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측기의 사용요령에 대하여
1) 휴대 및 설치
가) 휴대용 계측기
- 측정자 개인이 손이나 목에 걸고 이동하면서 측정하는 계측기로서 절연 저항계, 훅크온 메터, 접지저항계 등과 같이 비교적 소형, 경량이다.
- 휴대용 계측기의 고장 발생 중 대부분이 충격에 의한 것이므로 휴대 시 항시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외피 및 끈이 튼튼한가를 확인하고 휴대용 끈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은 휴대에 편하도록 조정하여 손목이나 목 등에 단단히 걸어 만일의 경우 몸의 균형을 잃더라도 떨어뜨리는 일이 없도록 항시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휴대하여야 한다.
나) 설치용 계측기
- 비교적 크고 무거운 장비로서 계전기 시험기, 비파괴 절연진단장치 등과 같이 주로 시험용 기기가 많다.
- 설치장소의 바닥은 전기적으로 절연이 좋고 수평이며 진동 등이 없는 곳으로서 조작 및 판독이 용이하도록 안정되게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바닥은 습기나 오물 등이 없어야 하며 피시험체가 한눈에 보이는 장소에 설치한다.
- 접지단자가 있는 계측기나 고전압의 측정 및 발생계측기, 상용전원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계측기 등은 반드시 외함을 양호하게 접지하여야 한다.
2) 측정 렌지의 선택
가) 측정용 계측기
과전압이나 과전류 등과 같이 과대한 입력으로부터 계측기 내부의 소손이나 파괴 및 가동부의 무리한 동작에 의한 충격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전압, 전류, 저항(접지저항), 전력 등의 측정 시에 측정치가 미지수일 때에는 제일 높은 렌지에서 측정하여야 하며 단계적으로 렌지를 절환하여 가장 판독이 용이한 렌지를 선택한다.
나) 시험용 계측기
- 피 시험기기의 시험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의 용량을 확인하고 시험 계측기의 정격 및 특성을 고려하여 장시간 시험하여도 시험용 계측기에 무리가 없는 렌지를 선택한다.
- 계전기 시험기 및 위상 특성 시험기의 경우 렌지의 선택 잘못으로 인한 내부 가열 또는 내부부품의 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3) 측정치 및 시험치의 판독
가) 지침 가동부의 위치 표시가 있는 것은 그 표시를 준수하고 표시가 없는 것은 지침가동부가 수평으로 되게 유지하면서 판독 시 진동이나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나) 훅크온메터는 측정 여건상 수평으로 유지하기 어려우나 가급적 수평으로 유지하며 측정 선로에 인접하여 대전류의 도선이 있을 시는 오차가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4) 과전압 유입 방지
가) 전압 및 전류 측정 시 측정선로의 전압 및 전류가 측정 계측기의 최대측정보다 높지 않는지 저압선로에 고압이 유도되지 않는지 사전에 충분히 검토한다.
나) 피 시험기기 및 피 시험물이 전원 및 다른 설비와 전기적으로 완전히 격리되었는지 확인한다.
다) 고압케이블, 변압기, 고압 콘덴서 등의 측정이나 시험 시에는 고압 충전 여부 확인과 충전된 잔류 전하의 완전한 방전 등을 실시하고 측정 및 시험한다.
라) 설비를 정전시키고 시험할 경우 시험 중에 전원이 투입되지 않도록 안전 조치를 취한다.
마) 상용전원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계측기에 직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계전기 시험기, 위상특성 시험기, 비파괴 절연진단 장치)
(바) 누설 전류계의 출력단자는 측정 전류에 비례한 DC전압(최대 눈금이 0.2V)이 출력되므로 전압을 인가하여 소손시키지 않도록 한다.
5) 측정시 주의 사항
가) 금지사항
- 훅크온메터, 회로시험기의 전류렌지에서 전압 측정
- 전류계 및 회로시험기의 전류렌지에서 전압 측정
- 절연저항계로 전압 측정시 보턴 사용
- 정격 용량보다 용량 초과 사용
- 접지저항계의 접지저항 및 절연저항 렌지에서의 전압측정
- 전압계 및 회로시험기의 전류렌지에서 전압 측정
나) 주의사항
- 상용전원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계측기의 입력전압 확인
- 계전기 시험기, 위상특성 시험기 등의 전원의 극성 확인
- 고전압 측정 및 발생 계측기의 접지
- 주위의 낙하물 및 설치대 견고 여부 확인
- 피측정물에 고압 인가시 “0”에서부터 서서히 상승
6) 정격 퓨우즈의 사용
퓨우즈는 이상전압이나 전류로부터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각종 계측기의 부착 퓨우즈는 계측기 자체의 가장 기본적인 보호장치이므로 교환 시에는 반드시 정격 용량의 퓨우즈를 사용한다.
7) 기타
가) 축전지 충전 시 수소Gas에 의한 폭발 사고 유의
- 연축전지에 넣은 황산의 비중은 1.23 ~ 1.26정도이어야 하므로 비중이 1.0일때는 반드시 충전한다.
- 연축전지의 충전이 필요로 하는 종지전압은 1.8V이므로 이 전압이 되기 전에 반드시 충전한다.(24V용 밧데리는 21.6V가 되기 전에 충전)
- 단자전압과 전해액의 비중은 5~10분마다 측정하여 3회 이상 같은 값이 나올 때까지 충전을 계속한다. 대체로 균등충전의 경우 가스가 왕성하게 나오기 시작하고 30분 ~ 1시간 후에 충전이 종료된다.
- 충전기의 용량은 보통 축전기 용량의 1/10정도로 한다.
- 사용 후에는 반드시 충전하고 보관 시에는 2 ~ 4주마다 균등충전한다.
- 충전용 니켈 카드륨 전지가 내장된 것도 사용 후에는 반드시 충전하고, 보관 시에는 월 1회 이상 충전한다.(기록계, 회로시험계, 휴대용 비상라이트)
나) 건전지 누액
건전지를 너무 오래 사용하거나 전원 스위치가 켜진 상태로 방치하면 누액이 되는 경우가 많다. 계측기를 좁은 공간에 보관하거나 휴대 시에 스위치가 눌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누액이 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전전지를 뽑아낸 뒤 탈지면에 알코올 묻여 수차례 깨끗이 닦아낸다.
전지홀더 등 분해 가능한 모든 부분을 분해하여 비누물로 깨끗이 씻어서 잘 건조시킨다. 또 탈지면 사용시에는 작은 섬유 조직들이 계측기 내부에 붙어 있지 않도록 주의 한다.
다 )습기의 제거
계측기 내부에 습기가 많으면 자체 절연이 나빠져 오동작 및 감전의 원인이 된다. 습기의 제거는 깨끗한 탈지면으로 잘 닦아내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케이스를 열고 건조시킨다. 외피의 습기도 같은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라) 측정 리드 및 수납대
사용시에 기름 및 오물에 오손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훼손부분을 보수하여 지장이 없도록 관리한다.
마) 계측기의 휴대 운반
계측기의 운반 시에는 가급적 진동이 적은 방법을 취하며 차량으로 운반 시에는 급정지, 급커브에 넘어지거나 충격을 받지 않도록 잘 싣는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폭 전기설비 (0) | 2008.07.18 |
---|---|
중성점 접지방식 (0) | 2008.07.18 |
전력퓨즈(Powere Fuse)대하여 (0) | 2008.07.18 |
계기용 변류기(Current transfomer) (0) | 2008.07.14 |
장력장치 길이 산출표 (0) | 2008.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