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케이블 트레이 공사
(1) 일반사항
① 포설되는 케이블이 연결 하고자 하는 기기에 가까이 접근되도록 적절하게 트레이를 배치 한다.
②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위치는 트레이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구조인가를 확인하여 선정 한다.
③ 기계, 토목 및 건축분야 등 관련분야와의 간섭사항을 검토하여 트레이 설치위치를 결정한다. 특히, 기기나 배관, 덕트 등이 교차되는 경우에는 트레이가 배관 및 덕트 등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④ 가능한 한 케이블 포설 시 발받침(비계)의 설치가 최소화 되도록 트레이 위치를 선정한다.
⑤ 트레이의 설치계획은 인력, 순서, 장소에의 접근조건 등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⑥ 케이블 포설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굴곡부 발생개소를 최소화 한다.
⑦ 트레이의 배열은 사용전압 순으로 배치하며, 같은 종류의 케이블 트레이는 각 Feeder 별로 계전기실에서 가장 먼 곳을 하단에 배치한다.
⑧ 트레이의 배치는 상부 트레이의 바닥면과 하부 트레이의 하부면간 간격은 30∼90㎝, 좌우이격은 90∼150㎝이상으로 한다.
(2)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① 트레이 설치위치는 기둥이나 콘크리트 벽으로부터 트레이의 가까운 측 Side Rail까지의 거리로 표시하며, 설치높이는 트레이 측면 레일의 밑면을 기준으로 한다.
② 케이블 트레이의 표준 내측 곡률반경은 600mm인 것으로 한다.
③ 케이블 트레이의 허용오차는 도면 치수의 ±25mm 이내로 한다. 만일 어떤 이유에 의해 특정 트레이나 특정 지역에 대해 더 적은 오차가 요구될 경우 도면상에 표시해야한다.
④ 진동이 있거나 구조물의 신축 이음 부분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는 필요한 경우 별도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트레이 구간 사이에 80mm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⑤ 케이블 트레이는 전기용 케이블이 아닌 다른 설비나 배관, 계측 배관 등의 지지용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⑥ 수직으로 설치한 트레이를 포함한 모든 케이블 트레이에는 전선로 번호 표시방법에 따른 전선로 번호를 표시해야 한다.
⑦ 트레이면이 거칠거나, 끝이 날카롭거나 혹은 다른 어떤 결함이 있는가 검사해야 하며, 그러한 결함은 케이블 설치 이전에 수정되어야 한다.
(3) 케이블 트레이의 커버(Cover) 설치
① 그레이팅과 통로 아래에 설치되는 트레이에는 그레이팅 및 통로의 끝에서 1m 이상 까지 커버를 설치하며, 여러 단 설치될 때에는 최 상단부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에만 커버를 설치한다.
② 노출된 장소에서 바닥(Floor)을 관통하는 수직설치 트레이는 바닥의 상부 1.8m까지 커버를 씌운다.
③ 트레이 커버는 쉽게 풀 수 있는 나사, 클램프 또는 적당한 띠나 고리 등을 사용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④ 옥외에 노출하여 설치하는 모든 케이블 트레이는 커버가 설치되어야 하며, 커버는 밀폐형으로 한다.
(4) 케이블 트레이 배치는 “표”와 같이 이격거리를 확보한다.
설치 구분 | 설치 이격거리(mm) | |
표준 | 최소 | |
상부 트레이 하단과 하부 트레이 상단 | 250 | 200 |
상부 트레이 상단과 상부 구조물 | 250 | 200 |
하부 트레이 하단과 배관등 기타 설비 | 300 | 250 |
(5)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설치
① 배관 공조설비와 같은 타 설비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② 설치위치가 철 구조물일 경우에는 철 구조물에 용접으로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다.
③ 지지대 설치위치가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지지대 설치용 매입 철판이 있을 경우에는 감리자의 승인을 득한 후 기존 매입 철판을 이용하여 용접으로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다.
④ 지지대 설치위치가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지지대 설치용 매입 철판이 없을 경우에는 Expansion Anchor를 사용하여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다.
⑤ 지지대 설치간격
가. 수평 Elbow
(가) Elbow 수평각이 45°이하인 경우에는 Elbow용 지지대를 설치하지 않는다. 단, 곡률반경이 900mm이상인 경우에는 Elbow용 지지대를 설치한다.
