등이 역사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음 각호의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1. 시각장애인 음성유도기

2. 청각장애인 시각경보기

3. 장애인용 자동개집표기

4.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및 장애인용 리프트카 통화장치

5.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및 장애인용 리프트카 감시용 영상감시장치

6. 화장실 비상통화장치(장애인 및 노약자)

 

(광케이블 감시장치)

광케이블은 과학적 관리 및 성능, 품질 등을 자동으로 원격감시할 수 있도록 감시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광케이블 감시장치의 성능 및 품질은 중앙 및 지역별로 감시가 가능하여야 하며,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 구축하여 성능 및 품질의 이상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여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설비 용어  (0) 2017.05.25
전송설비   (0) 2017.05.25
열차무선설비  (0) 2017.05.25
역무자동화설비   (0) 2017.05.25
통신전원설비 및 기타설비  (0) 2017.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