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선로 특성에 적합한 공통접지방식
1. 현재 사용중인 용어 비교
공통접지 계통의 전기, 신호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는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갖고 있지만 각각의 보고서에는 아래와 같이 서로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① 전기 분야
전기 분야 사용중인 용어
구분 | 내용 | 비고 |
FPW (Fault Protective Wire) | 비절연 보호선 |
|
NW (Neutral Wire) | 중성선 |
|
CPW (Connector of Protective Wire) | 보호선용 접속선 |
|
CCL(Cross Connection Line) | 횡단 접속선 |
|
ACCL(Auxiliary Cross Connection Line) | 보조 횡단 접속선 |
|
BEC (Buried Earth Wire) | 매설 접지선 |
|
② 신호 분야
신호 분야 사용중인 용어
구분 | 내용 | 비고 |
LTI (Overall Transverse Link) | 건넘선 | 경부 1단계 |
ICL (Inter Cross Link) | 경부 2단계 | |
LEAE (Partial Traverse Link) | 반 건넘선 |
|
CPW (Catenary Protective Wire) | 공중 보호선 |
|
GGN (General Ground Network) | 접지망 |
|
Common mode | 공동 접지 |
|
Differential mode | 단독 접지 |
|
BEC (Buried Earth Wire) | 매설 접지선 |
|
2. 고속철도 횡단 접속선 적정 거리
공동 접지망의 구성은 LTI(ICL)와 LEAE를 사용한다. 이는 귀선 전류의 평행 및 궤도에 인가되는 선로 및 접지 전압의 감소를 위해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LEAE는 동일 궤도에 존재하는 각각의 접지 장비에 대한 “1/2 횡단접속”으로 LTI는 상행, 하행 궤도 설비 모두를 연결함으로 횡단 공통접속의 의미를 갖는다.
적색영역은 반경 10[km]로 주어지는 변전소 부근을 의미하며 그 이외의 영역은 모두 녹색 영역으로 정의한다.
고속선의 경우에는 모든 구간이 적색영역으로 분류된다.
프랑스 접지관련 영역 구분
적색 영역의 LTI와 LTI간격 | o 1,500[m] 이하 o 필요시 LTI와 LTI 사이에는 LEAE가 사용되며 LTI와 LEAE의 간격은 750[m]로 주어진다. |
|
녹색 영역의 LTI와 LTI간격 | o 3,000[m] 이하 o 필요시 LTI와 LTI 사이에는 LEAE가 사용되며 LTI와 LEAE의 간격은 1,500[m]로 주어진다. |
|
LTI와 LEAE 접속
3. 일반철도 횡단 접속선 적정 거리
1) 변전소 위치에 따라 보호해야 할 지역의 분류
전차선과 변전소 인근의 레일에서 순환하는 전류 강도를 고려하여 보호지역의 분류를 “특수지역”과 일반 지역으로 표시한다.
(1) 전기 공급 2 x 25,000[V]
① 특수지역 : 변전소로부터 10[km] 양방
② 일반지역 : 다른 지역
2) 역간(일반구간)
접속선의 설치 간격(고속선은 별도로 규정)은 특수지역(변전소로부터 10km 양방) 1,000 ∼ 1,200[m], 일반구간 1,500 ∼ 2,000[m]로 한다. 역간에서는 보조 횡단 접속점을 두지 않으며 궤도회로에 임피던스 본드 이외에 튜닝 유니트 등이 있을 경우에는 횡단 접속점과의 거리는 최소 100[m] 이상이격 시킨다. (상호간섭 방지)
3) 변전소 구간 ( SP, SSP 포함)
횡단 접속선의 설치 간격은 귀선 전류가 변전소로 유입되는 특수지역 (변전소로부터 양방 10km)이기 때문에 안전을 고려하여 1,000∼1,200[m]로 한다.
4. 철도전철전력설비 설계 지침
1) 제 243조 (공통접지 방식의 시설)
(1) 접지단자함은 설계속도 250[km/h]이하 구간에 250[m] 마다 설치하고, 선로 피접지물 시설현황에 따라 설치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운행속도 300[km/h] 이상 구간에는 공동관로 내에 절연 접지선을 포설하고 접속방법은 π접속 또는 T접속으로 한다.
(2) 공통접지방식에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 및 규격은 다음 표에 의한다. 다만, 비절연보호선은 선구별 설계조건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철도전철전력설비 설계 지침의 전선종류 및 규격
구분 | 사용 전선 | 수량 |
매설 접지선 | Cu 35[㎟] | 1조 |
매설 접지선 | Cu 35[㎟] | 2조(양쪽) |
임피던스본드접속선 | FGV 70[㎟] | 2조 |
횡단 접속선 | FGV 70[㎟] | 2조 |
귀선전류귀환선(중성선) | FGV 70[㎟] | 4조 |
절연접지선 | FGV 70[㎟] | 1조 |
5. 용어의 정의
전기분야와 신호분야에서 사용하는 용어중 동일한 목적을 갖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LTI
신호분야에서 건넘선으로 표기되는 용어로 전기분야에서 사용되는 횡단 접속선과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 하선간 매설 접지선 연결을 의미한다.