(나) 수평 Elbow의 곡률 반경이 300mm인 경우에는 Elbow용 지지대를 설치하지 않는다. 단, 90°Elbow중 900mm 폭의 케이블 트레이인 경우에는 Elbow용 지지대를 설치한다.
(다) 수평 Elbow용 지지대의 설치 위치는 Elbow의 중간지점 (곡률반경×1/2지점)으로 한다.
나. 수평 T Elbow
지지대간 최대 간격 2.4m, Elbow와 연결선에서 600mm를 기준으로 설치하며 케이블 트레이의 폭이 300mm, 곡률반경이 300mm인 경우에는 T Elbow에 대한 지지대는 설치할 필요가 없다.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 곡률반경이 600mm 이상인 경우에는 T Elbow에 대하여 2개의 지지대를 설치한다.
다. 수평 Cross Elbow
지지대간 최대 간격 2.4m, Elbow와 연결선에서 600mm를 기준으로 설치하며 케이블 트레이의 폭이 300mm, Elbow 내부 곡률 반경이 300mm인 경우에는 Cross Elbow에 대한 지지대는 설치할 필요가 없다. 케이블 트레이의 폭이 300mm, 내부 곡률 반경이 300mm이상인 경우에는 Cross Elbow에 대하여 2개의 지지대를 설치한다.
라. 수평 트레이의 굴곡 부분(Off-Set)
주. 수평으로 설치되는 Cable Tray가 위 그림과 같이OFF SET 가 있을 경우
1. θ<45°, L<2.4m이면 중간 Tray 지지대는 불필요함.
2. L>2.4m이면 중간 Tray 지지대는 필요함.
3. 지지대간 최대 이격거리 L<2.4m가 되도록 할것
마. 수직 트레이
(가) 수직 케이블 트레이의 수직분 트레이의 최대 지지간격
① Floor Level 위 : 최대 1.2m
② Floor Level 아래 : 최대 1.8m
③ Floor Level 사이 : 최대 2.4m
(나) 수직 케이블 트레이의 수평분 트레이의 최대 지지간격
① Elbow와 연결점 : 600m
② 기타 수평분 : 2.4m
(6) 케이블 트레이의 접지
① 접지선을 포함하지 않는 트레이 구간의 경우 트레이와 트레이 연결구간 사이는 가요 접지 점퍼선으로 연결한다.
② 지락사고의 빠른 검출과 차단을 위하여 길이 90m 이상의 저압 전력 케이블을 수용하는 철제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에는 귀환 회로용으로 1개의 보충 접지 도체를 추가한다.
③ 케이블 트레이 사이의 벽 등을 전선관으로 관통 할 때에 귀환 회로용 접지선은 설치도를 참조하여 반드시 관통 부분 사이를 연결한다.
④ 케이블 트레이는 100mm2 이상의 나연동선으로 30m 간격 또는 짧은 구간에서는 최소한 2곳에서 주 접지망과 연결한다.
⑤ 다단으로 설치된 트레이는 각단을 공통 연결하여 접지망에 연결한다.
⑥ 케이블 트레이의 신축 접속부(건축 구조물 Expansion Joint)에는 구리 본딩 접지 점퍼 (Bonding Jumper)를 사용한다.
⑦ 케이블 덕트 내부에 설치된 트레이에 대한 접지는 아래와 같이 시행한다.
가. 덕트 상단 랙에 설치된 접지선은 케이블 트레이 상단에도 연장 설치한다.
나. 접지선은 30m 간격으로 접지하고 양단도 주 접지망과 연결한다.
다.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는 케이블 랙 지지대 접지와 같은 방법으로 접지한다.
라. 다단으로 설치된 트레이의 지지대가 상하 별도로 설치될 경우에는 접지선으로 연결한다.
마. 케이블 트레이와 트레이간 접속구간은 가요 접지 점퍼선으로 연결한다.
(7) 케이블 랙 설치
① 케이블 랙 설치
가. 간선계통의 덕트, 제어 케이블의 1열 포설 폭이 덕트의 내부 폭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개소에는 케이블 랙을 설치한다.
나. 지지대에 설치되는 케이블 랙의 상하 간격은 10㎝이상으로 한다.
