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보안장치(運轉保安裝置)
철도의 생명은 안전!! 속도가 빠른 고속철도의 경우 사고는 곧 엄청난 인명손실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완벽한 안전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재래선을 운행하는 열차도 핵심적인 보안장치는 거의 갖추고 있음
1. 자동폐색장치(ABS-automatic block system) ; 재래선 및 KTX
-폐색구간별로 연속된 궤도회로를 설치하여 이것을 신호기와 연동시켜 신호기의 현시를 열차 자체가 시행토록 하여 자동적으로 후속열차의 운전을 제어하는 폐색방식
2. 열차자동정지장치(ATS-automatic train stop) ; 재래선 및 KTX
-신호에 따라 운전하는 기관사가 실념, 착각 등 실수로 신호기 지시속도를 초과하여 운전할 경우 열차를 자동적으로 정지 또는 감속시켜 안전에 이상이 없이 하는 장치
-ATS에는 점제어식과 연속제어식의 두 종류가 있음.
3. 열차자동제어장치(ATC-automatic train control) ; 지상(레일)에서 열차의 운전조건을 차상(동력차)으로 전송하여 기관사가 차상신호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기관사가 제한속도를 초과하여 운전할 경우 연속, 자동적으로 지정속도 이하로 운전하게 하는 제어장치
4. 열차자동운전장치(ATO-automatic train operation) ; 부산지하철 등 신설선
-지상(레일)에서 열차의 운전조건을 차상(동력차)으로 전송하여 열차의 출발, 제동, 속도상승, 출입문 개폐 등을 기관사의 조작 없이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설비만 해놓고 사용 유보
5. 열차방호장치 ; 재래선 및 KTX
-동력차 제어대에 설치하여 기관사의 조작으로 방호구간 내를 운행 중인 열차에 방호신호를 송신하여 관계 열차를 긴급히 정차시킴으로서 열차를 방호하는 장치
6. 운전용통신장치 ; KTX
-동력차에 설치된 이동국 무선전화기
-각역사 플랫트홈 감시용 CCTV를 통해 승객의 안전여부 원격감시, 선로연변에 흩어져있는 취약지역인 터널, 변전소, 급전소, 구분소, 무인기계실, 무인통신실 등 감시
-선로연변 ; 선로시설 상태을 점검하는 순회자나 자통차도 항상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전체선로을 6개의 지역(zeon)으로 나누어 여러 개의 무선기지국을 두어 무선정보 제공
7. 열차제어집중장치(CTC-centraized traffic control) ; 재래선 및 KTX
- 역구내 및 선로의 열차운행에 관한 모든 정보는 연동장치를 통해 CTC 관제실에 모여 신호설비 등을 원격제어 하여 직접 운전취급을 할 수 있는 장치로서 남서울역사에 설치
-제어기능 ; 신호기 현시여부, 전철기 개통방향, 열차의 진행상태, 열차의 점유위치 등을 판넬(panel)을 통하여 한눈으로 감시하고 필요한 명령을 실시간으로 시행함
-현대화된 신호보안장치
8. 신호장치(signal)/연동창치(interlocking) ; 재래선 및 KTX
-CTC 참조
9. 지장물 검지장치 ; KTX
-선로 위를 지나는 고가차도나 낙석, 토사붕괴 우려지역에서 자동차, 낙석 ,토사 등의 침입을 검지하여 사고 예방
-접지선을 병렬 2개선으로 설치, 1선 단선 시 무선으로 기관사에게 주의운전 유도
-해당 궤도회로에 정지신호 전송, 기관사 확인 후, 지장을 주지 않으면 복귀스위치 조작, 운행재개
10. 차축온도검지장치 ; KTX
-차축 과열로 인한 탈선사고 예방
-이상 과열 시 양쪽 loop coil에 검지정보를 전송하여 차량에서 알 수 있도록 함
-상, 하선 평균 30km 간격으로 설치하되 하구배, 곡선 및 상시 제동구간은 설치하지 않음
11. 끌림물체 검지장치 ; KTX
-차체 하부의 부속품이 이완되어 매달린 상태로 주행하여 궤도시설을 파괴하는 것을 방지
-약 60km 마다 선로 중앙에 설치
-기관사는 열차 정지 후 차량상태 확인 및 끌림 물체 제거 후 운행재개
12. 기상검지장치 ; KTX
①강우량검지장치 ; 집중호우로 인한 지반침하, 노반붕괴 우려 시 열차정지 또는 서행/2km 간격으로 이 장치를 설치/우량계→변환장치→ATC→연동창치→CTC→열차→정보제공
②풍속검지장치 ; 강풍시의 열차운행 속도 제한/풍향계 및 풍속계→변환장치→ATC→연동창치→CTC→열차→정보제공
③적설검지장치 ; 폭설시 열차운행 제한
13. 레일온도 감지장치 ; KTX
-레일온도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한 장출 방지
-한계온도 이상 상승 시 경보조치, 운전규제, 탈선예방
14. 터널경보장치 ; KTX
-터널 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
-열차가 접근하면 경보를 주어 터널 내에 있는 작업자가 대피 가능하도록 조치
-모든 터널에 설치
15. 안전스위치 ; KTX
-선로순회자가 위험요소 발생 시 이것을 눌러 진입 열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선로변 약 250m-300m 간격으로 설치
16. 연선전화 및 순회직원의 무전기 ; KTX
-연선전화는 선로순회자가 이상 발생 시 관련자와 직통으로 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순회직원의 무선전화기를 지참하여 이상 발생 시 부근의 기관사와 통화가능
17. 자동운전감시시스템(승무원 졸음방지폐달) ; KTX / 구형 알코기관차(3100호대 기관차)
-운전 중 승무원이 졸거나 심장마비 등 갑작스런 신체적 장애로 안전운행이 불가능한 상황에 대비
-운전 중 승무원이 주제어기 레버, 누름버튼, 졸음방지 용 폐달 중 어느 하나를 주기적으로 조작하여 신호를 보내어 신체적으로 이상이 없다는 것을 표시
-졸음이 1분 이상 계속되어 같은 신호를 보내거나 그 후 2.5초 이내에 또 신호를 보내지 않을 경우 경보음이 울리고
-그래도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동력차에 전기공급을 차단하고 비상제동 체결
-CTC 관제실에 무선 송신
18. 특별시험 차량(Melusine) 운행 ; TGV
- 프랑스 국철(SNCF) TGV 선로 시설물 종합점검하기 위하여 제작한 검측 차량
-장 ; 24.13m
-연결 ; 기관차와 객차사이 연결-동력차의 팬터그래프 거동 시험
-광범위하게 계측할 수 있는 최신 전자기기 설비
19. 기타 ; 재래선 및 KTX
-건널목 보안장치
-자동제동장치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의 발전 및 장래전망 (0) | 2007.09.11 |
---|---|
유효장 (0) | 2007.09.11 |
세계 동력차 등 철도 발달사 (0) | 2007.09.11 |
기중기 (0) | 2007.09.11 |
대피금지 및 제한 (0) | 2007.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