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
규정 |
주요 내용 |
세부 내용 |
2 |
242 |
2이상의 진행신호 현시 |
동일 신호주, 동일 지점에 2이상 신호 있을 지점 일부소등 1개만 진행신호 현시 - "fail-safe 원칙" |
2 |
254 |
백색 2등 수평 |
입환신호중계기 정지중계 |
2 |
254 |
백색 2등 수직 |
입환신호중계기 진행중계 |
2 |
331 |
2초간 |
“보통으로” 기적전호 |
2 |
378 |
2종방호 |
지장지점에서 400m 이상지점 정지수신호 다만, 인원, 전호기(등) 부족 ; 800m 이상의 거리에 폭음신호탄 |
2 |
408 |
2종방호 |
선로 고장이나 운전에 지장이 있을 때 서행으로 통과 가능 |
2 |
245 |
등황색등 2등 |
YY |
2 |
128 |
직원 2명 이상 근무 시 제외 |
선로전환기 취급은 지정된 직원이, “다만 간이역-차장“제외 |
3 |
83 |
3시간 이전 |
정규운전명령을 통고 못했을 때 역장에 통고의뢰 |
3 |
83 |
3시간 전 이후 |
임시운전명령은 역장이 당해 열차에 통고 |
3 |
331 |
짧게 3성 |
“구름방지 조치를 하라.“ 의 지적전호 |
3 |
331 |
보통으로 3성 |
전호계원ㆍ급수ㆍ굽유계원 소집 기적전호 |
3 |
262 |
흑색3각형 3개 백색3각형 판 |
주간의 방식 ; 서행예고신호기 형상 |
3 |
262 |
흑색3각형 3개 백색등 |
야간의 방식 ; 서행예고신호기 형상 |
3 |
253 |
백색등열 3등 수평 |
중계기신호기의 “정지중계” 현시방식 |
3 |
253 |
백색등열 3등 좌하향 45도 |
중계기신호기의 “제한중계” 현시방식 |
3 |
253 |
백색등열 3등 수직 |
중계기신호기의 “진행중계” 현시방식 |
4 |
참고 |
4m 간격 |
차량접촉한계표지 설치 위치 |
4 |
331 |
보통으로 4성 |
조차계원 소집의 기적전호 |
4 |
278 |
4개 |
시설 및 전기직원의 폭음신호탄 휴대 수량 |
4 |
278 |
4개 |
건널목관리원 처소 폭음신호탄 휴대 수량 |
5 |
331 |
5초간 |
“길게” 기적전호 |
10 |
129 |
10m 이상 지난 후 |
맨뒤 차량이 텅레일 진행거리 기준 선로전환기 전환의 시기 |
10 |
201 |
1-10호 |
지도표 발행번호의 범위 |
10 |
281 |
10km/h 이상 격리 |
방호할 지점으로부터 불꽃신호관 설치 위치 |
10 |
265 |
10km/h 이하 서행신호기 |
감시원 배치의 경우, 속도 빠를 때 일단정지 후 서행수신호 |
10 |
283 |
10개 |
시설팀(사무소 포함) 불꽃신호관 비치 수량 |
상당거리 |
138 |
차막이표지- 상당 거리 이상 |
동력차 이외의 차량유치 - 차막이표지 설치 위치 |
15 |
55 |
15km/h 이하 운전 |
ABS R신호 바깥쪽에 일단정차 후 진입속도 |
15 |
54 |
15km/h 이하 운전 |
특수신호에 정차, 이상 없는 경우 전방1km 간은 15km/h↓ |
20 |
371-2 |
해당지점으로부터 전방 20m |
팬터내림표지 설치위치 |
20 |
371-3 |
해당지점으로부터 후방 20m |
팬터올림표지 설치위치 |
25 |
55 |
25km/h |
열차, 차량 없음을 관제사가 확인 - ABS구간 최초열차 속도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유철도 운전규칙 용어 (0) | 2008.05.02 |
---|---|
운전 수량 (0) | 2008.05.02 |
운전취급규정 요점정리 (수량편) (0) | 2008.05.02 |
국유철도운전규칙 등 용어의 정의 모음 (0) | 2008.05.02 |
지적확인환호응답방법 (0) | 2008.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