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설계 및 도면의 작성
공사의 설계서 및 도면은 시공자 또는 관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적인 내용으로 다음 각호에 의하여 작성한다.
1. 공사설계서는 원칙적으로 현장조사에 의한 스케치와 소요 자재의 종별 및 수량 등이 조사된 후에
작성한다.
2. 공사설계 도면은 배전계통도,평면도,장주도,상세도 및 공사에 관한 제반 설명도표를 첨부한다.
3. 공사구역 내의 배전계통도는 다음 각목을 표시한다.
가. 변압기의 용량, 전압. % 임피던스 기타 제반 전기적 계산에 필요한 사항
나. 선로의 구간별 긍장, 케이블 규격
다. 가공선로의 주요 전주 및 분기점, 말단점의 전주번호
라. 기타 공사에 필요한 사항
4. 공사에 관한 제반 설명은 다음 각목을 표시한다.
가. 급전구간별 부하 산출
나. 전압강하 계산
다. 배전선로 보호
라. 연선 수전설비의 용량, 계통 구성
마. 운전 관련설비의 이중화 전원 공급방안
바. 부하측 개폐서어지 및 이상전압에 대한 보호설비(Surge Absorber)
5. 공사에 필요한 특수 장주도는 평면도와 별도로 작성하며 일반적이고 보통의 장주도는 생략하되
필요한 사항만을 평면도상에 표기한다. 또한, 평면도와 장주도는 공사내용이 설명될 수 있도록 다
음 각목을 정확히 표기하여야 하며 평면도는 철도선로 평면도를 사용한다.
가. 평면도에는 동서남북의 방향을 표시하며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철도선로의 기점(기점 적용이
곤란한 경우는 전원측)을 좌측으로 하여 우측으로 그린다.
나. 전선로를 중심으로 양측 50[m] 이내의 지형. 장애물과 다른 가공전선. 주요 건조물 등을 표기
한다.
다. 필요한 경우에는 배전선로를 중심으로 양측 50[m] 이내에 있는 약전류전선의 위치와 종별, 소속
및 배전선로로부터의 거리 등을 표기한다.
라. 전주의 위치. 길이. 전주번호. 지선. 지주의 설치위치와 방향을 표기하며 전주경간을 [m] 단위로
표기한다.
마. 전주에 가선된 전선의 굵기. 종별. 조수와 전압 등을 표기한다.
바. 변압기. 개폐기. 보호장치. 콘덴서 등의 주요 기기 위치. 용량. 종류. 수량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표기한다.
사. 배전선로에서 공급되는 전기실등의 명칭과 용량 및 특수 부하를 표기한다.
아. 장주도는 지지물 제장치. 구조 및 사용 자재의 수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작성하되 전원
측에서 본 것을 도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보는 방향을 표시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정의 (0) | 2011.02.21 |
---|---|
배전선로의 경과지 선정 (0) | 2011.02.10 |
케이블의 포설 (0) | 2011.02.10 |
가공케이블의 시설 (0) | 2011.02.10 |
케이블의 중간접속 방법 (0) | 201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