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뢰기
1. 피뢰기 등의 시설
(1) 고압 또는 특별고압 가공전선로에서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또는 이와 근접한 곳에는 피뢰기를 시설하여야 한다.
(2) 옥내에 시설하는 피뢰기는 주요부분을 자기제 등의 용기내부에 넣은 형식의 것을 사용한다.
(3) 피뢰기에 이르는 전선은 각 극에 전용의 단로기 또는 컷아웃스위치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인입구 단로기 등의 부하 측 단자에서 있어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시설한 것. 또는 단로기 구조의 것, 혹은 기기내에 피뢰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주) 컷아웃에는 퓨즈를 넣으면 안 된다.
2. 피뢰기의 접지
고압 또는 특별고압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는 공통접지와 연결한다. 다만 비공통 접지구간은 제1종 접지를 한다.
3. 설치위치
(1) 피뢰기의 보호레벨과 피보호기 절연내력간의 협조를 이루기 위하여 필요한 위치선정은 다음 사항을 전제로 검토한다.
① 피보호기의 제1대상은 전력용 변압기이며, 가능한 한 이에 근접하도록 한다.
② 피뢰기의 접지도선은 가능한 한 짧게 한다.
(2) 변압기와 피뢰기의 거리
① 유효차폐 수변전 설비
1회선 수전의 경우 피뢰기와 피보호기기의 최대유효 이격거리
선 로 전 압 [㎸] | 유 효 이 격 거 리 [m] |
154 66 22 22.9 | 65 45 20 20 |
4. 정격전압의 결정
전기사업자의 송배전선로의 중성점 접지방식과 전기기기의 절연내력은 이미 정하여 있으므로,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표 와 같이 적용한다.
피뢰기의 정격전압
전력계통 | 피뢰기의 정격전압 [㎸] | ||
전압[㎸] | 중성점 접지방식 | 변전소 | 배전선로 |
345 154 66 22 22.9 6.6 3.3 | 유효접지 유효접지 PC접지 또는 비접지 PC접지 또는 비접지 3상 4선 다중접지 비접지 비접지 | 288 138 75 24 21 7.5 7.5 | 18 7.5 7.5(4.2) |
(주) 전압 22.9[㎸] 이하의 배전선로에서 수전하는 설비의 피뢰기 정격전압[㎸]은 배전선로용을 적용한다.
5. 피뢰기의 공칭 방전전류
피뢰기에 흐르는 정격방전전류는 변전소의 차폐유무와 그 지방의 연간뇌우 발생일수에 관계되나 제 요소를 고려한 일반적인 시설장소별 피뢰기의 공칭방전전류는 표와 같이 적용한다.
설치장소별 피뢰기 공칭 방전전류
공칭방전전류 | 설치장소 | 적용조건 |
10,000 A | 변전소 | 1. 154㎸ 이상의 계통 2. 66㎸ 및 그 이하의 계통에서 Bank용량이 3,000kVA를 초과 하거나 특히 중요한 곳 3. 장거리 송전선케이블 (배전 “휘다” 인출용 단거리케이블은 제외) 및 정전축전기 Bank를 개폐하는 곳 |
5,000 A | 변전소 | 66 ㎸ 및 그 이하의 계통에서 B an k 용량이 3,000 k V A 이하인 곳 |
2,500 A | 선로 변전소 | 배전선로 배전선 “휘다” 인출측 |
(주) 1. 전압 22.9[㎸] 이하 (22[㎸] 비접지 제외)의 배전선로에서 수전하는 설비의 피뢰기 공칭방전전류는 일반적으로 2,500[A]의 것을 적용한다.
피뢰기의 정격
공 칭 방 전 전 류 [A] | 피 뢰 기 의 정 격 전 압 [㎸] |
10,000 | 288 138(144), 75(72), 24, 21, 12, 7.5 |
5,000 | 75(72), 24, 21, 12, 7.5 |
2,500 | 18, 9, 7.5, (4.2) |
6. 피뢰기의 설치장소
(1) 고압 및 특별고압의 전로 중 다음 각 호 또는 이에 근접한 곳에 설치한다. 다만, 가공지선이 설치된 구간은 생략할 수 있다.
① 변전소의 인입구 및 인출구와 수용장소(수전설비)의 인입구
②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신호용 변압기 또는 조명 및 동력용 주요변압기의 전원 측 50[m] 이내
③ 가공전선과 지중선로가 접속되는 곳
④ 가공지선의 시․종단부의 가공전선
(2) 피뢰기는 가능한 한 보호하는 기기와 가깝게 시설한다.
7. 피뢰기의 선정
피뢰기는 다음 각 호의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1) 피뢰기는 밀봉형을 사용하고 유효 보호거리를 증가하기 위하여 방전 개시전압 및 제한전압이 낮은 것을 선정한다.
(2) 유도뢰 서지에 대하여 2선 또는 3선의 피뢰기가 동시에 동작이 우려되는 변전소 근처의 단락전류가 큰 장소에는 속류 차단능력이 크고 또한 차단성능이 회로조건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적은 것을 사용한다.
8. 피뢰기의 접지
피뢰기에 시공하는 접지공사의 접지 저항치는 10[Ω] 이하로 한다.
서지흡수기
1. 서지흡수기의 시설
구내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폐서지, 순간과도전압 등으로 이상전압이 2차기기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서지흡수기를 시설하여야 한다.
2. 설치위치 및 적용범위
서지흡수기 설치위치는 보호하고자 하는 기기전단으로 개폐서지를 발생하는 차단기 후단 부하 측 사이에 설치 운용한다.
서지흡수기의 적용
차단기 종류 | VCB | |||||
전 압등급 | ||||||
2차보호기기 | 3[㎸] | 6[㎸] | 10[㎸] | 20[㎸] | 30[㎸] | |
전 동기 | 적용 | 적용 | 적용 | - | - | |
변압기 | 유입식 | 불필요 | 불필요 | 불필요 | 불필요 | 불필요 |
몰 드식 | 적용 | 적용 | 적용 | 적용 | 적용 | |
건식 | 적용 | 적용 | 적용 | 적용 | 적용 | |
콘덴서 | 불필요 | 불필요 | 불필요 | 불필요 | 불필요 | |
변압기와 유도기기와의 혼용 사용시 | 적용 | 적용 | - | - | - |
(주) 상기 표에서와 같이 VCB를 사용 시 반드시 서지흡수기를 설치해야 하나 VCB와 유입변압기를 사용 시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3. 접지
서지흡수기는 공통접지와 연결한다. 다만 비공통접지구간인 경우에는 제1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상용 콘덴서 설비 (0) | 2017.08.29 |
---|---|
지락차단장치 (0) | 2017.08.29 |
수배전계통의 구성 (0) | 2017.08.29 |
배전선로의 구성 (0) | 2017.08.29 |
토목관련 전기설비 (0) | 2017.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