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열차(定期列車, regular train)
처음부터 운전시각을 설정하여 년간을 통하여 매일 운전하는 열차를 말한다.
정보처리장치(Processing Cabinet, BTR)
자동열차제어장치의 중요한 부분인 정보처리장치로 지상의 선로조건, 선행열차의 운행정보등을 계산하여 차상으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정위(定位, normald(position))
상시 개통되어 있는 방향을 포인트의 정위라 하며, 포인트가 어느 방향으로 정위인가는 대략 열차회수가 많은 중요한 방향이 정위이다.
정지신호(停止信號, danger signal, stop signal)
신호기는 그 진로에 장애물이 있다든지 전철기가 다른 방향으로 개통되어 있을때는 정지신호를 현시한다. 정지신호에 대한 운행조건은 "정차하라"이므로 열차는 정지신호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여야 한다.
정지정위식(停止定位式, normal danger system)
절대신호기로서 평상시 정지신호를 현시하고 필요시에 한하여 진행신호를 현시하는 신호기를 말한다. 여기서 절대신호기란 신호기가 정지신호를 현시하였을 경우에 반드시 정지하여야 하는 신호기를 말한다.
정차장(停車場, station, depot)
여객의 승강, 화물의 적하, 열차의 조성, 차량의 입환,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위하여 상용하는 장소를 말한다. 정차장의 종류에는 역, 조차장, 신호장 등이 있다.
정차장 구내(停車場 構內, station yard)
정차장은 일정 범위가 있으며 상하의 양 장내신호기를 설치한 지점간의 구역 또는 그것이 없을 때는 정차장구역표간의 지역이 정차장 구내가 된다.
정차장 구역표(停車場 區域標, station boundary post)
신호기 및 보안기기를 생략한 보통정차장과 간이정차장에서 정차장의 구내와 정차장외와의 경계를 표시하며, 국철의 선로정비규칙에는 "정차장 경계표"라고 하고 있다.
정차장 설비(停車場 設備, facilities of station)
정차장 설비는 수송에 직접 관계가 있는 영업, 운전, 보수, 각 계통의 현장기관과 여객 및 화물설비에 필요한 제설비를 말한다.
정차장 중심표(停車場 中心標, station sign)
정차장의 중심 위치를 표시하는 선로제표를 말하며, 측량중심선에 제일 가까운 승강장의 옹벽에 백색바탕에 흑색문자로 쓴다. 국철에서는 하본선(下本線) 승강장 옹벽전면에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정척레일(定尺軌條, standard(length) rail)
우리 나라에서 레일의 표준길이는 25 m이지만 외국에서는 장대레일용, 또는 장척레일용으로서 36 m 또는 50 m의 레일도 제조하고 있다.
제동거리(制動距離, braking(or stopping) distance)
제동변 핸들을 제동위치에 이동시킨 때부터 정지할 때까지 주행한 거리를 제동 거리라 하며, 공주(空走)거리와 실제동(實制動)거리를 합한 거리를 말한다.
제동거리(Braking Distance)
제동을 체결하는 운전대의 장치를 조작한 이후부터 열차가 정지할 때까지 주행한 거리
제륜자(Brake Shoe)
열차 제동을 위해 차륜의 답면에 접촉시켜 양자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열차를 정지시키는 부품
제어차(制御車, train control car)
전동열차에서 운전실을 가지고 기관사가 운전제어를 할 수 있도록 제어기기가 장치된 차량을 말한다.
제동하중(制動荷重, braking load)
기관차나 차량이 선로에서 급정차 할 때에 생기는 선로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작용하는 종하중의
하나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굴하중(挫屈荷重, bucking load) (0) | 2008.11.19 |
---|---|
조가선(Messenger Wire) (0) | 2008.11.19 |
접지도선(Ground Wire) (0) | 2008.11.19 |
전차선로(Catenary) (0) | 2008.11.19 |
전식(電食, electric erosion, electrolific corrosion) (0) | 2008.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