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전선로의 경과지 선정
① 배전선로의 통과경로의 선정에 있어서는 그 지역의 기상조건. 지세 등을 검토하여 다음 각호에
의거 경과지를 선정한다.
1. 가급적 철도용지 내에 건설한다.
2. 선로의 순회와 보수가 용이하도록 다음 각목에 유의한다.
가. 선로는 강전류전선로와 다른 시설에 장해를 주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철도선로 및 도로에 연하
여 시설한다.
나. 선로의 굴곡과 고저차는 가급적 작게 한다.
다. 다른 시설물과의 교차 또는 접근을 가급적 피한다.
라. 부식성가스. 염해 및 풍해 등을 항시 받을 우려가 있는 지역은 피한다.
마. 통행이 곤란한 산림. 하천 등과 고적. 묘지 등 특수장소는 피한다.
바. 인화성물질 또는 폭발성물질의 제조. 저장장소는 피한다.
3. 인근 통신선로에 대한 유도장해를 감안한 배전선로 경과지를 선정한다.
② 선로의 경과지 선정시에는 설계자가 현지를 답사하고 설계도를 작성하여야 하며 중요한 지지물
예정 위치는 표시 말뚝 등으로 표시한다.
배전선로의 구성
배전선로 구성은 그 지역의 여건 및 현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다음 각 호와 같이 선정한다.
1. 단선철도 구간은 1회선, 복선철도 구간은 2회선을 원칙으로 하며, 지하구간 및 2복선 이상 개소는
3회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2. 2회선이상의 복선철도 구간은 공급점이 다른 2개소에서 급전이 가능하도록 회로를 구성하여야
한다.
3. 2회선으로 시설할 경우 가공선로 1회선, 지중선로 1회선, 터널 및 교량이 60%이상일 때에는 지중
선로로 구성하며, 역구내,터널,교량구간은 케이블을 시설함을 원칙으로 한다.
4. 배전선이 2회선 이상인 경우는 선로의 가선위치를 분리하여 시설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지중
선로인 경우 현장 여건상 분리 시설이 곤란할 때에는 동일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5. 전철운행구간의 가공 배전선로는 원칙적으로 전차선로의 지지물과 공용한다.
6. 2회선 구간의 배전선 부하는 가급적 균등부하가 되도록 분포 시킨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선로의 전압 (0) | 2011.02.21 |
---|---|
용어정의 (0) | 2011.02.21 |
공사설계 및 도면의 작성 (0) | 2011.02.10 |
케이블의 포설 (0) | 2011.02.10 |
가공케이블의 시설 (0) | 201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