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관련 전기설비

 

 

1. 토목관련 전기설비의 필요성

 

(1) 토목분야와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토목분야 시공 시 선 시공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분야(전철전력, 신호, 통신) 시설물을 토목공사에 반영 시공함으로서 최적의 시공품질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2) 규격 등의 자세한 내용은 토목 관련 전기설비 표준도를 활용한다.

 

 

2. 장소별 토목관련 전기설비

 

장소별 토목관련 전기설비는 다음과 같다.    


토목관련 전기설비의 종류

   

구분

설비내역

토공

전선관로

핸드홀

접지설비

횡단전선관로

전기 및 신호, 통신 기능실 부지

교량

(고 가)

전선관로

전철주 기초

구조체 접지(교각기초, 상판)

INSERT SLEEVE

전기 및 신호, 통신 기능실 부지(교량하부)

터널

공동구(전선관로)

C-찬넬(전차선 지지용)

구조체 접지

BLOCK OUT COVER 및 횡단전선관

전기 및 신호, 통신 기능실 부지


    

 

3. 토목관련 전기설비 시행절차

 

토목관련 전기설비의 시행절차는 다음과 같다.


토목관련 전기설비의 시행절차


노반공사 착공

․ 사업별 전기설비 전담자 지정 (노반감리, 시공사)

 ․ 사업별 전기 담당자 지정(전기PM부)

전기시설물 착수  

  ․ 노반/전기 인터페이스 검토

․ 주요자재 공급원 및 체크리스트(ITC) 검토

․ 설계변경시 전기관련사항 반영

전기시설물 점검

․ 자체점검(전기PM : 별도계획 수립)

․ 합동점검(전기PM부, 노반감리단, 시공사)

⇨ 점검결과 통보 및 시정

 노반공사 완료

  ․ 인계인수 점검(노반감리단, 전기감리단)

*전기PM, 노반PM 입회

 ⇨ 점검결과 통보 및 시정

토목관련 전기설비 인수

․ 전기공사 시행(전철전력, 신호, 통신)



4. 토목관련 전기설비 현황  

 

1)  전선관로(공동관로, 전선관)  

(1) 철도 안전운행을 위한 전기, 통신분야 각종 시설물의 전원공급, 통신 및 신호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케이블 포설을 위한 전선관로를 구성하여야 한다.  

(2) 교량 및 터널구간에 특고압/저압케이블 분리를 위해 격벽을 설치하여야 한다.  

(3) 설치기준 및 설치현황은 다음과 같다.  

 

전선관로 설치기준

구분

고속철도

일반철도

토공구간

, 하선 양측에 4칸 개거식

콘크리트 공동관로 설치

깍기구간일 경우 상, 하선 양측에 3

칸 개거식 콘크리트 공동관로 설치

돋기구간일 경우 상, 하선 양측에

매입 전선관 설치

교량구간

, 하선 양측에 콘크리트

공동관로 설치

, 하선 양측 공동관로 설치

터널구 간

, 하선 양 측 공동관로 설치

, 하선 양측 공동관로 설치


* , 일반철도 토공의 짧은 돋기, 깍기등 연속되는 구간은 시공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전선관로를 달리 구성할 수 있다.

     

2)  횡단전선관  

(1) 철도선로 양측의 역구내 및 역간 각 기능실(변전소, 배전소, 신호 및 통신)의 전원공, 접지 등의 선로횡단이 필요한 개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2) 설치기준 및 현황은 다음과 같다.  

 

횡단전선관 설치기준

 

고속철도

일반철도

상하선 양측을 매 150250[m] 간격으로 횡

단전선관 설치

터널 및 교량 시, 종점부에 횡단전선관 설치

역구내, 전기실 및 배전소 등의 시스템분야

기능실 앞에 횡단전선관 설치

터널 및 교량 시, 종점부에 횡단전선관 설치

역구내, 전기실 및 배전소 등의 시스템분야

기능실 앞에 횡단전선관 설치

보호선 연결 개소 : 11.2[km]마다 횡단



3) 핸드홀  

(1) 토공구간 및 토공-교량, 토공-터널 시종점 연결부, 정거장 수전실 및 전기실, 변전, 터널 배전소 및 신호, 통신기능실의 인출부 등에 핸드홀을 설치함.  

(2) 설치기준 및 현황은 다음과 같다.  

 

핸드홀 설치기준


구분

고속철도

일반철도

공통

사항

역구내, 전기실 및 배전소 등 시스템분야

기능실 인출부 핸드홀 설치

터널 및 교량 시종점부 상하선 양 측

에 핸드홀 설치

토공구간 상하선 양측에 매 150

250[m] 간격으로 핸드홀 설치

역구내, 전기실 및 배전소 등 시스템분야

기능실 인출부 핸드홀 설치

터널 및 교량 시종점부 상하선 양측

에 핸드홀 설치


 

(3) 핸드홀의 종류 및 용도는 다음과 같다.  

