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동작(限時動作, (time delayed operation)

 

계전기가 소정의 입력에 대하여 동작시간이 늦어지도록 고려한 경우에 계전기가 시간 지연으로 동작하는 것을 한시동작이라 한다.


제어 언더리치 (permissive underreach)

 

반송계전방식에 있어 전송차단방식은 외부 고장시에 절대로 동작하지 않고, 보호구간의 일부를 제외한 내부고장때에만 동작하는 계전기를 피보호구간의 각 단자에 설치하여 이 계전기가 동작한 단자는 그 단자를 차단함과 동시에 타 단자에도 차단지령을 보내어 상대편도 동시에 차단하는 방식이며 전송차단에서 일반적으로 주파수변이방식을 쓰며 일반적으로 직접 언더리치형, 제어 언더리치형이 있으며 제어 언더리치형은 수신신호와 고장검출계전기를 조합하여 차단하는 방식이다.

우리 계통의 초고압 송전선 제2차 주보호에 사용하는 방법은 제어 언더리치형이다.


제어오버리치 (permissive overreach)

 

수신신호와 자단의 내부방향 계전기와의 조합으로 차단하며, 전송차단신호 송신은 자기구간을 초과하는 지점의 고장에도 동작하는 내부방향 계전기를 사용하는 방법이며 방향비교방식과 유사하다.


억제(抑制, restraint)

 

계전기의 동작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 또는 전기량을 작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저지(沮止, blocking)

 

계전기가 동작 입력의 여하에 관계없이 어떤 계전기나 system의 일부가 동작되어도 전체 기능을 발휘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자기지지(自己支持,self holding)

 

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특정 기구 또는 다른 입력에 의해 동작 기능을 스스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기억작용(記憶作用,memory action)

 

계전기의 입력이 급변했을 때 변화 전의 전기량을 계전기에 일시적으로 잔류시키게 하는 것을 말하며 주로 Mho형 거리계전기에 사용한다.


접점협조(接點協助, contact coordination)

계전기 접점의 동작 및 복귀시간을 잘 조합, 상호간에 협조하여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예로서 C/R수신 relay와 내부사고 검출 relay간의 접점협조가 있다.


동작비율(動作比率)

 

비율차동계전기의 동작coil에 흐르는 전류의 제어coil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백분율을 동작비율이라 하며 변압기의 변압비와 변류기의 변류비가 적당하여 변류기 2차측의 전류가 서로 같게 되면 문제가 없으나 일반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계전기 원리상 차전류를 적절히 보상해 줄 필요가 생기게 되며 변류기 2차 전류가 큰쪽에 단상 보상변류기(CCT)를 연결하여 평상시 차동전류를 zero가 되도록 하며, 계전기 동작 coil 및 2개의 제어coil중 한쪽 coil에 각각 tap을 설치하여 기자력(AT)을 같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동작coil이 평형상태에 있도록 하는데 이때에 전원측의 이상으로 계전기에는 차동전류가 흐른다. 동작비율의 tap은 mismatch율과 발생 가능 오차율 및 여유를 합하여 보통 35%이상에 선정하는 것이다. 또 최근에 생산되는 비율차동 계전기는 동작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동작시간특성(動作時間特性, operating time of characteristic)

 

계전기의 입력이 동작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며 계전기에 가해지는 입력의 대소에 관계없이 일정시간에 동작하는 정한시 특성, 입력이 크면 클수록 동작시간이 짧아지는 반한시 특성 등 계전기에 가해지는 입력에 따라서 동작시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복귀시간특성(復歸時間特性,  reset time of characteristic)

 

계전기가 복수입력(전류와 전류 또는 전압과 전류)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호간의 위상각이 응동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며, 위상각이 전압과 전류입력 상호간만의 경우 위상특성을 특히 역률특성이라 부를 때도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