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빙기대비 안전관리



1. 목적

해빙기에 대비 철도건설 현장의 재난발생이 가능한 취약시설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여 작업자의 불편을 최소화 하는 등 안전사고 대비에 만전을 기하고자 함.

 

2. 중점 추진사항

가. 공구별 해빙기 대비 안관리대책 수립 및 이행여부

나. 공사장 주변 안전대책 수립 및 이행 여부

다. 건설공사 안전관리대책 이행 여부

라. 정거장 건축공사장 안전점검

마. 기타 사항

 

3. 항목별 세부추진계획

가. 공구별 해빙기 대비 안전관리대책 수립 및 이행여부

(1) 현장여건에 맞는 해빙기 안전대책 수립 여부

(2) 공구별 해빙기 취약부위 지정 및 중점관리 여부

(3) 해빙기 대비 취약개소 사전점검 및 보강 등 조치 여부

(4)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시행 여부

 

나. 공사장 주변 안전대책 수립 및 이행 여부

(1) 공사장 주변 인접건물에 대한 안전조치 및 시행 여부

(2) 작업장 주변 안전소통을 위한 위험개소 정비, 교통안내표지판 등 보완, 설치여부

(3) 공사장 주변 환경정비 시행여부

(4) 가설물(휀스, 차선분리대 등) 청소 및 선형유지 상태

 

다. 건설공사 안전관리대책 이행 여부

(1) 가시설물 설치상태 확인 및 보강

- 토류판 부식 및 배면 공동 발생 확인 여부

- 어스앙카, 록볼트의 이완확인 여부

(2) 토공작업수칙 준수 및 굴착면의 안식각 유지

- 토공굴착은 계단식 단계별 시공이 되도록 시공계획을 수립 시행하고 굴착면은 안식각을 충분히 고려하여 법면 정리

(3) 지하매설물 관리상태 확인

- 지하매설물(가스관, 상하수도, 통신관등) 매달기,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보정하고 압력관의 곡관부, 분기부 및 연결부에 대한 별도 보강수립 이행여부

(4) 도로 복공 구간 요철 정비

(5) 포장면 단차 및 아스콘 골재 분리부위 조치 여부

(6) 작업장을 정비하여 차로를 최대확보 교통원활 추진

(7) 차선, 표지판 등 정비

(8) 각종 안전표지판, 현장 안전시설물 청소 등 환경정비 시행 여부

 

라. 정거장 건축공사장 안전점검실시 여부

(1) 정거장 출입구에 대한 안전시설 조치여부 확인

(2) 정거장내의 개구부 및 계단에 대한 안전난간대 및 추락방지망 설치 여부

(3) 정거장 출입구 관리자 지정여부

(4) 정거장 출입자 통제 관리대책 기록유지 상태

 

마. 해빙기 건설현장 안전관리  

(1) 난방기구 및 전열기구의 과열로 인한 화재 예방관리 철저.

(2) 난방기기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중식시간이나 퇴실 시에 반드시 끄도록 한다.

(3) 인화성물질은 작업장에 필요한 수량만 반입하되 지정된 장소에 보관한다.

(4) 유류 통에 연료량을 확인하기 위해 라이터나 성냥을 사용하지 말고 전등을 사용한다.

(5) 화재예방 교육을 통하여 소화기 사용방법 및 화재발생시의 대피요령을 숙지시킨다.

(6) 전기기구나 전선은 규격품을 사용하고 배선은 꼬이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7) 퓨즈는 개폐기에 표시된 용량의 퓨즈를 사용하며, 금속관내의 전선은 접속점이 없도록 시설한다.

 

바. 공사현장 안전관리  

(1) 추락 사고를 예방을 위하여 안전벨트 착용 철저.

(2) 작업장 내에서는 안전모 및 안전 도구를 반드시 착용한다.

(3) 명령계통 및 신호는 통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모든 장비나 작업기구는 사전 점검 후 사용하여야 한다.

(5) 작업차량과 작업원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여 작업에 임한다.

(6) 작업장 내에서는 음주행위를 일체 금지한다.

(7) 작업장 주위의 정리정돈을 철저히 한다.

(8) 위험요인 발견 및 사고 발생 시는 즉시 보고하고 긴급조치를 취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