 

일반철도 핸드홀 종류 및 용도


번호

용도

명칭

적용장소

명칭풀이

1

기본형

H-Sv

토공-교량 연결부

Handhole-Standard viaduct

2

기본형

H-St

토공-터널 연결부

Handhole-Standard tunnel

3

기본형

H-S(J)

토공 돋기 - 토공 깍기 연결부

Handhole-Standard(Joint)

4

기본형

H-S(F)

토공(돋기)

Handhole-Standard(Fill)

5

기본형

H-S(C)

토공(깍기)

Handhole-Standard(Cut)

6

배전소

입출부

H-H(C )

토공(깍기)

Handhole-Handhole(Cut)

7

배전소

입출부

H-H(F)

토공(돋기)

Handhole-Handhole(Fill)

8

배전소

입출부

H-Ht

토공-터널 연결부

Handhole-Handhole tunnel



고속철도 핸드홀 종류 및 용도


번호

용 도

명칭

적용장소

명칭풀이

1

기본형

H-Sv(C)

토공(깍기)-교량 연결부

Handhole-Standard

viaduct(Cut)

2

기본형

H-Sv( F )

토공(돋기)-교량 연결부

Handhole-Standard

viaduct(Fill)

4

기본형

H-St(C)

토공(깍기)-터널 연결부

(횡단전선관 6개 이하)

Handhole-Standard tunnel(Cut)

5

기본형

H-St( F )

토공(돋기)-터널 연결부

(횡단전선관 6개 이하)

Handhole-Standard tunnel(Fill)

6

기본형

H-HVt(C)

토공(깍기)-터널 연결부

(횡단전선관 7개 이상)

Handhole-High Voltage

tunnel(Cut)

7

기본형

H-HVt( F )

토공(돋기)-터널 연결부

(횡단전선관 7개 이상)

Handhole-High Voltage

tunnel(Fill)

8

기본형

H-S(C)

토공(깍기)

Handhole-Standard(Cut)

9

기본형

H-S(F)

토공(돋기)

Handhole-Standard(Fill)

10

배전소

입출부

H-H(C)

토공(깍기)

Handhole-Handhole(Cut)

11

배전소

입출부

H-H(F)

토공(돋기)

Handhole-Handhole(Fill)


 

4)  접지설비  

(1) 사고 시 발생되는 이상전류(낙뢰고장전류)로 인한 인체 감전, 기기파손, 전력자장비 오동작 및 파손(보호계전기 동작 확보) 등의 방지를 위하여 매설접지를 시설 하여야 한다.  

(2) 설치기준 및 현황은 다음과 같다.  

 

토공구간 접지설비 설치기준


구분

일반철도

고속철도

매설 접지선

(CU 35)

상선 1회선 매설

상선 1회선 매설

절연 접지선

(F-GV 70)

 

,하선 공동 관로내 2회선 포설

접지단자함

250m 간격으로 설치

 

본딩선

 

250[m]

접속선

 

필요개소에서 분기


 

터널구간 접지설비 설치기준


구분

일반철도

고속철도

매설 접지선

(CU 35)

, 하선 2회선 매설

, 하선 2회선 매설

절연 접지선

(F-GV 70)

 

,하선 공동 관로내 2회선 포설

접지단자함

250m 간격으로 설치

 

본딩선

 

250[m]

접속선

 

필요개소에서 분기

구조물 접지

접지용 평철 설치 200이상

접지용 평철 설치 200이상


 

교량구간 접지설비 설치기준


구분

일반철도

고속철도

절연 접지선

(F-GV 70)

,하선 공동 관로내 2회선 포설

,하선 공동 관로내 2회선 포설

접속선

필요개소에서 분기

필요개소에서 분기

구조물 접지

매 교각 마다 시설

교량 신축이음장치 개소 접지

매 교각 마다 시설

교량 신축이음장치 개소 접지



5)  매설접지의 배관/전선 규격 및 설계/시공 주체  

(1) 매설접지의 배관, 전선의 규격 및 설계, 시공의 주체는 다음과 같다.  