② 케이블 랙 지지대 설치
가. 지지대는 덕트 시공 완료 후 시공하며 지지대의 설치는 덕트 구조물에 매입된 Anchor Bolt(M9 이상) 또는 Expansion Set Bolt(M9 이상)로 단단히 고정한다.
나. 랙 설치 단수별 지지용 Bolt(M9)의 사용수는 2단∼6단은 2개소, 6단 이상은 3개소로 한다.
다. 지지대의 설치 시 덕트 하부 면에서 최소 5㎝이상의 높이에 랙을 설치하고 지지대와 지지대간 설치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라. 동일 덕트 내에서 좌, 우 양쪽으로 케이블 랙을 설치할 경우에는 지그재그로 설치 한다.
마. 지지대간 간격은 포설되는 제어 케이블의 자체 하중에 따른 쳐짐을 고려하여 1m로 한다.
③ 접지
가. 케이블 덕트는 접지망 도체와 평행으로 가깝게 설치한다.
나. 케이블 덕트 내부의 최상단 케이블 랙에 주 접지망의 접지선 굵기와 같은 나연동선을 설치하여 30m 간격으로 접지하고 양단도 주접지망에 연결한다.
다. 덕트 내의 각종 철물류는 모두 접지한다.
(가) 코너 앵글의 연결 부분, Expansion Joint부분의 앵글간은 점퍼선 또는 철근을 통하여 상호 연결한다.
(나) 케이블 랙 지지대의 접지는 고정용 매입 앵커볼트를 통한 접지 방법, 접지선의 접지 클램프에 의한 접지 방법으로 시행한다.
2. 케이블 덕트 공사
(1) 케이블 덕트는 개거식, 암거식, 관로, 지중 직매식으로 한다.
(2) 특고압모선과 케이블덕트 이격거리는 관련규정에 의한다.
(3) 덕트내 금속지지물 또는 부속기기는 접지망에 접속한다.
(4) 2개이상의 접지선을 케이블 덕트 상부에 설치하여 접지도체로 활용하고 양단을 접지 한다.
(5) 덕트경로는 콘덴서, 피뢰기 등 서지 발생원의 설치점과 되도록 멀리 설치한다.
(6) 개거식 케이블 덕트
① 케이블덕트는 최단거리를 택하되 유입기기의 근처는 기름 누출시 연소의 염려가 있으므로 피하여야 한다.
② 중량물 운반의 통로가 되는 곳은 튼튼한 뚜껑이 필요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경로를 결정한다.
③ 경로가 결정되면 기울기를 결정하여 배수가 용이토록 한다. 그러나 배수를 겸하는 것이 아니므로 타처에서 물이나 기름이 유입 못하도록 하여야 한다.
④ 부득이 중량물 통로가 되는 곳은 뚜껑을 철근콘크리트로 하고 기타 옥내는 후강판으로 하여야 한다.
⑤ 가능하면 평면포설을 기준으로 한다.
⑥ 전력케이블 또는 잡음이 많은 회로를 개거식 덕트에 포설할 때는 제어케이블과는 별도로 덕트에 수용하던가 부득이 공용할 경우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한다.
이때의 제어케이블은 전력케이블 또는 잡음이 많은 회로와는 분리 포설한다.
* (주) 잡음이 많은 회로 : 전화선, 소내전원, 기타 노출된 회로
(7) 지중매설식
① 케이블을 지중 매설할 경우 관로에 넣어 포설한다.
② 배선은 직선 배열로 하고 방향을 바꿀 때는 직각으로 해야 한다.
③ 케이블 매설에 있어 배선방향을 바꾸는 곳은 콘크리트주 표지(그림)를 하여야 한다.
④ 케이블 매설은 아래 그림 및 표에 의한다.
단위 : ㎜
종류 | 덕트치수 | 깊이 | 뚜껑치수 | ||||
A | B | D | C | 결합재 | 목재 | 길이 | |
1 | 300 | 400 | 600 | 600 | 50 | 2 | 600 |
2 | 500 | 450 | 600 | 800 | 60 | 30 | 900 |
3 | 700 | 50 | 600 | 1,000 | 80 | 45 | 1,200 |
4 | 900 | 600 | 600 | 1,000 | 100 | 45 | 1,200 |
3. 피트공사
(1) 전력케이블, 제어케이블 등을 수용하기 위한 관로의 배수용 기울기는 1/500∼1/1,000로 하여야 한다.
