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구간과 장력구간
가공전차선로의 인류구간(길이를 나타낼 때에는 섹션 또는 인류길이라 한다) 설정은 다음과 같이 한다.
커티너리 가선구간은 1,500[m] 이하로 한다. 다만, 신규 스프링식 장력장치를 시설할 경우 스트로크 조정범위에 따라 연장 할 수 있다.
급전선, 비절연보호선의 인류구간은 1,000[m] 이하로 한다.
인류장치
전차선, 조가선, 급전선, 비절연보호선 등의 인류장치는 다음 각호 및 표준도에 의한다.
전차선, 조가선 및 합성전차선의 인류장치는 인류구간이 750[m] 이하 일때에는 일 단에 설치한다. 다만, 터널내에서 자동장력 조정장치를 설치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인류구간의 양단에 인류장치를 설치 할 수 있다.
인류장치는 지지물에 견고하게 설치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옹벽 등에 시설할 수 있다.
인류전용주는 가선종단주 이외에는 별도로 시설하지 아니함을 원칙으로 한다.
급전선, 비절연보호선의 인류장치는 1,000[m]마다 설치함을 원칙으로 하고 선로횡단 및 터널입구 등의 취약지점이나 보수상 필요한 곳, 횡장력이 극히 심한구간(곡선반경 300[m]이하)의 장력을 분할할 필요가 있는 곳에 설치한다.
영구신장조성 Pre-stretch
본선의 전차선 및 조가선은 전선의 신장을 적게하기 위하여 인류장치를 조정하기 전에 영구신장조성(Pre-stretch)을 시행한다.
부본선 및 본선과 교차하는 전차선 및 조가선은 필요에 따라 영구신장 조성을 시행한다.
영구신장 조성시의 장력 및 시간은 다음과 같다.
구 분 | 종 별(㎟) | 과 장 력 | 시간(분) | 비 고 |
전차선 | Cu 110㎟ | 운전장력의 150% | 72시간 | 신설선 |
조가선 | CCS 65㎟ | 운전장력의 120% | 10 | 신설선 |
장력조정장치
전차선, 조가선의 온도변화에 따른 장력변화는 자동장력조정장치에 의하여 조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자동장력조정장치는 온도변화, 조정거리, 설치장소 등을 고려, 사용전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구배구간에서 인류구간의 한쪽에 자동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그 인류구간의 아래(낮은)쪽에 설치한다. 자동장력조정장치를 하는 조가선 및 전차선은 억제저항이 적게 되도록 시설한다.
자동장력조정장치는 스프링식을 사용하도록 한다.
전차선 및 조가선의 표준장력
전차선 및 조가선의 표준장력은 다음 각호에 의한다.
전 차 선 | 조 가 선 | 비 고 | ||
선 종 | 장 력 | 선 종 | 장 력 | |
110[㎟] | 9,800[N] | 강심동연선 65[㎟] | 9,800[N] | 측 선 |
110[㎟] | 11,760[N] | 강심동연선 65[㎟] | 11,760[N] | 본선 및 부본선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성전차선에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 (0) | 2017.08.14 |
---|---|
균압설비의 종별과 사용구분 (0) | 2017.08.14 |
구분장치의 종별과 사용구분 (0) | 2017.08.14 |
급전선의 지지와 배열 (0) | 2017.08.14 |
전차선 접지 (0) | 2017.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