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자형 배전반 (desk type switchboard)

 

데스크형 배전반은 주로 제어용으로서 수직형 배전반과 조합하여 사용하며 수직형 배전반과는 분리되어 있다. 이 배전반은 일반적으로 대용량 발변전소에서 주 배전반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어대형 배전반 (control desk type swit -chboard)

 

축소형 벤치형 배전반의 취부기기를 생략함으로써 수직감시면을 전면 사면반으로 축소하여 desk형 및 전면 사면반으로 한 것으로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space를 특히 축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폐쇄형 배전반 (enclosed switch -board)

 

폐쇄형 배전반은 차단기, 단로기등의 전력용 개폐기, 계기용 변성기, 모선, 접속도체 및 감시제어에 필요한 기기를 접지된 금속함 내에 수납하고 단위회로 마다 접지 금속벽 또는 절연격벽으로 격리한 배전반을 총칭한 것이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가.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조작이 안전하고 외부 접촉에 의한 사고 염려가 없다.

  나. 단위회로 마다 구획되어 있어서 사고확대의 우려가 없다.

  다. 표준화하여 제작되고 있으므로 기기의 호환성이 좋다.

  라. 완전 조립되어 수송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으며 또한 운반, 설치가 용이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마. 폐쇄형이므로 먼지의 침입이 거의 없어 보수가 용이하다.

  바. 기기의 입체적 배치에 의한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적고, 옥외형이므로 건물을

       생략할 수 있다.

  사. 고급도장을 실시함으로써 주위환경과의 조화가 가능하다.

 

 

 

[그림 10] 옥내형 폐쇄배전반


그래픽 배전반 (graphic switchboard)

 

그래픽 배전반은 조광식 그래픽반, 유니트 판넬 조광반 및 모자이크 배전반 등이 있다.

 

가. 조광식 그래픽반 (illuminated graphic switchboard)

  모선구성이 복잡한 대용량 변전소에서는 계통구성을 모의하는 모선, 차단기, 단로기 및 변압기 등의 symbol을 조광식으로 하는 조광식 graphic반을 사용하는데 그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계통의 운전 상황을 조광모선의 점멸에 의하여 파악할 수 있으므로 계통 전체의 집중관리가 용이하다.

  (2) 개폐조작에 따른 상태변화 부분과 영향을 받는 부분을 flicker시켜 그 범위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오조작의 염려가 없다.

  (3) 만일 고장이 발생하여도 고장차단부분을 flicker시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빨리 파악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다.

  (4) 조광반 상에는 감시가 용이하도록 개폐기류를 최소한으로 하고 선택식 제어방식을 채용하여 조작개폐기를 줄이는등 반의 축소가 가능하다. 조광식 graphic반은 조작 desk에서 선택조작을 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조작방식으로는 피제어기기의 수만큼 개별선택 SW를 반상에 배열하고 개별선택후 주 조작개폐기에서 제어한다.

  조광식 graphic반은 모선구조가 복잡한 변전소에 있어서도 운전상태를 신속하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오조작 방지상 가장 우수한 배전반인 반면 변전소의 설비변경을 하는 경우에는 반면의 개조가 매우 곤란하다. 때문에 조광식 graphic반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면밀한 계획을 세워서 장래 계획을 예측하여 증설 여지를 고려해 둘 필요가 있다.


나. 유니트 판넬형 조광반  (unit panel illuminated switch board)   

계통의 변경, 증설의 필요가 있는 경우 반의 개조나 가공을 하지 않고 용이하게 반면 변경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 배전반은 상호 호환성을 가진 다수의 유니트 판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유니트 판넬은 각기 틀 형태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unit panel을 바꾸어 끼우거나 graphic반을 떼어내서 plugging배선으로 접속함으로써 반면을 변경할 수 있다. 또 각 유니트 판넬을 공장에서 대량 생산해 두고 주문에 의하여 조합하여 납품할 수 있으므로 배전반의 표준화가 가능하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버리치(overreach)   (0) 2009.07.14
복귀(復歸, drop out or reset)   (0) 2009.07.14
스태틱 판넬(static panel)   (0) 2009.07.14
배리스터(varistor)   (0) 2009.07.14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   (0) 2009.07.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