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물 건주 및 철거
1. 건주 전에 작업자는 작업 공간을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 건주한다.
2. 전철주를 들어올리기 전에 작업자는 훅 및 로프가 제자리에 위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로프로 건주 시는 로프 직경이 12.7㎜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3개소 이상에 매고 고정하여야 한다.
4. 전철주 건주를 위해 굴착 후 부득이 방치하여야 할 때는 통행인이 구덩이에 빠지지 않도록 방호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5. 통행인 및 주변 시설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 위험표시 또는 경고등을 사용해야 한다.
6. 활선선로 부근에서 전철주를 설치, 철거하는 경우는 방전고무장갑을 착용해야 하며, 충전부는 적절한 방호조치를 해야 한다.
7. 전철주 설치, 철거에 직접적으로 종사하지 않는 작업자는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떨어져 있어야 한다.
8. 보행인 및 차량은 안전거리를 유지하거나 현장 주위를 우회하도록 한다.
지지물 승강
1. 전기작업원은 승주 전 작업내용 및 작업위치를 숙지하고 작업장 주변상황을 조사 확인해야 한다.
2. 승주(탑) 전기작업원은 안전모, 안전허리띠 등 개인용 안전공구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안전한 상태에서 이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승주 (탑) 작업시는 반드시 안전허리띠를 사용하여야 한다.
4. 발판 못이 없는 전주에 승주할 때나 전주에서 내려올 때는 반드시 승주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또한 뛰어내리거나 미끄러지면서 내려오지 말아야 한다.
5. 전철주는 승주 전에 충분한 검사를 하여야 하며 전철주의 상태가 의심스러울 때는 전철주를 지지하는 응분의 조치없이 승주할 수 없다. 또한, 전철주로부터 전선을 철거할 때는 전선의 장력을 천천히 늦추어야 하며 승주 시나 승주 후에 신체의 지지물로 완금, 암타이 또는 애자 등을 이용하여서는 안된다.
6. 승주 혹은 전철주 위에서 안전허리띠 로프를 전철주에 감거나 또는 자세를 바로잡기 위하여 몸을 움직일 때는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등의 안전에 유의하여 추락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7. 승주하는 전철주에 활선이 있을 때에는 전압이 얼마이며 어느 회로가 활선인가를 완전히 파악하기 전에는 승주해서는 않된다.
8. 전철주에 타 시설물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는 주의하여 승강하여야 한다.
9. 전철주나 철탑의 부재가 얼음으로 쌓여 있으면 이를 제거한 후 승주(탑)하여야 한다. 만일, 이 작업이 여의치 않을 때는 가이드 로프를 설치하고 보조 로프나 “로립(RORIP)”을 사용하여야 한다.
로프 및 보조로프 사용 예
10. 다른 사람이 승주하고 있는 바로 위나 바로 밑에서는 동시에 승강하지 말아야 한다.
11. 전철주 승강 시 안전허리띠 로프는 지지물에 맞는 적당한 길이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12. 사업책임기술자나 기술주임은 특히 지선 장력 부족여부 검토 및 보조로프 사용 등을 지도 감독하고 중요 전기설비의 충전부분에는 감시원을 배치하여야 한다.
13. 작업성격 상 부득이 승탑 작업과 지상 작업을 동시에 시행할 때는 적합한 보호장치를 하고 긴밀한 연락 하에 실시하되 작업지시는 단계적으로 명확히 하여야 한다. 작업상 필요하면 추락(낙하) 방지용 방망을 설치하여야 한다.
14. 전철주에서는 발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면서 천천히 승강하여야 하며 발판 볼트가 없는 전주의 승강은 예비 발판볼트를 견고히 설치한 후 승강하여야 하고 발판 볼트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는 사다리를 이용하여야 한다.
15. 강관주 또는 철탑을 오르기 전에 안전화에 진흙, 그리스 또는 기타 미끄러운 물질이 없어야 한다.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 회 (0) | 2008.09.01 |
---|---|
지상 구조물 승강 (0) | 2008.09.01 |
전철주 저장, 취급 (0) | 2008.09.01 |
정전작업에 사용하여야 하는 안전공구 및 표지 (0) | 2008.08.29 |
형틀 공사 (0) | 2008.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