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철도이야기 - 필리핀
필리핀, 동남아시아 최초로 경전철 도입!
◈철도 현황
필리핀이 7천여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이다 보니 장거리 이동을 하려면 비행기 아니면 배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철도의 경우 대중 교통기관으로서 버스와 비교하여 뒤쳐진 편이지만, 수도권인 메트로마닐라에서는 중요한 교통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필리핀철도(PNR : Philippine National Railways)는 필리핀 교통통신부 산하의 국가소요 철도회사로 1984년에 설립되었다. PNR은 루손(Luzon) 내부지역에 1천60km를 운행하고 있다. 필리핀철도의 주요간선은 필리핀의 수도인 마닐라, Legazpi, Bicol 지역을 연결하고 있으며, 철도노선은 단선으로 1천67mm의 협궤를 사용하고 있다.
메트로마닐라에는 도시철도인 LRT1, LRT2, MRT3이 운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Line 4, 6, 7, 8 노선과 북부철도 및 남부철도가 건설될 예정이다. 필리핀 철도의 총 선로연장은 897km이며, 영업키로는 492km이다. 연간 여객수송인원은 540만명, 화물수송량은 1만7천톤이다. 보유차량수는 총 682대로, 동력차 57량, 객차 125량, 화차 500량 등이다.
◈필리핀국영철도(PNR)
·회사 개요
PNR(Phillppine National Railways)은 남쪽으로는 마닐라의 중심가 Tayuman에서부터 루손섬(Luzon) 남단 Legaspi까지 약 440km의 철로가 개설되어 있다. 북쪽으로는 Tayuman에서 Pampanga주 San Fernando까지 60km정도 철로가 있지만 시내노선인 Caloocan역까지만 운행한다. 특히 시내를 통과하는 철로는 주거지와 차단이 되어 있지 않아 상당히 위험하며, 철로시설 자체도 노후화 되어 탈선사고가 빈번하다. PNR의 총 선로연장은 897km이고, 이 중 492km만 운영 중이다.
필리핀철도(PNR)는 필리핀 교통통신부 산하조직으로서 청장아래에 재무행정, 운영, 차량유지보수 등의 부서가 있으며, 철도병원도 운영하고 있다.
필리핀철도(PNR)는 북부간선, 남부간선 및 몇 개의 지선을 운영하고 있다. PNR이 운영하는 지선은 San Jose, Cabanatuan, Batangas 그리고 Santa Cruz 지선이며, 계획된 2개의 노선이 있다.
·운영현황
여객수송은 1990년부터 1993년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였다. 장거리 노선의 여객수는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지만, 마닐라 근교수송은 1993년 10대의 새로운 기관차 도입으로 인해 급격히 상승하였다. 화물수송실적 역시 수년간에 걸쳐 하락하였는데, 1992년에는 90만톤km 수송에 그쳤다. 필리핀철도의 궤간은 협궤로서 1천67mm를 사용하고, VHF 통신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허용구배는 1.2‰, 최대곡선반경은 300m이다.
화물수송은 10년 전부터 중지 상태에 있으나 향후 민자유치를 통해 철도차량을 구입하고 화물수송을 재개할 계획이다.
◈필리핀경전철(Light Rail Transit Authority)
·개요
LRTA는 1982년9월 완전 정부소유의 철도회사로 설립되었으며 주요임무는 필리핀철도의 건설, 운영, 유지보수 및 경전철의 리스사업 등이다. LRTA의 관장노선은 공항 부근 Baclaran역에서 북쪽 Monemento역까지 시가지 서쪽을 따라서 경전철(LRT)이 일직선으로 운행되고 있는 LRT 1호선과 MRT(Metro Rail Transit)인데, MRT는 2000년7월 마닐라의 간선도로인 EDSA(Epifanio de los Santos Ave.)를 따라서 개통된 MRT는 공항 부근 Taff Ave역에서 북쪽 North Ave역까지 시가지 동쪽을 활모양으로 돌아서 운행하는 노선이다.
LRTA는 수송통신국의 기관으로 9명으로 구성된 이사회(The Board of Directors)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기획부, 재무부, 행정관리부, 1호선 운영&기술부 및 2호선 운영&유지보수부로 구성된다. 2005년3월 현재 LRTA는 43명의 고정직 직원, 1천586명의 계약직원 및 78명의 서비스 계약직 등 총 1천707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LRTA에서 운영하고 있는 노선은 주요간선은 연계수송 차원의 통합운영을 위해 명칭이 변경되고, LRT와 MRT의 물리적 연결을 통해 서비스를 향상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운영현황
(1)LRT 1호선
1호선 경전철시스템은 Taft Avenue과 Rizal Avenue으로 총연장은 15km이다. 경전철시스템의 도입은 동남아시아에서는 최초이며, 운행노선은 Pasay시의 Baclaran에서 Caloocan시의 Bonifacio Monumento간이다. LRT의 건설은 1981년 말에 EDSA와 Libertad간에서 시작되어 1983년 말에 대부분의 노선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일반국민들이 LRT를 경험하는 상업시운전이 1984년 11월에 시행되었다. 이후 동년 12월에 Taft Line이 공식 개통되어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1985년5월에 Rizal Line이 개통되었다.
LRT 1호선은 월평균 약 978만명을 수송하고 있으며, 매월 1억페소 이상의 수입을 달성하고 있다.
(2)MRT 2호선
MRT 2호선은 완전개통시의 총연장이 13.8km이며, Pasig시의 Santolan로부터 마닐라 Recto까지 운행한다. MRT 2호선은 JBIC(Japan Bank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로부터의 2% 금리의 저리차관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차관액은 10년거치 기간을 거쳐 30년동안 상환하게 된다. 운행열차의 길이는 92.6m이며, 4량으로 구성되어 232석의 좌석이 있다. 입석까지 고려하면 1회에 1천396명을 수송할 수 있다.
MRT 2호선의 수송 및 수입실적은 전년대비 300% 이상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2005년 상반기 기준 수송 및 수입실적을 살펴보면 월평균 약 300만명을 수송하였고, 수송수입은 4천만페소에 달한다.
[코레일 국제철도팀]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철도( 태국 ) (0) | 2007.09.11 |
---|---|
세계철도( 말레이시아 ) (0) | 2007.09.11 |
세계철도( 몽골 ) (0) | 2007.09.11 |
세계철도( 북한) (0) | 2007.09.11 |
세계철도( 인도 ) (0) | 2007.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