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가스의 일반적 성질

 

 연소생성물의 분류

 

물질이 연소되면 화학 변화에 의해 처음의 물질과는 다른 물질이 생기는데, 이것을 연소 생성물이라고 하며 가연물의 연소 형태, 화학적 성질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4가지로 분류된다.

 

가. 연소가스(fire gases)

나. 화염(flame) : 불꽃

다. 열(heat)

라. 연기(smoke)

 

(1) 연소가스

연소 가스는 가연물의 화학적 성질과 연소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화재 시 여러 종류의 연소 가스가 복합적으로 생성된다.

피부나 소화기,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침입하여 치명적인 손상을 입힌다.

피부에는 표피의 탈락, 괴사, 부종 및 염증을 유발한다.

소화기를 통해 유독 가스를 흡수하면 간에서 해독 작용을 하게 되지만 유해 물질에 장기간 노출될 때는 장기에 축적되어 중독을 일으키거나 여러 가지 후유증을 남긴다.

 

○ 연소물질과 생성가스

 

주 요 연 소 가 스

연 소 물 질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소(C)성분을 갖고 있는 모든 가연물

  아황산가스, 황화수소

고무류, 석유류, 석탄, 아스팔트, 양모 등

  일산화질소, 이산화질소

셀룰로이드, 폴리우레탄 등

  할로겐화수소화합물 및 포스겐

PVC,방염수지,불소수지 등

  시안화수소

질소 성분을 갖고 있는 모사, 비단, 피혁, 합성수지, 레이온 등

 

○ 온도에 따른 화염의 색깔

 

담암적색

520℃

 

암적색

700℃

 

적색

850℃

 

휘적색

950℃

 

황적색

1100℃

 

 

 

 

 

 

 

 

 

 

 

 

 

 

 

 

백적색

1200℃

 

휘적색

1500℃

 

 

 

 

 

 

 

 

 

화염의 수평 길이는 수직 길이의 3~5배에 해당하며 이러한 특성은 실내 화재 시 불길이 천장으로 번져 바닥에 있는 미연소 가연물에 직접적인 복사열을 전달함으로써 화재를 급속하게 확산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3) 열(heat)

화재 시 발생되는 복사열과 고온 다습한 열 환경도 화재 진압의 큰 장애물로서 작용되며 방수복을 착용하고 진화 작업을 하더라도 장시간이 지나면 탈수와 체온 상승으로 현기증, 오심, 두통, 허탈감, 경련, 실신 등의 열 중증이 되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 복사열 강도에 따른 인체반응

 

복사열 강도 (kcal / ㎡h )

인체의 반응

1,080

장시간 노출에 견딜 수 있는 최대방사열

1,260

고통을 느끼기 시작한다.

1,800

1분 후 고통

3,600

10~20초 후 고통

9,000

3초 후 고통, 10~20초 후 화상을 입음

 

○ 공기온도와 생존한계 시간

공기 온도 (℃ )

생존 한계 시간 (분)

143

5이하

120

15이하

100

25이하

65

60이하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작업자의 전기안전  (0) 2008.11.21
연기의 성질   (0) 2008.10.29
건축자재에 따른 연소가스   (0) 2008.10.29
연소가스의 독성   (0) 2008.10.29
암모니아 (NH3)   (0) 2008.10.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