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이크 배전반 (mosaic type panel)

 

유니트 판넬형 배전반을 더욱 세분화한 단위편을 사용하여 반면 변경이 용이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모자이크 배전반

 

  모자이크 배전반의 구조는 철제의 틀에 수십조의 격자상 space를 등간격으로 만들어 여기에 모자이크석이라고 부르는 가로, 세로 각 25mm의 단위편을 끼워넣어 평면상으로 배전반을 구성한다. 모자이크석은 반상기구가 취부되지 않는 부분에 사용하는 것, 모선,변압기등의 기기 symbol을 새겨서 색깔로 구별한 symbol석(石), 차단기, 단로기용의 조광 조작개폐기석, 차단기의 개폐상태나 조광모선 등의 표시등석 등 각종의 단위편을 계통구성에 따라 배치한다.

 

모의모선(模擬母線, mimic bus)

 

모의모선은 전기계통의 접속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하며 금속제, 아크릴 수지제 및 아크릴 수지 조광식등의 종류가 있다. 금속제 모의모선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것으로 10~12㎜폭의 금속판을 상위계통으로 부터 은, 황동, 동색 등의 자연색으로 도금한 것을 사용한다. 아크릴 수지제의 경우에는 금속제에 가까운 색체를 선정하는데 적색, 청색, 황색 등이 사용되며 조광식의 경우에는 반투명 아크릴판으로 모의모선을 만들어 이면에서 모선 및 모의 기기를 조광하도록 되어 있다.

 

단자대(端子帶, terminal block)

 

옥내배선 및 제어 cable의 종단은 확실하게 접속하기 위해 최근에는 거의 압착단자를 사용하여 단자대를 거쳐 기기에 연결하고 있다. 단자대는 maker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조립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단자내의 접속은 다수의 선을 한 곳에서 분기하며 사용중 느슨해지고 보수상 불편하기 때문에 1단자에 1본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시험용 단자(試驗用 端子 test terminal)

 

기기 운전중에 회로에 직렬로 측정기를 삽입하거나 계전기 및 계기의 시험을 하기 위하여 계기용 변압기, 변류기의 2차회로에 시험용 단자를 설치한다. 시험용 단자는 plug in형과 state형이 있다. 변류기용 시험단자는 단락편이 2중으로 되어 있어 측정기를 접속할 때 단락편을 떼어내도록 되어 있다. 시험용 단자를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전압회로용에 있어서 부족전압계전기, 거리계전기등과 같이 무전압으로 동작하는 계전기를 오동작시키지 않도록 확실하게 interlock 시켜 전압입력을 끊도록 하고 전류용에 있어서는 변류기 2차측의 개방사고를 일으키지 않도록 취급순서에 주의해야 한다.


시동(始動, start)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향으로 입력이 변했을 때 최초의 위치에서 가동부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최초 위치에서의 기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시동이라 하며, 시동에 필요한 한계 입력치를 시동치라 한다.


동작(動作, operation)

 

계전기가 소정의 책무를 수행하는 것을 동작이라 하며, 동작에 필요한 한계입력을 동작치, 입력이 동작치를 넘는 순간부터 계전기가 동작한 때까지의 시간을 동작시간이라 한다.


지지(支持, holding)

 

계전기에 입력이 가해지면 계전기의 가동부가 동작후 동작상태 그대로 동작기능을 유지하는 것을 지지라 하며 계전기의 접점이 동작기능 상태로 유지되는 최소의 입력치를 지지치라 하며, 최초의 지지상태에서 지지가 해제되는 상태까지의 시간을 지지시간이라 한다.


석방(釋放, release)

 

계전기의 가동부가 동작상태에서 복귀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여 동작상태에서 기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말하며, 석방에 필요한 한계 입력치를 석방치, 가동부가 원래의 위치로 움직이기 시작하여 최초의 무입력 상태에 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석방시간이라 한다.

 

복귀(復歸, drop out or reset)

 

계전기가 pick up후의 위치에서 입력이 영(0)인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말하며, 복귀에 필요한 한계 입력치를 복귀치, 입력이 복귀치를 넘는 순간부터 계전기가 복귀한 때까지의 시간을 복귀시간이라 한다.

 

가. 자기복귀(self reset) 

동작후 입력이 복귀치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복귀하는 것을 말한다.

 

나. 수동복귀(manual reset) 

동작후 입력이 복귀치 이하가 되어도 자동복귀되지 않고 계전기를 수동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 전기복귀(electrical reset) 

동작후 입력이 복귀치 이하가 되어도 자동복귀되지 않고 복귀를 목적으로 외부에서 다른 전기입력에 의하여 계전기를 복귀시키는 것을 말한다.

 

라. 한시복귀(time delayed reset)

계전기가 동작후 입력치를 영으로 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때 시간 지연으로 복귀하는 것을 말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