(2) LEAE
신호분야에서 반 건넘선으로 표기되는 용어로 전기분야에서 사용되는 보조횡단 접속선과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선 또는 하선의 신호기기를 동일선로의 매설 접지선과 연결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용어의 정리
전기분야 | 신호분야 | 용어 정리 | 비고 | |||
영문 표 기 | 국문 표 기 | 영문 표기 | 국문표기 | 영문 표기 | 국문표기 |
|
FPW(Fault Protective Wire) | 비절연 보호선 |
|
| FPW(Fault Protective Wire) | 비절연 보호선 |
|
NW(Neutral Wire) | 중성선 |
|
| NW(Neutral Wire) | 중성선 |
|
CPW(Connecto r of protective Wire) | 보호선용 접속선 | CPW(Connecto r of protective Wire) | 공중보호선 | CPW(Connecto r of protective Wire) | 보호선용 접속선 |
|
전기분야 | 신호분야 | 용어 정리 | 비고 | |||
영문 표 기 | 국문 표 기 | 영문 표 기 | 국문 표 기 | 영문 표 기 | 국문 표 기 |
|
CCL(Cross Connection Line) | 횡단 접속선 | LTI(Overall Transverse Link) | 건넘선 | CCL(Cross Connection Line) | 횡단 접속선 |
|
ICL(Inter Cross Link) | ||||||
ACCL(Auxiliar t Cross Connection Line | 보조 횡단 접속선 | LEAE(Partial Traverse Link) | 반 건넘선 | ACC L (A ux i l iar t Cross Connection L i n e | 보조 횡단 접속선(임피 던 스 본드 접속선) |
|
BEC(Buried Earth Wire) | 매설 접지선 | BEC(Buried Earth Wire) | 매설 접지선 | BEC(Buried Earth Wire) | 매설 접지선 |
|
|
|
|
| IEW(Insulation Earth Wire) | 절연 접지선 |
|
- | - | GGN(General Ground Network) | 접지망 | GGN(General Ground Network) | 접지망 |
|
- | - | - | - | BW(Bonding Wire) | 본딩선 |
|
- | - | - | - | CW(Connectio n Wire) | 접속선 |
|
접속선 : 접지선과 접지 단자함 또는 선로변에 설치되는 피접지물과 연결하는 전선
6. 용어의 해설
(1) 비절연 보호선 (Fault Protective Wire)
단권 변압기방식의 지하구간 및 공통 접지방식 구간에서 섬락보호를 위하여 철재. 지지물을 연접하여 귀선레일에 접속하는 가공전선으로서 대지에 대하여 절연하지 아니하는 전선
(2) 중성선 (Neutral Wire)
단권변압기의 중성점과 귀선레일을 접속하는 전선
(3) 보호선용 접속선 (Connector of Protective Wire)
FPW 와 접지 단자간을 연결하는 전선 (단권변압기 방식에서 보호선과 귀선레일을 접속하는 전선을 말한다)(4) 횡단 접속선 (Cross Connection Line)
상, 하선 각 궤도에 대한 귀선전류 평행단락 또는 지락사고 발생 시 대지전위의 감소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전선
(5) 보조 횡단 접속선 (Auxiliary Cross Connection Line)
동일궤도에 존재하는 각각의 접지장비만을 연결하는 1/2 횡단 접속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전선을 말한다.
(6) 매설 접지선 (Buried Earth Wire)
공통접지방식에서 레일과 병행하여 양쪽 또는 한쪽에 매설하는 접지용 전선
(7) 절연 접지선 (Insulation Earth Wire)
공통접지방식에서 콘크리트내 매입되거나 공동구내 포설 또는 노출로 시공되는 개소에 사용하는 피복된 전선(8) 본딩선 (Bonding Wire)
접지선과 접지선간 연결 또는 구조체와 구조체간을 연결하는 전선
(9) 접속선 (Connection Wire)
접지선과 접지 단자함 또는 선로변에 설치되는 피접지물과 연결하는 전선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공배전선로 지지물 (0) | 2017.09.01 |
---|---|
지선과 지주 (0) | 2017.09.01 |
신호시스템의 접지 (0) | 2017.08.31 |
매설접지 시공 (0) | 2017.08.31 |
절연 접지선 (0) | 2017.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