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전선로 절연협조
1. 기본방침
154kV급 이상 직접접지방식 송변전설비의 절연협조 기준에 대한 기본방침은 아래와 같다.
(1) 계통에서 발생하는 내부이상 전압에 대하여 섬락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한다.
(2) 뇌격 등 외부 이상전압에 대하여 적절한 신뢰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3) 수전선로의 2회선 동시고장에 대한 대책은 별도로 강구하도록 한다.
2. 기본조건
(1) 뇌우발생일수 [IKL] = 20일 기준으로 설계한다.
(2) 기준절연강도 [BIL]
기기별 충격절연강도는 본 편람에서 제공하는 기준에 따른다. 다만, 별도의 기준이 명시되지 않을 경우 IEC 규격을 기준으로 반영한다.
한전 전력용변압기선정기준
계통전압 [kV] | 기준 충격절연강도(전파) | ||
공칭전압 | 최고전압 | 전절연 | 저감절연 |
154 | 170 | 750 | 650 |
(3) 철탑은 수직배열을 기본으로 하며, 애자련의 형태는 현수형, 내장형 및 Jumper 지지용으로 한다.
(4) 수전선로 이상시 보수의 어려움을 고려 중요개소는 애자를 증결 사용한다.
3. 소요 애자수량
소요애자의 수량결정을 위한 오손등급은 염진해 오손맵을 이용하며, 그 이외의 경우는 아래의 염해 오손등급별 거리를 적용한다.
(1) 소요 애자수량
애자수량
전압별 | 오손구분 | 청정지역 | 오손등급 | ||||
A | B | C | D | ||||
상정등가 염분 부착밀도 [mg/㎠] | 0.03 이하 | 0.03 초과 0.063 이하 | 0.063 초과 0.125 이하 | 0.125 초과 0.25 이하 | 0.25 초과 0.5 이하 | ||
154kV | 현수형 | 보통애자 | 10 | 11 | 12 | - | - |
내무애자 | - | - | 10 | 11 | 12 | ||
내장 형 | 보통애자 | 10 | 11 | 12 | 14 | 16 |
(2) 염해 오손등급별 거리표
오손등급별 거리표
오손등급 해안별 | 청정 | A | B | C | D |
동해 안 [㎞] | 5.7 초과 | 3.3 초과 5.7 이하 | 2.0 초과 3.3 이하 | 1.2 초과 2.0 이하 | 1.2 이하 |
서 해 [㎞] | 20.2 초과 | 9.5 초과 20.2 이하 | 4.8 초과 9.5 이하 | 2.4 초과 4.8 이하 | 2.4 이하 |
남 해 안 [㎞] | 5.0 초과 | 2.5 초과 5.0 이하 | 1.35 초과 2.5 이하 | 0.7 초과 1.35 이하 | 0.7 이하 |
제주도 [㎞] | 16.5 초과 | 8.0 초과 16.5 이하 | 4.1 초과 8.0 이하 | 2.1 초과 4.1 이하 | 2.1 이하 |
(주) 재현기간 50년 기준으로 산정한 것임
4. 절연간격
(1) 공기절연 간격 (Clearance)
. 절연간격
전압별 | 구분 | 절연간격 | |
154kV | 표준절연간격(㎜) | 현수 | 1,300 |
내장 | 1,300 | ||
최소절연간격(㎜) | 현수 | 1,150 | |
내장 | 1,150 | ||
이상시 절연간격 [㎜] | 450 | ||
상간절연간격 [㎜](주) | 1,500 |
(주) 상간절연간격은 도체중심간(center-to-center)의 거리가 아니며 충전부간(metal-to metal)에 유지 하여야 하는 최소 절연간격 임
(2) 인입부 철탑의 상간절연간격
상간절연간격
전압별 | 구분 | 공기절연간격 [㎜] | |
상-대지간 | 상 간 | ||
154kV | 최소절연간격 | 1,500 | 1,900 |
표준절연간격 | 1,900 | 3,000 |
(주) 다도체의 경우 최소절연간격은 도체충전부(metal-to-metal)간의 절연간격이며, 표준절연간격은 다도체 중심간(center-to-center)의 절연간격임
(3) 횡진각에 따른 절연간격
현수애자련 및 내장, Jumper의 횡진각
청정 | 구분 | 횡진각 | 절연간격구분 | 절연간격 [㎜] |
154kV | 현수 | 20° | 표준절연간격 | 1,300 |
40° | 최소절연간격 | 1,150 | ||
70° | 이상시절연간격 | 450 | ||
내장점퍼 | 15° | 표준절연간격 | 1,300 | |
최소절연간격 | 1,150 | |||
40° | 이상시절연간격 | 450 |
5. 내뢰 절연설계
(1) 154kV 이상 수전선로의 설계 IKL은 20을 기준으로 하며, 가공지선은 2조를 설치한다.
(2) 피뢰기의 설치 및 보호특성
① 피뢰기 설치위치
송전 계통의 피뢰기는 아래표와 같이 설치한다.
구분 | 변전소 절연방식 | 수전선로 인출방식 | 피뢰기 설치위치 |
154 kV | 공기절연 (AIS) | 가공송전선 | 선로인입부로부터 25m 이내 변압기단으로부터 50m 이내 |
지중케이블 | 케이블입상철탑 변압기단으로부터 50m 이내 | ||
가스절연 (GIS) | 가공송전선 | 선로인입부 | |
지중케이블 | 케이블입상철탑 변압기단 |
② 피뢰기의 주요 보호특성
전압 | 항목 | 상도체용 (선로, 모선) | |
154kV | 정격전압 [kV, rms] | 144 | |
연속운전전압 [kV, rms] | 115 | ||
공칭방전전류 [kA] | 10 | ||
선로방전등급 | 3등급 | ||
보호레벨 (kV peak) | 급준파 | 413 | |
뇌임펄스 | 375 | ||
개폐임펄스 | 315 | ||
단락회로내력 | 40kA, 50kA |
③ 기기의 정격 절연강도
소요 정격 절연강도는 내부 이상전압 및 외부 이상전압에 대하여 적절한 여유도를 갖도록 선정한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선로 유지보수 일반 (0) | 2017.09.08 |
---|---|
변전설비 절연협조 (0) | 2017.09.06 |
변전소 보호 및 안전설비 (0) | 2017.09.02 |
변전설비 소음장애 및 진동 방지대책 (0) | 2017.09.02 |
전선관로 (0) | 2017.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