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단역(終端驛, terminal station)
종단역은 선로의 종단에 있는 역을 말하며, 열차가 시발, 종착하는 열차 종단역과 기관차를 바꾸어 다는 기관차 종단역이 있고 배선에 따라 관통식과 두단식 종단역이 있다.
종단정차장(終端停車場, terminal station)
일반적으로 선로의 종단에 위치하는 정차장을 말하나 선로망(線路網)상의 위치는 종단이 아니라도 운수 운전 작업상 열차의 종단이 되는 정차장을 종단정차장이라고도 한다.
종렬(縱裂, vertical split head)
종렬이란 레일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생기는 레일손상을 말한다.
종속신호기(從屬信號機, subsidiary signal)
주신호기가 현시하는 신호의 인식거리(認識距離)를 보충하기 위하여 그 외방에 설치하는 신호기로서 원방신호기, 중계신호기, 통과신호기가 있다.
종침목(縱枕木, longitudinal sleeper)
횡침목과 반대로 레일 방향과 나란히 부설하는 침목을 말하며, 탄갱(炭坑), 검사 피트와 같이 궤간내에 공간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침목폭을 넓게 하여 보통 도상에 사용하는 나라도 있다.
종침목궤도(縱枕木軌道, longitudinal tie track)
종침목 궤도는 침목을 레일과 동일방향으로 사용한 궤도를 말한다. 특수한 게이지 타이에 의하여 궤간의 유지를 고려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종합안내 표시기(Integrated Display Indicator, IDI)
역사 외벽 및 대합실벽 상단에 설치하며 열차운행에 관련된 각종 정보, 홍보, 광고, 뉴스속보 등을
표시하는 장치
좌굴(挫屈, buckling, sun kink)
장출(張出)과 같은 현상이지만 학술용어로 궤도의 역학적 연구에 이용된다.
좌굴강도(挫屈强度, buckling strength)
궤도의 좌굴현상에 대한 저항력을 허용되는 축압력으로 나타낸 것을 좌굴강도라고 한다.
좌굴방지판(挫屈防止板, bucking(or safty) cap(for increasing lateral) resistanse)
좌굴을 방지할 목적으로 도상횡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침목 저부에 설치하는판을 말한다.
좌굴저항(挫屈抵抗, resistance to buckling, resisting force against buck ling)
궤도의 좌굴에 저항하는 도상 횡저항력, 도상 종저항력 및 궤광강성의 총칭이다.
좌굴하중(挫屈荷重, bucking load)
온도상승에 의한 레일의 축압력(軸壓力)이 좌굴강도(좌굴저항력)보다 크면 급격한 줄틀림이 발생하여 궤도는 좌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궤도가 좌굴하려는 축압력을 좌굴축압력 또는
좌굴하중이라 한다.
좌분기기(左分岐器, left - head turnout)
분기선이 기준선의 좌측으로 굴곡하여 분기되는 분기기를 말한다.
주레일(主軌條, main rail)
분기기 기본레일의 후방에서 크로싱의 양측에 위치하고 가드레일이 부설되어 있는 레일을 말한다.
주물크로싱(鑄物크로싱, molding crossing)
주조하여 만든 크로싱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고망간강을 주조하여 만든다. 망간 크로싱은 주강(鑄鋼)을 단일체(單一體)로 만든 것이다.
주변압기 (Main Transformer)
고속철도 차량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성하기 위한 스코트결선 변압기로 3상을 단상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설비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장물검지장치(Intrusion Detector) (0) | 2008.11.19 |
---|---|
주행저항(走行抵抗, running resistance) (0) | 2008.11.19 |
조가선(Messenger Wire) (0) | 2008.11.19 |
정위(定位, normald(position)) (0) | 2008.11.19 |
접지도선(Ground Wire) (0) | 2008.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