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부의 정의

 

1) 아부해서 손해 본적 있던가?

 

우리는 연말 또는 인사이동이 있을 때마다,

실망스러운 결과에 대해서 자랑스럽게 이런 말을 하곤 한다.

“내가 아부에 약해서...”

한마디로 자신은 실력도 있고, 노력도 했으나,

단순히 계산적이고 약은 처세술에 약해서

손해를 보고 있다는 말을 우회적으로 하는 말이다.

하지만, 이건 절대 더 이상 미덕이 아니다.

오히려 반성해야 할 부분이다.

아직도 아부를 약삭빠른 계산에 의한 처세술 이라고만 생각한다면,

이렇게 물어보고 싶다.

“아부해서 손해 본적 있으셨습니까?”

역사 이래 아부해서 손해를 본적이 있었던 사람은 없다.

   

2) 솔직함이 늘 미덕은 아니다.

 

오히려 솔직해서 죽음을 당한 사람은 많았다.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리어왕’에 등장하는 막내딸 코델리아가 대표적이다.

나이 든 리어왕이 영토를 딸들에게 나눠주기 전에

진실로 딸들이 얼마나 자신을 사랑하는지 알고 싶어 했을 때,

입에 발린 소리로 환심을 샀던 첫째 둘째 딸과 달리,

막내인 코델리아는 입바른 소리를 해 아버지인 리어왕의 분노를 사게 된다.

바로 리어왕의 예처럼, 누구나 진실을 원한다고 하지만,

막상 진실에 닥치면 부인하고 외면하는 쪽이 많다.

한마디로 인간은 진실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진실만 보려고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누구든지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아부에 목말라하고 아부를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너무나 간단하다.

인간은 허영심으로 가득 찬 존재이기 때문이다.

체스터 필드는 “인간은 허영심과 자존심을 먹고 산다고 할 수 있다.

주위를 돌아보라, 칭찬 받으려고 애쓰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미 여기서 칭찬과 아부는 구분이 힘들어진다.

   

3) 사람은 누구나 아부를 받고 싶어한다.

 

흔히 자긍심이 강하고 화려한 업적을 높이 쌓은 사람들은

자신을 칭찬하는 소리를 아부라고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그러한 평가를 해주는

타인의 안목이 뛰어나다고 받아들인다.

플루타르크의 말처럼

“아부에 무척 약한 인간이라고 알려진 인물 일수록,

사실은 지나칠 정도로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

그들은 자신을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온갖 뛰어난 자질을 소유하도록 갈망하고,

또 실제로 갖고 있다고 여기는 사람들이다”

 

결국, 아부를 받는 이는

당연히 아부를 받아야 할 만한 대상이 되는 사람이고,

만일 여러분이 아부를 받는다면

그 또한 그 정도의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그러니 아부를 할 때도, 받을 때도

이제까지와는 달리 마음을 편하게 가지면 된다.

   

4) 아부는 존중이다.

 

버나드 쇼는 “당신이 누군가에게 아부한다는 것은,

곧 당신이 그를 아부할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라고 말했다.

아부를 하는데, 돈이 든다거나,

또는 아부를 했다고 고소를 당하거나 이런 일은 절대 없다.

아부란 한마디로 상대를

존중할 만한 가치 있는 인물로 만들어 주는 구체적인 행동이다.

 

 

'든든한 삶 > 좋은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랫사람에게 하는 아부  (0) 2008.11.27
왜 아부해야 하는가?   (0) 2008.11.27
포기하고 싶어질 때면  (0) 2008.11.27
올해도 단풍은 곱다.   (0) 2008.11.27
자기 암시   (0) 2008.11.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