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폭 전기설비에 대하여


1) 방폭 구조의 종류


① 내압 방폭구조(耐壓 防爆構造) - 기호 d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로서 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부분을 전폐 구조인 기구에 넣어 외부의 폭발성 가스가 내부로 침입해서 폭발하였을 때 용기가 그 압력에 견디고, 내부 고온이 틈새로  새어도 그 동안에 냉각되어 점화원이 될 수 없도록 한 것.


② 유입 방폭구조(油入 防爆構造) - 기호 o

전기 기기가 불꽃 등에 발생하여 폭발성가스에 점화할 우려가 있는 부분을 기름 안에 넣어 유면 상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우려가 없도록 한 것.


③ 내압(耐壓) 방폭구조 - 기호 f

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부분을 용기에 놓고 신선한 공기 또는 불연성 가스 등이 보호제를 용기 내부 압력을 유지하여 폭발성 가스가 침입하지 않도록 한 것.


④ 안전증(安全增) 방폭구조 - 기호 e

전기기기의 권선. 에어갭, 접점, 단자 등에 정상운전 중에서 불꽃, 아크 또는 과열이 발생해서 않될 부분에 이런 것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히 안전도를 증가시킨 것.


⑤ 본질 안전(本質安全) - 기호 i

폭발을 일으키는 데는 최소 한도의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개념을 기초로 하며, 불꽃이  소세력화를 유지함으로 전기불꽃이 생겨도 폭발성 분위기에 점화하지 않도록  한 것.


⑥ 특수 방폭구조 - 기호 s

상기 5개항 외의 구조로서, 폭발성가스의 인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시험, 기타에 의하여  확인된 구조.


2) 방폭 전기배선


① 내압 방폭 금속관배선

잠재적 점화원을 가진 절연전선과 그 접속부를 내장한 전선 관로에 대하여 관로 내 폭발을 주위의 폭발성 분위기 내로 전파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관에 실링(Sealing)을 설치 한 것 등.


② 안전증 방폭 금속관 배선

잠재적 점화원을 가진 절연전선과 그 내부에 대해서 절연체의 손상 또는 열화, 단선 접속부의 풀림 등 현실적인 점화원을 발생시키는 고장이 일어나지 않도록 절연전선의 선정, 접속부의 강화 등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안전도를 증가시키는 것.


③ 케이블배선

절연체의 손상 또는 열화, 단선, 접속부의 풀림 등 고장 원인이 일어나지 아니하도록 케이블 선정, 외상 보호, 접속부의 강화 등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안전도를 증가시키는 것.


④ 본질 안전 방폭회로의 배선

정상상태 및 이상상태에서도 전기 불꽃 또는 고온부가 폭발성 분위기가 대해 점화원이 되지 않도록 전기회로 내에서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를 억제하는 것.


⑤ 방폭 전기기기의 분류

내압 방폭구조 및 본질안전 방폭구조의 전기기기는 방폭 성능에 따라 1, 2, 3등급(국내) 및 ⅡA, ⅡB, ⅡC(ICE)의 3개로 분류하며, 방폭 전기기기는 그 최고 표면 온도에 따라 온도 등급이 G1~G5까지(국내KS 5등급), T1~T6 (ICE6등급)으로 분류.

A등급(ⅡA) : 0.8(A)초과    B등급(ⅡB) : 0.45 ~ 0.8(A)   C등급(ⅡC) : 0.45(A) 이하


⑥ 방폭 전기기기 및 배선 선정의 원칙

위험장소의 종별에 대응한 방폭 전기기기 및 배선 선정 기준

0종 장소 : 본질안전 방폭구조의 기기를 설치하고 본질안전 회로의 배선에 1, 2종 장소에

               설치 가능

1종 장소 : 내압, 압력, 유입, 본질안전 방폭구조의 기기에 설치하고 내압 방폭 금속관 배

               선, 케이블 배선에 2종 장소에 설치 가능

2종 장소 : 안전증 방폭구조에 안전증 방폭 금속관 배선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균압설비  (0) 2008.07.19
전차선공구  (0) 2008.07.18
중성점 접지방식  (0) 2008.07.18
계측기의 사용요령  (0) 2008.07.18
전력퓨즈(Powere Fuse)대하여  (0) 2008.07.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