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점 접지방식에 대하여


1. 중성점접지 :  지락고장 시 건전 상의 전위상승을 억제하고 또한 이상전압의 경감 및 발생방지

                        와 접지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확보

2. 중성점 접지의 종류 및 특성

1) 비접지 방식 : 중성점을 접지하는 않는 방식

- 1선지락 고장 시 계속 송전가능하고 점검 수리 V결선하여 송전가능

- 지락사고 시 급격한 전압 동요로 기기 손상의 우려가 있고 고전압 송전선로에는 부적당

 

2) 직접 접지방식 : 저항이 0에 가까운 도체로 중성점을 접지하는 방식

가) 장점 : 1선 지락 사고시 건전상의 대지전압 거의 상승하지 않는다.

- 선로 전압상승이 적어 정격전압이 낮은 피뢰기 사용가능

- 변압기의 단절연이 가능하여 중량과 가격 저하

- 지락계전기 동작 용이

나) 단점 : 송전계통의 과도안정도가 나쁘고 지락고장 시 병렬 통신선에 유도장해가 생기

  고, 지락전류가 커서 기기에 심각한 고장 및 차단기의 동작 다수 발생  (주로 초고압용 송

  전선로에 적합)

 

3) 저항접지방식 : 변압기 중성점을 접지하는 방식

             : R=30Ω정도 (고저항접지방식은 R=100-1000Ω정도)

- 접지 계전기의 병행 2회선 선택이 쉽고 접지저항값이 너무 작으면 고장 시 통신선에 유도장해가 생기고 접지저항이 너무 크면 지락계전기 동작이 힘들어지고 건전상의 대전전압이 상승하여 단락사고 시 이상전압의 발생우려

- 선택접지계전기(SGR)동작 곤란,며 탭 변경 등이 조작 보수 필요

 

4) 리액터 접지방식(한류리액터 접지 ): 저항기 대신 리액터 접지

- 지락전류를 제한하여 과도안정도가 향상되고 소호리액터에 비하여 지락전류가 훨씬

  감소

5) 소호리액터 접지 : 중성점을 송전선로의 대지정전용량과 공진하는 리액터를 통하여 접지

     하는 방식 - 1선지락 고장 시 극히 작은 대지전류가 흐르고 또한 지락 아크의 자연소멸로

     정전없이 송전이 가능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선공구  (0) 2008.07.18
방폭 전기설비  (0) 2008.07.18
계측기의 사용요령  (0) 2008.07.18
전력퓨즈(Powere Fuse)대하여  (0) 2008.07.18
계기용 변류기(Current transfomer)  (0) 2008.07.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