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면허의 종류
○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 고속철도차량 및 철도장비 운전면허에 의하여 운전할 수 있는 차량
○ 제1종 전기차량운전면허 : 전기기관차 및 철도장비 운전면허에 의하여 운전할 수 있는 차량
○ 제2종 전기차량운전면허 : 전기동차 및 철도장비 운전면허에 의하여 운전할 수 있는 차량
○ 디젤차량운전면허 : 디젤기관차, 디젤동차, 증기기관차 및 철도장비 운전면허에 의하여 운전할 수
있는 차량
○ 철도장비운전면허
-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기계 또는 장비
- 철도시설의 검측장비
- 철도, 도로를 모두 운행할 수 있는 철도복구장비
- 전용철도에서 시속 25킬로미터 이하로 운전하는 차량
- 사고복구용 기중기
면허시험응시자격
- 신체검사 및 적성검사 합격자
- 교육훈련(건교부지정)기관 교육이수자
- 철도안전법 제11조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자
- 고속철도차량응시자는 규정한 운전업무 수행 경력이 3년 이상인자
면허시험 시행
○ 필기시험
- 시험시행 : 정기 및 임시시험
- 시험과목 : 철도관련법, 철도시스템 일반, 기관차의 구조 및 기능, 운전 이론 일반, 비상시 조치 등
○ 기능시험
- 시험과목 : 준비점검, 제동취급, 제동기외의 기기취급, 신호준수, 운전취급, 신호. 선로숙지, 비상시
조치 등
- 시험방법 : 모의운전연습기
단계별 철도차량운전면허 취득절차
○ 1단계 신체검사 및 적성검사
건설교통부장관이 지정한 신체검사 지정 병원 및 적성검사기관 검사결과 합격 판정
○ 2단계 면허취득을 위한 교육과정 이수
건설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교육 훈련기관에서 관련법규, 전문이론교육, 기능교육으로 구분
420시간~ 1,120시간 이수
- 일반응시자 : 고속 420, 디젤 1,120, 1종 전기 1,020, 2종 전기 840, 장비 420 시간)
○ 3단계 필기시험
면허종별 5개 과목, 과목당 40점 이상(철도관련법은 60점), 평균60점이상 득점
○ 4단계 기능시험
면허종별 5개 과목, 과목당 60점 이상 평균80점 이상
○ 5단계 면허발급 : 면허종류별로 면허증발급, 자료관리
○ 6단계 운전실무수습
철도운영기관에서 면허별로 200~400시간 또는 1,500~10,000km이상 구간 운전실무수습
○ 7단계 운전면허등록
운전가능구간별 면허증 기재사항변경, 갱신, 반납, 정지, 취소, 자료관리 등
○ 8단계 운전업무종사
철도 운영기관 실무수습 수료 후 교통안전공단에 인증구간 등록하고 운전업무에 종사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면허 시험과목 (운전면허 소지자 ) (0) | 2008.12.03 |
---|---|
운전면허 시험과목(신규자) (0) | 2008.12.03 |
철도차량운전면허 (0) | 2008.12.03 |
철도안전 자격관리 (0) | 2008.12.03 |
철도안전관리의 특성 (0) | 2008.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