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골작업



1. 작업개요


1) 철골공사는 공장에서 생산된 규격화된 재료를 사용하여 설계도서 및 제작도에 따라 철골부재를 가공.제작하는 공장제작 공정과 현장에서 부재를 조립 하는 현장시공 공정으로 크게 나뉨.
2) 특히 현장시공 공정에 직접 투입되는 근로자는 철골공사의 특성으로 다양한 재해발생 위험에 노출됨으로 각 공정에 대한 충분한 사전계획이 필요함.



2. 공정흐름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7단계

공장제작

부재반입

부재인양

부재설치

수직검수

볼트조립

용접작업


1) 부재반입 및 하역


위험요인

안전작업방법

•차량진입시 운전자의 미숙으로 보행중인 근로자 협착
•자재입고 하역 적재시 지반 및 자재 수평 불일치로 전도 위험성 발생하여 근로자 협착
•크레인 자재양중시 와이어 파단 및자재 과다 양중으로 낙하물 발생

•차량진입시 신호수는 운전자 시야에 들어오도록 신호봉 및 형광조끼 착용후 보행자 동선 유도 관리철저.
•작업 반경내 타작업자 진입을 통제하며 지반 수평과 고임목상태확인후 하역, 유도 로프 이용 하여 원하는 위치에 안착한다.
•자재 중량확인 및 양중 와이어 안전 적합 성을 확인하고 양중자재 수평확인 및적재양중 금지,양중BOX 이용하여 양중 한다. 크레인 반경 하부작업 통제하고, 호각을 이용 위험성을 통보한다.


2) 부재인양 및 설치


위험요인

안전작업방법

•고소작업에 필요한 안전시설 미부착으로 근로자 추락 위험
•부재인양 및 설치시 와이어 및 샤클 탈락으로 낙하위험.
•인양 및 설치 장비 사용시 지반상태 악화로 전도위험
•지게차로 부재 이동시 무게중심 이탈로 부재의 낙하 협착사고 위험
•부재 설치중 상부 체결 근로자가 안전 로프에 안전고리를 하지 않아 추락사고 위험

•고소작업에 필요한 안전시설은 가능한 지상에서 부착하여 (빔포트 및 생명줄) 부재와 함께 양중한 다음 부재 조립 즉시 안전시설을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함.
•걸이기구(와이어로프,샤클)와 인양장비의 정격하중,인양물중량 등의 안전성 검토하고 인양부재의 중량,중심을 확인 한다
•크레인 지반상태가 약하면 아웃트리거 하부 철판으로 보강 후 양중 및 설치 작업을 진행한다
•지게차로 부재 이동시 도로정리 및차량유도자 배치를 한다.
•작업 투입전 TBM을 통한 근로자 안전 수칙 교육 및 유지활동 관리철저.


3) 볼트조립


위험요인

안전작업방법

•볼트 조립시 공도구 및 볼트 낙하위험
•근로자 빔 상부 수평 및 수직 이동시 추락 위험

•볼트 조립시 하부 근로자 통재 철저.
공도구 및 볼트는 낙하물 최소화
•근로자 수평 이동구간에 생명줄 선설치후 안전고리 걸고 이동하고 수직 이동시 에는 로립 및 안전블록을 사용.


4) 용접작업


위험요인

안전작업방법

•용접 작업시 하부 보양천막 등 인화성 물질에 불꽃이 날려 화재가 발생
•용접 작업중 전선 및 피복 상태 불량으로 인한 근로자 감전사고 발생

•용접부위마다 불꽃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불티비산 방지포 이용하여 1차 보양을 하고,하부화재 감시 및 소화기를 배치한다.
•화재감시자는 소화기 및 호각을 준비하여 화재발생시 즉각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교육 및 관리한다.
•작업전 전선 및 분전반 차단기 상태확인 후작업, 전선 거치대를 사용하여 전선을 띄우고 작업을 한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 타설 작업  (0) 2017.10.20
방수작업  (0) 2017.10.20
고압선로 하부 작업  (0) 2017.10.20
콘크리트작업  (0) 2017.10.20
지장물이설 작업  (0) 2017.10.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