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틱 판넬(static panel)
주계전기들이 static type으로 구성되어 있는 계전기반을 말하며, 계전기의 동작속도, 감도, 정확도 등의 특성이 양호하며 변성기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전반 규격을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surge 전압으로 인한 오동작 및 소자의 손상우려성이 있고 주위온도 및 습도의 영향을 받을 우려성이 있다.
캐리어 패널(carrier panel)
선로 보호용 계전기반의 일종으로 반송보호계전방식을 적용한 계전기들로 구성되어 있는 계전기반으로 주보호 계전기로는 반송보호계전기, 단락 및 지락보호용 후비보호계전기, 재폐로계전기 및 carrier set와 계전기반을 연결하는 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파이롯트 패널(pilot panel)
선로 보호용 계전기반의 일종으로 표시선계전방식을 적용한 계전기 들로 구성되어 있는 계전기반으로서 구성은 캐리어 패널과 유사하나 주계전기가 표시선 계전기이고 표시선 단선이나 단락을 검출할 수 있는 감시회로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배전반(配電盤, switchboard)
계기류, 계전기류, 개폐기류 및 각종 보안장치를 설치하여 전류를 개폐 또는 제어하는 대리석, 에보나이크, 철판제 등의 장치인데 최근에는 단순히 전류의 제어 뿐아니라 발전소, 변전소, 제철소, 화학플랜트, 정수장, 하수장 고층빌딩 기타 전기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플랜트의 감시제어장치, 자동제어장치, data처리장치, 보호장치 및 주회로 개폐장치등을 수용한 장치를 총칭하여 배전반이라고 부르고 있다.
배전반은 전력계통 또는 기기의 감시, 제어를 목적으로 조작, 계측, 표시 및 보호장치를 한 곳에 설치한 것으로 전기설비와 감시제어자 간의 중계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기운전의 중추적인 요소이다. 배전반의 종류로는 수직벽지지형, 수직 자립형, 벤치형, 데스크형, 폐쇄형 및 그래픽형이 있으며 기술의 진보에 따라서 감시, 제어 및 보호방식이 고도화 되고 있어서 다종 다양의 배전반이 사용되고 있다.
수직벽지지형 배전반 (vertical switchboard)
수직 개방형 배전반으로서 벽지지틀로 배전반을 고정시키고 전면에 전기기기의 제어, 보호 및 계측기기를 부착하되 계기류는 조작개폐기 상부에, 계전기류는 조작개폐기 하부에 설치한다.
수직 자립형 배전반 A ( duplex switchboard )
전면, 후면의 고정형 배전반과 상면 덮개 및 개방할 수 있는 측반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점검용 통로를 가지고 있다. 반 전면에는 계측기와 조작개폐기, 고장표시기 등 감시제어에 필요한 기구를 설치하고 후면에 보호용 계전기를 취부한다. 이 배전반은 각 반이 기능별로 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보수점검이 용이하다.
배전반면에서 직접 조작하는 수직 자립형 배전반은 구조상 상부에 계기를 취부하고 조작이 용이하도록 지상으로 부터 1,100 높이에 조작개폐기를 취부하므로 기기 취부위치가 제약을 받는다. 대규모 변전소에서는 배전반수가 많아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나 축소형 기구류의 발달과 기록의 간소화에 따라 계기를 생략하는 등 반의 축소가 가능하게 되어 현재에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림 8] Duplex Switchboard
수직 자립형 배전반 B ( dual switchboard )
별도의 계측 제어반이 있어 보호용 배전반만이 소요될 때 사용한다. 전면 및 양 측면은 고정형 강판, 상면은 덮개로 덮여 있으며 후면은 개방 가능한 힌지(hinge)형 강판으로 되어 있다.
벤치형 배전반 (bench type switchboard)
벤치형 배전반은 수직 자립형 배전반에 desk형 배전반을 밀착시켜 하나로 한 것으로 조작개폐기를 사람이 가장 조작하기 쉬운 사면형으로 취부함으로써 조작개폐기류의 취부 공간을 넓혀 모의모선을 알기 쉽도록 한 것이다.
이 배전반은 표준형과 축소형의 2종류가 있는데 표준형은 수직 자립형과 같이 꽤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으며 축소형은 광각도 지시계기의 출현과 더불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배전반은 수직 자립형 배전반과 같이 직접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조작개폐기의 평면적으로 일열 배치하게 되어 대규모 변전소에서는 배전반의 길이가 대단히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모의모선이 실제 기기배치와 다른 형태로 되기 때문에 상시 감시에는 매우 불편하며 또한 이면 배선이 협소한 장소에 설치되므로 유지보수가 곤란하여 최근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다.
[그림 9] 벤치형 배전반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귀(復歸, drop out or reset) (0) | 2009.07.14 |
---|---|
그래픽 배전반 (graphic switchboard) (0) | 2009.07.14 |
배리스터(varistor) (0) | 2009.07.14 |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 (0) | 2009.07.14 |
상태 표시기(狀態表示器) (0) | 2009.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