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부하보호( 過負荷保護, overload protection)
전력기기 또는 송배전선로의 과부하 상태에 대한 보호로서 보호장치로는 주로 반한시형 과전류계전기 또는 온도계전기(thermal relay)가 사용된다. 온도계전기는 기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로써 온도상승을 추정하는 replica type과 저항 온도 검출기(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로써 필요한 부분의 실제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후자는 냉각계통의 고장으로 인한 과열현상도 검출하며 일반적으로 대형 기기보호에 적용된다. 한편 송전선의 단락보호용 거리계전기(Zone 3)로서 선로 과부하 보호를 겸하는 경우도 있다.
과전압 보호( 過電壓保護, overvoltage protection)
과전압으로 인한 절연파괴 또는 철손(iron loss) 증가 등에 대한 보호로서 발전기,동기조상기(rotarycondenser), 정전축전기(static condenser), 분로리액터(shunt reactor)등의 기기에 적용되며 이 보호장치의 동작시간 특성은 순시형, 반한시형, 정한시형이 있다. 한편 지락보호의 한 방법으로서 영상전압회로에 지락 과전압계전기를 접속하는 방식도 있다.
부족전압 보호(不足電壓保護, undervotage protection)
부족전압 보호는 전원전압의 저하 또는 무전압 상태를 검출하여 부하설비를 보호 또는 전원절체 등의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특히 전동기는 전원전압이 저하되면 기동이 곤란하고 운전중에 속도가 저하되거나 과부하가 될수 있으므로 저전압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며, 한편 한개의 전원에 다수의 전동기가 접속되는 계통에서는 정전후 전원이 회복될때 전동기들의 동시기동에 따른 전원측 과부하로 재정전될 수 있으므로 정전시는 부족전압 보호장치로서 전동기를 전원으로부터 분리하는 방식도 적용된다. 부족전압 보호는 관련 계통사고에 의한 순간적인 저전압에 동작치 않도록 한시형이 널리 사용된다. 이밖에 모선보호장치 또는 송전선보호장치등에서 부족전압계전기가 고장검출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에는 순시형이 쓰인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기탈조 보호(同期脫調保護, out of step protection) (0) | 2009.07.09 |
---|---|
역전력보호(逆電力保護, reverse power protection) (0) | 2009.07.09 |
단락보호( 短絡保護, shortcircuitprotection) (0) | 2009.07.09 |
후비보호( 後備保護, back up protection) (0) | 2009.07.09 |
주보호(主保護,ain protection) (0) | 2009.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