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체 전차선로
1. 개 요
강체 전차선로는 구조물 천정에 지지금구 및 애자를 설치하고 여기에 도체인 알루미늄 재질의 “T"자형 BAR를 레일 방향으로 길게 용접하여 설치한다음 전차선을 AL-T-BAR 하단면에 붙여 달아 전기를 공급하는 설비를 말한다.
강체 전차선은 카테나리 방식에 비하여 장점으로서는 높이를 축소할 수 있으며 대전류 급전에 필요한 급전선이 필요하지 않으며 터널내에서의 단선으로 인한복구 시간 지연이 짧고 일상점검이 간단하며 마모에 의한 교환은 Trolly선만 교체하면 되므로 보수비용이 적게들며 또한 보수가 간단하다.단점으로는 Trolly와 직접 접촉하는 판타그래프에 대하여 추종성이 거의 없으므로 고속운전이 어렵다.
2. 강체방식의 선정
강체방식은 단면적이 큰 도체를 이용하고 있어 통전 용량이 크고 전차선 전압강하를 경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카테나리방식은 강체 전차선의 전류 용량과 같은 통전 용량을 확보하려면 전차선 구성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유지보수에 난점이 따른다. 강체 방식은 특히 유치선과 건넘선등 복잡한 장소에서 카테나리방식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설치 할수있고 보수가 용이하며 기계적 강도도 충분하고 무장력 으로써 안전성에도 양호한 강체 방식으로 선정하였다.
3. 강체 전차선의 지지 및 구조
강체 전차선의 지지물은 강채 전차선로의 특성중 하나인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 및 진동등을 고려하여 지지금구에 걸려있게 하며 AL T-BAR의지지간격은 DEFLECTION등을 고려하여 1/1000 이내의 구배에 만족하도록 5M 간격을 원칙으로 하며 또한 지지금구는 좌우 250mm, 상하 180mm내에서 조정할수 있는 형태로 하고, 자중 및 외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구조로 한다.
4. 강체 전차선로의 설치기준
1) 전차선 가선
① 강체전차선 구성 : AL합금 T-BAR(단면적 2100mm2)와 TROLLY WIRE (제형 170㎟)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EAR로 구성한다.
② 전차선 편위 : 전차선 편위는 좌․우 각각 200mm를 표준으로 한다.
③ 전차선 구배 : 전차선의 구배는 1/1000 이하로 한다.
2) 급전계통 구성
계통구성 : 상․하선 별로 구분하여 급전계통을 구성한다.
3) 급전선로
① 정급전선 : 3.3KV급 CV CABLE 400mm2
② 부급전선 : 600V급 IV 전선 500mm2
③ 급전선지지 : 크리트로 지지를 하며 지지 간격은 750mm를 표준으로 하고 처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한다.
4) 지지방법
가. 지지물의 형식
강체 전차선로의 지지물 형식은 다음과 같다.
(1) TYPE - A는 BOX TUNNEL에 설치한다.
(2) TYPE - B는 ARCHI 단선 TUNNEL에 설치한다.
(3) TYPE - C는 고천정 BOX TUNNEL에 설치한다.
(4) TYPE - D는 ARCHI 복선 TUNNEL에 설치한다.
나. AL-T-BAR 지지간격 : 강체전차선의 지지간격은 5m 이하로 한다.
다. 전차선의 높이 : 강체전차선의 높이는 4,250mm를 기준한다.
라. 매입전
(1) 절연앙카볼트로서 매립전, 코일, 볼트 및 넛트, 가설볼트, 가설 나비볼트로 구성한다.
(2) 매입전 위치는 직선구간에서는 궤도 중심에 설치하고 곡선구간에서는 CANT를 고려한다.
(3) 특수설비인 AIR SECTION, ANCHORING 설비는 강체전차선의 지지개소에 맞게 한다.
마. 지지금구
지금구는 터널의 종류(Box Tunnel과 Tunnel)와 터널의 높이에 따라 type별로 구분하며 최대 상하 150mm 좌우 각각 250mm의 조정 범위를 가진 구조로 용융 아연도금 강재로 한다.
바. 지지애자
지지애자는 254mm의 현수 애자로서 강체 전차선의 온도변화 등에 따른 신축에 지장이 없는 적당한 구조 및 전기적, 기계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테나리 전차선로의 설치기준 (0) | 2017.10.12 |
---|---|
카테나리 전차선로 (0) | 2017.10.12 |
표지류 (0) | 2017.10.12 |
전차선의 집전장치 (0) | 2017.10.12 |
전차선 전력계통 및 급전방법 (0) | 2017.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