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리스터(varistor)

 

부특성(負特性)을 갖고있는 비직선성 소자로서 양단에 걸리는 전압에 의해 저항치가 변동하여 일정전압 이상이 인가되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는 특성을 갖고 있어 계전기의 전압소자의 과전압 보호용으로 사용된다.


 

 

 

[그림 6] 배리스터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s ; IC 회로)

 

독립적으로 사용되던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 커패시터 등을 얇은 실리콘 판(wafer)에 장착하고, 이들 소자 상호간에 전기회로를 구성시킨 것이 IC회로로서 부피가 극소화 되었다. 소자간의 상호연결에 땜납을 사용치 않으므로 신뢰도가 높고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나 thermal용량이 작아 과도전압에 손상을 입기 쉽다. 정지형 계전기의 동작증폭기 및 논리회로 구성등의 표준회로에 많이 사용된다.

 

방향요소(方向要素, directional unit)

 

loop화된 송전계통의 고장발생시 고장전류의 방향이 고장 상태에 따라 변동된다. 전압, 전류등의 전기량에 의해 동작하는 측정요소로서는 고장검출은 가능하나 고장위치(방향) 판정은 불가하다. 따라서 방향판정요소를 추가 함으로서 보호계전기가 피보호구간 사고에만 동작토록 하며 일반적으로 전압과 전류를 조합하여 전압에 대한 전류의 위상차로서 고장방향을 판정한다.

 

기동요소(起動要素,strating unit)

 

주보호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소로서 이 요소가 동작 함으로서 보호계전기가 동작하게 되고 기타 한시 요소등이 기동하게 된다. 반송계전방식 및 방향거리계전방식에 적용되는 이 요소는 그 특성이 Mho특성으로 검출범위는 최대부하전류에 동작하지 않도록만 하면 되므로 보호범위가 커서 방향검출, 고장검출 및 Zone-3 한시트립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측정요소(測定要素, measuring unit)

 

거리계전기의 한 요소로서 고장점까지의 임피단스를 측정하는 요소를 말하며 특성상 Mho형, reactance형 등이 있으며 방향거리계전방식에서 zone-1, zone-2 한시 trip요소에 사용된다.

Mho형은 동작범위가 원특성이기 때문에 고장 arc저항에 무관한 장거리 송전선 보호에 적합하며 reactance형은 저항분에 대하여 무관함으로 짧은 송전선에 적합하다.

 

 

 

[그림 7] 측정요소 특성


모자이크 판넬(mosaic panel)

 

배전반 flame을 철제틀로 구성하고 이들 철제틀에 일정한 크기의 격자모양의 작은 상자들로 채운다음 이 격자틀에 모자이크 조각을 부착하여 배전반면을 구성한다. 개개의 모자이크 조각에는 모선, 변압기 등의 기호가 인쇄되어 있거나 차단기, 단로기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및 조작 스윗치를 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계통 구성상태에 따라 모자이크 조각을 조립 반면을 구성함으로서 계통구성 및 운전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graphic배전반의 일종으로 오조작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계통변경 및 증설시 반면의 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어 모선구성이 복잡한 발,변전소의 조작반으로 많이 사용된다.

 

랙 마운팅 패널 (rack mounting panel)

 

반도체 산업의 발달로 부품의 소형화(I.C회로등)가 이루어져 초기의 정지형 계전기와 같이 각각의 외함이 불필요하게 되었으며 I.C회로등 소형화된 부품들을 프린트판(print circuit)에 부착하여 계전기 기능을 수행케 한다. 따라서 계전기반에 계전기를 종합 수용할 수 있는 rack형 함을 설치하고 프린트판으로 구성된 계전기 요소들을 끼워 넣어 완전한 보호 system을 구성하는 관계로 각 계전기 요소들의 점검, 시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