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설비

 

(설치기준)

회선의 평형도는 주파수 1Hz에서 측정하여 46dB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1. 다른 전기통신 설비에 대하여 방해를 줄 우려가 없는 선조를 사용하는 경우

2. 강전류전선을 전송매체로 이용하는 경우

3. 다른 회선에 대하여 주는 방해가 55 dBm 이하인 경우

4. 선로설비에 음성주파수 또는 고주파수의 전류를 보내는 것으로서 수신단에 증폭기가 있는 다른 회선에 대하여 주는 방해가 그 증폭기의 입력측에서 피해방해회선 전류의 주파수가 음성주파수일 경우 -70dBm 이하인 경우

5. 선로설비에 직류 또는 저주파수의 전류를 보내는 것으로서 대지귀로 방식의 다른 회선에 대하여 주는 방해가 피 방해회선 수신전류의 5%이하인 경우

전송설비에 보내는 전기통신 신호의 전압은 100V 이하이어야 한다.

선로의 전력은 그 주파수가 음성 주파수일 때는 +10 dBm 이하, 고주파수일 때는 +20dBm 이하이어야 한다.

선로설비의 회선 상호간 회선과 대지간 및 회선의 심선 상호간의 저항은 직류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10MΩ 이상이어야 한다.

전기통신설비는 회선상호간에 전기통신신호의 내용이 아래의 누화감쇠량의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종 별

누 화 감 쇠 량 의 한 계 치

전화급

평형회선

두 회선 사이의 근단누화 또는 원단누화의 요해성

누화감쇠량은 68데시벨 이상

전화용시외자동교환기

두 회선 사이의 근단누화 또는 원단누화의 요해성

누화감쇠량은 68데시벨 이상

4선식 반송방식회선

동일 채널의 상행과 하행사이의 근단누화 감쇠량

55데시벨 이상

기타

정보통신부장관이 고시한 경우 그 한계치 이상

 

(보호기 및 접지)

낙뢰 또는 강전류전선과의 접촉 등에 의하여 이상 전류 또는 이상전압이 유입될 우려가 있는 전기통신설비에는 과전류 또는 과전압을 방전시키거나 이를 제한 또는 차단하는 보호기가 설치되어야 한다.

보호기와 금속으로 된 주배선반, 지지물, 단자함 등이 사람 또는 전기통신설비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접지설비를 하여야 한다.

 

(강 전류전선과의 관계)

전송설비가 강 전류전선과 교차접근하거나 동일 지지물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강 전류전선으로부터 피해를 받지 아니하도록 충분한 거리를 두거나 보호망 또는 보호선을 설치하는 등의 보호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케이블 포설)

통신실 바닥은 이중마루(Access Floor) 형태로 시설하여야 하며 통신실내에 각종 케이블을 포설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렉간 각종 통신케이블은 이중마루 하단을 이용하여 포설하여야 한다.

2. 이중마루 내에 포설시는 케이블 허용곡률반경에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국내케이블 포설시 주의사항)

국내케이블포설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각종케이블의 포설 구간, 길이 및 규격품 여분을 확인한 후 적정 루트로 포설하여야 한다.

2. 각종 케이블을 교차하거나 꼬이지 않도록 하고 차기 증설 분을 고려하여 포설하여야 하다.

3. 직류전원 및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은 전자유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AC 전원선과 이격 포설하여야 한다.

 

(유니트 실장)

전송설비의 유니트 실장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Rack) 상부의 과전류 차단 스위치가 OFF 된 상태에서 장치의 전면 실장도에 따라 각 유니트를 손상이 가지 않도록 삽입하여야 한다.

2. 유니트를 랙(Rack)에 실장하기 전에 유니트 스트랩 연결 및 스위치의 위치가 정상위치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3. 샐프내 각 유니트 삽입은 좌에서 우로 설치하며 또 상하로 나누어진 경우에는 하단부터 가이드홈에 맞추어 정중하게 실장하여야 한다.

4. 유니트 보관 및 이동시는 정전기 방지포장이 되어야 하며, 셀프에 인출 작업시는 어스링을 착용하여야 한다.

 

(케이블 포박)

케이블 뭉치 내림부 이하의 수직부분 및 타합 케이블 등 수직 랙(Rack)위에 포설한 케이블은 포박실로 포박하고 수평 랙(Rack)위에 포설한 케이블은 비닐 밴드로 일괄 포박하여야 한다.

 

(광점퍼 코드 접속)

광점퍼 코드의 접속은 다음 각호와 같이 하여야 한다.

1. 광 점퍼 코드의 한쪽 커넥터를 분배함 내에 취부되어 있는 분배기에 접속하여야 한다.

2. 분배기에 광 커넥터를 접속한 후 분배기내의 표시판에 회선수용 내역을 기재하여야 한다.

3. 광 감쇠기에 결합되어 있는 점퍼코드를 한곳으로 모아 점퍼코드 출구로 정중히 정리하여 빼내야 한다.

4. 출구에서 나온 점퍼코드는 광 단국장치에 연결하고 잔여점퍼코드의 여장을 저장함에 정리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5. 상기 작업후 분배함 또는 저장함의 광 점퍼코드 배선상태 및 시스템 작동을 점검한 후 이상이 없을 시 분배함, 저장함의 전면 커버를 덮고, 커버가 이탈되지 않도록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선로  (0) 2017.05.25
통신설비 용어  (0) 2017.05.25
역무용 통신 설비  (0) 2017.05.25
열차무선설비  (0) 2017.05.25
역무자동화설비   (0) 2017.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