 

매설접지의 배관, 전선의 규격 및 설계/시공 주체


구분

규격[, ]

설계주체

시공주체

일반

고속

일반

고 속

일반

고 속

토공

매설접지선

(연동연선)

C U 35

C U 35

전력

전력

토목

토목

접지인출선(절연접지선)

F - G V 70

F - G V 70

전력

전력

토목

토목

공동관로내 절연접지선

F - G V 70

A CSR 95

F - G V 70

A CSR 95

-

전력

-

전력

임피던스 본드

F - G V 70

F - G V 70

신호

신호

신호

신호

횡단접속

(CPW,NW)

배관

PP 50

H I PVC 36

전차선

전차선

토목

토목

배선

F - G V 70

F - G V 70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횡단접속

(ICL)

배관

HIPVC

36

HIPVC 36

-

신호

-

토목

배선

F - G V 70

F - G V 70

-

신호

-

신호

단자함,보호선간 접지

F - G V 70

F - G V 70

-

전차선

-

전차선

접지단자함

 

 

전차선

-

전차선

-


구분

규격[, ]

설계주체

시공주체

일반

고속

일반

고 속

일반

고 속

역구내

매설접지선(연동연선)

C U 35

C U 35

전력

전력

전력

전력

공동관로내 절연접지선

F - G V 70

F - G V 70

-

전력

-

전력

접지인출선(절연접지선)

F - G V 70

F - G V 70

전력

전력

토목

토목

접지단자함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교량

교각접지 및 접지동관단자

CU 35,

F-GV 70

(노출)

CU 35,

F-GV 70

(노출)

토목

토목

토목

토목

공동관로내 절연접지선

F-GV 70

ACSR 95

F-GV 70

ACSR 95

전력

전력

전력

전력

접속선(동관단자~절연접지선)

F-GV 70

ACSR 95

F-GV 70

ACSR 95

전력

전력

전력

전력

임피던스 본드

F-GV 70

F-GV 70

신호

신호

신호

신호

횡단접속

(CPW,NW)

배관

H I PVC 36

H I PVC 36

전차선

전차선

토목

토목

배선

F - G V 70

F - G V 70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횡단접속

(ICL)

배관

H I PVC 36

H I PVC 36

-

신호

-

토목

배선

F - G V 70

F - G V 70

-

신호

-

신호

단자함, 보호선간 접지

F - G V 70

F - G V 70

-

전차선

-

전차선

터널

구조체접지 및 접지동관단자

 

 

-

토목

-

토목

매설접지선(연동연선)

C U 35

C U 35

전력

전력

토목

토목

접지인출선(절연접지선)

F - G V 70

F - G V 70

전력

전력

토목

토목

공동관로내 절연접지선

F - G V 70

F - G V 70

-

전력

-

전력

임피던스 본드

F - G V 70

F - G V 70

신호

신호

신호

신호

횡단접속

(CPW,NW)

배 관

H I PVC 36

H I PVC 36

전차선

전차선

토목

토목

배선

F - G V 70

F - G V 70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횡단접속

(ICL)

배 관

H I PVC 36

H I PVC 36

-

신호

-

토목

배선

F - G V 70

F - G V 70

-

신호

-

신호

단자함, 보호선간 접지

F - G V 70

F - G V 70

-

전차선

-

전차선

접지단자함

 

 

전차선

-

전차선

-



6)  전기 및 신호, 통신 기능실 부지 조성  

(1) 선로변에 설치되는 변전소, 배전소, 신호 및 통신분야의 기능실 및 터널내 기재갱 등의 시스템분야 기능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2) 설치기준 및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전기 및 신호, 통신 기능실 설치기준


구분

설치기준

변전소

10[km] 간격으로 설치

터널배전소

터널 전원공급용 배전소

- 2[km] 이하 : 터널의 시점 또는 종점부에 1개소 설치

- 2[km] 4[km] 이하 : 터널의 시점, 종점부에 1개소씩 설치

- 4km 이상 : 터널의 시점, 종점부 및 내부에 1개소씩 설치

신호, 통신용

설비 기초

신호기계실 설치 개소

터널 연선전화 500[m] 간격 설치

무선중계증폭기(시뮬레이션) 설치 위치마다 1개소 설치



7)  터널내 C-Channel 설치  

(1) 전차선로 설치를 위하여 터널공사시에 앵커볼트 및 C-Channel 을 선시공하여야 한다.  

(2) 설치기준 및 현황은 다음과 같다.  

 

터널 내 C-Channel 설치기준


구분

일반개소

평행개소

설치기준

터널 시종점부에서 5m 위치에

설치하고 4050m 간격으로 설치

터널 내 매 700m 간격으로 24

개소 설치




터널내 C-Channel 설치

⦁용도 : 터널 내부에 전차선용 급전선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C-Channel 설치




                                        

. 터널 내 C-Channel 설치현황

 

 

8)  교량 전철주 기초 설치  

(1) 교량에 전철주를 설치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기초를 설치하기 위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2) 설치기준 및 사진은 다음과 같다.  


교량내 전철주 기초 설치





 교량 전철주 기초 설치기준

 

 

 

5. 토목관련 전기설비의 설계/시공 주체

 

토목관련 전기설비의 설계 및 시공 주체는 다음과 같다.  