(2) 전력케이블, 제어케이블 등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피트의 뚜껑은 정확하게 절단하여야 한다.
(3) 피트의 뚜껑은 무늬강판 6㎜이상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용융아연도금을 하여야 한다.
부득이한 경우 녹막이 1회 도색 및 마감도색 2회를 하여야 하며 현장설치 후 수명이 유지 되도록 하여야 한다.
(4) 피트 뚜껑은 도장의 손실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5) 피트내 배관용 지지금구는 1m 간격으로 도면에 의하여 제작하여 견고히 설치 되도록 한다.
(6) 주변압기실 및 AT실에는 스틸그레이팅을 적용한다.
① 스틸그레이팅 설치시 재료는 기성품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 현장제작을 할 수 있다.
② 현장제작 사양은 아래 규격에 의한다.
가. 사용강재는 KS D3503(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스틸그레이팅 뚜껑은 베어링 바(bearing bar)와 크로스바(cross bar)를 전기압접 또는 전기용접으로 접합하여야 한다.
다. 스틸그레이팅 표면은 방청을 목적으로 KS D 8303(용 융 아연 도금)의 2종 HDZ55에 준하여 용융아연도금 하여야 하며, 도금면은 실용적으로 매끄럽게 되어야 하고 도금이 안된 부분, 표면의 찌꺼기, 기타 흠 등이 없어야 한다.
4. 전선관공사
(1) 일반사항
① 전선관의 시공은 도면에 의하며,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사항은 케이블 포설공사에 지장이 없으며 외관상 보기좋게 시공한다.
② 전선관의 굴곡부분은 가능한한 피하며 전선관을 굴곡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적절한 기구를 사용하며, 굴곡부 내측반경이 전선관 지름의 6배 이상 되도록 한다.
③ 핏팅은 충분히 조여서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하고 접속점에서 낮은 저항이 되도록 한다.
④ 금속전선관은 용융아연도금한 것을 사용한다.
⑤ 현장 절단 가공된 부분이나 나사가 있는 부분에는 방청도색을 하여야 하며, 리이머 등을 사용하여 매끄럽게 하여야 한다.
⑥ 시공한 전선관, 박스, 핏팅 등에 콘크리트, 오물 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조치를 해야 한다.
⑦ 전선관의 끝에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표시를 하여야 한다.
⑧ 케이블은 전선관내에서 접속점을 두어서는 안되며 전선관은 해당접지를 하여야 한다.
⑨ 모든 전선관은 설치 후 이물질 등으로 인한 전선삽입 불가능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시 전선관 지름에 알맞는 전선관 캡을 씌워야 하며 콘크리트 매입 전선관의 경우 추후 기기와의 접속을 위하여 정확한 위치에 적정한 길이로 전선관을 돌출시켜야 한다.
(2) 매설공사
① 전선관은 철근구조물의 강도를 저하시킴 없이 배관되어야 하고 콘크리트에 의하여 확실히 고정되어야 하며, 콘크리트의 관내 유입방지를 위해 적당한 방호를 하여야 한다.
② 전선관은 최단거리로 배관되어야 하며 가능한 한 굴곡부를 적게 한다.
③ 매설되는 전선관의 모든 연결부분에는 방수에 유의해야 한다.
(3) 노출공사
① 전선관은 기둥보에 평행하게 배열하며 방향의 전환은 가능한한 직각으로 굴곡시켜 외관상 보기좋게 시공한다. 다만, “(1)의 ①항”에 의한 곡률반경은 유지하여야 한다.
② 강재전선관은 1.5m 이내로 지지하며 후렉시블 전선관은 0.6m 이내로 지지해야 하고 모터 터미널 박스의 연결점은 진동에 의해 이완되지 않도록 플렉시블(Flexible) 전선관으로 시공한다.
③ 노출되는 박스는 노출공사용 박스를 사용해야 한다.
출처-국가철도공단(KRACS 473020)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어케이블 결선공사 안전대책 (0) | 2023.02.03 |
---|---|
제어케이블 포설공사 안전대책 (0) | 2023.02.03 |
전철전원 부대공사 안전대책 (0) | 2023.02.01 |
열차감시원의 준수사항 (0) | 2023.01.30 |
전철관련 주요공사 안전대책 (1) | 2023.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