 

일반철도 토목관련 전기설비의 설계/시공 주체

 

[( ) : 설계주체, ≪≫ : 시공주체]

토목관련

전기설비

토공

교량

터널

공동

관로

상선 공동관로

(전 력) 토 목

상선 공동관로

(전 력) 토 목

상선 공동관로

(전 력) 토 목

하선 공동관로

(통 신) 토 목

하선 공동관로

(통 신) 토 목

,하선 공동관로 격 벽 설치

(통 신) 통 신

하선 공동관로

(통 신) 토 목

,하선 공동관로 격 벽 설치

(통 신) 통 신

핸드홀

,하선 핸드홀

(분야별) 토 목

 

 

접지

설비

매설접지선( 연 동 연 선)

(전 력) 토 목

교각접지 및 접지동관단자

(토 목) 토 목

매설접지선( 연 동 연 선)

(전 력) 토 목

접지인출선

(전 력) 토 목

공동관로내 절 연 접지선

(전 력) 전 력

접지인 출 선(절 연 접지선)

(전 력) 토 목

접지단자함

(전차선) 전차선

접 속 선(동관단자 ~ 절 연 접지선)

(전 력) 전 력

접지단자 함

(전차선) 전차선

임피던스본드

(신 호) 신 호

임피던스본드

(신 호) 신 호

임피던스본드

(신 호) 신 호

울타리 등 선로변 피접지물 (전차선) 전차선

비전철구간의 매설접지선 및 접지인출선 (전 력) 토 목

비전철구간의 접지단자함 (전 력) 전 력

교량용 전철주 기초,

터널 C-챤넬

 

교량용 전철주 및 지선 기초

(전차선) 토 목

터널 전차선로 C- 챤넬

(전차선) 토 목

터널전기기재갱,

기재갱출입문

 

 

기재갱 위치 및 규모(분야별)

기재갱, 출입문

(토 목) 토 목

터널전기기재갱내

전기설비 기초

 

 

기재갱내 신호,통신설비 기초

(분야별) 토목

기지갱내 전력설비 기초

(전력) 토목

횡단전선관,

핸드홀

선로횡단을 위한 횡단전선관 및 핸드홀은 분야별로 필요개소에 반영하고 전력분

야에서 자료 취합 (분야별) 토 목


* 기재갱(신호실, 전기실 등 호칭한다) 출입문  

- 열차풍(미기압파)이나 진동 등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안전성 및 구조 계산을 수행하여 고정되도록 해야한다.

(null)

   

고속철도 토목관련 전기설비의 설계/시공 주체

 

[( ) : 설계주체, { } : 시공주체]  

 

토목관련

전기설비

토공

교량

터널

공동

관로

,하선 공동관로

(토 목) 토 목

,하선 공동관로

(토 목) 토 목

,하선 공동관로

(토 목) 토 목

핸드홀

,하선 핸드홀

(분야별) 토 목

 

 

접지

설비

매설접지선( 연 동 연 선)

(전 력) 토 목

교각접지 및 접지동관단자

(토 목) 토 목

매설접지선( 연 동 연 선)

(전 력) 토 목

접지인 출 선(절 연 접지선)

(전 력) 토 목

공동관로내 절 연 접지선

(전 력) 전 력

구조체접지 및 접지동관단자

(토 목) 토 목

공동관로내 절 연 접지선

(전 력) 전 력

접 속 선(동관단자 ~ 절 연 접지선)

(전 력) 전 력

접지인 출 선(절 연 접지선)

(전 력) 토 목

임피던스본드

(신 호) 신 호

임피던스본드

(신 호) 신 호

공동관로내 절연접지선

(전 력) 전 력

 

 

임피던스본드

(신 호) 신 호

울타리 등 선로변 피접지물 (전차선) 전차선

교량용 전철주 기초,

터널 C-챤넬

 

교량용 전철주 및 지선 기초

(전차선) 토 목

터널 전차선로 C- 챤넬

(전차선) 토 목

터널전기기재갱,

기재갱출입문

 

 

기재갱 위치 및 규모(분야별)

기재갱, 출입문

(토 목) 토 목

터널전기기재갱

전기설비 기초

 

 

기재갱내 신호,통신설비 기초

(분야별) 토목

기지갱내 전력설비 기초

(전력) 토목

횡단전선관,

핸드홀

선로횡단을 위한 횡단전선관 및 핸드홀은 분야별로 필요개소에 반영하고 전력분

야에서 자료 취합 (분야별) 토 목


* 기재갱(신호실, 전기실 등 호칭한다) 출입문  

- 열차풍(미기압파)이나 진동 등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안전성 및 구조 계산을 수행하여 고정되도록 해야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배전계통의 구성  (0) 2017.08.29
배전선로의 구성  (0) 2017.08.29
배전선로 설계   (0) 2017.08.29
전차선로용 애자설계  (0) 2017.08.28
전차선로의 전압  (0) 2017.08.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