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전기분야 개선사항


.전기실 설비

(1) 비접지 고압계통 지락보호방식 개선

() 현황

 - 변전실 : 고압 배전용 차단기반에 지락보호 설비로 GPT 64R, ZCT 67R(유도형)이 

                설치되어 있음.

 - 전기실 : 1, 2, 3호계 수전용 차단기반에 고압계통의 지락보호설비로 변전실과 같은 GPT,

                     ZCT, 64R, 67R로 설치되어 있음.

() 문제점

- 변전실의 어느 고배계통 이상시 다른 건전한 변전실의 고배계통으로 67개 정거장을 연장 공급 할 경우 전기실 마다 설치된 지락 보호용 GPT의 증가로 영상 전류가 분류되어 연장 공급중인 변전실의 고압 배전계통 지락 보호용 67R의 영상전압 검출감도가 낮아저 계전기의 부 동작으로 CLR, GPT의 과열 및 소손 우려가 있음.

() 개선내용

- 변전실 고압 배전 선로에 대한 지락보호용 차단기의 확실한 동작을 하기 위하여 선택 접지 계전기(67R)를 유도형에서 동작 소요 전력이 작고 내진동성인 정지형으로 변경설치


(2) 변압기 저압측 FLX BUS 개선

() 현황 및 문제점 

TR의 고압측 단자는 후렉시블 부스로 설치되고 있으나, 저압측 단자는 하부에서 케이블을 직접 접속하도록 되어있어 TR의 진동 등에 의한 단자결속 이완 및 소음 증가.

() 개선내용

TR반 제작시 TR접속 후렉시블 부스(1,2)설치하여 진동 등에 의한 단자 결속 이완 및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각종 `PNL`에 수직 1m이내 CABLE 지지용 가대를 설치하여 케이블 처짐에 의한 사고발생 제거.


(3) 변압기 외함 규격조정

() 현황 및 문제점

- 신호용 TR반의 SIZE1000* 1500* 2350(W×D×H)으로 되어있어 변압기와 외함과

   의 이격거리 미확보

- 모든 TR반의 깊이가 1500(D)으로 되어있어 일부변압기의 경우 외함과의 이격거리 미확보

() 개선내용

- 신호용 TR반의 SIZE1300* 1800* 2350(W×D×H)으로 변경하여 변압기와 외함과의 이격거리 확보

- 모든 TR반의 깊이를 1800(D)으로 변경하여 모든변압기와 외함과의 이격거리 확보


(4) 변압기 용량변경

() 현황 및 문제점

- 00역사 동력용 변압기 용량이 750KKVA×2대로 설계되어 있으나 기계설비 부하용량 증가, 지하1층 판매시설 신설, 외부 주차빌딩 신설등으로 변압기 효율등을 감안할 때 750KKVA는 용랑이 부족함.

() 개선내용

- 00역사 동력용 변압기 용량을 800KKVA×2대로 증설하여 기계설비 부하용량증가, 1층 판매시설 신설, 외부 주차빌딩 신설등으로 인한 설비용량 증설분에 대하여 변압기 효율등을 감안 800KKVA로 변경 설치함.


(5) 전기실 방화도료 및 방화막시공

() 현황 및 문제점

- 수배전반 하부 케이블 인입구 방화벽 재료가 뻬크라이트 되어있어 화재시 확산을 방지 할수 없음

- 전기실 인출구 및 피트내부의 케이블에서 화재 발생시 파급확산를 최소화 할수있도록 주요 기기간 방화벽 설치가 되어있지 않음.

() 개선내용

- 수배전반내부의 케이블에서 화재 발생시 파급확산를 최소화 하기위하여 수배전반하부 인입구에 취부되어 있는 빼크라이트를 제거하고 내화재로 방화벽(두께50,1시간 내화기준)을 설치하여 화재확산을 최소화 하였다.

- 인출구 및 피트내부의 케이블에서 화재 발생시 파급확산를 최소화 하기위하여 피트내에 내화재로 방화벽(두께100,1시간 내화기준)을 설치하여 화재확산을 최소화하였다.

- 수배전반내 단말 처리재 부분에서 하부로 2m가량 방화도료 도포하여 화재 확산을 최소화 하였다.


(6) RTU용 배관시공

() 현황 및 문제점

- 전기실 RTU제어선이 고압피트와 공동으로 포설되어 유도전압에 의한 오동작 발생할 소지가 있음.

() 개선내용

- 전기실 트랜치구성시 RTU제어선과 고압 CABLE이 함께 포설되지 않도록 별도 배관을 매설 유도전압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격하여 시공 하였음.



.전력간선 설비

(1) 노출 트레이구간 케이블 규격변경

() 현황 및 문제점

- 노출 케이블트레이구간(터널환기실 동력간선) 케이블이 일반용 CV게이블로 설계되어 있어 화재발생시 케이블 소손될 우려가 있음.

() 개선내용

- 노출 케이블트레이구간(터널환기실 동력간선)은 일반용 CV게이블에서 난연용케이블로(F-CV)로 변경 포설하여 화재발생시 케이블 소손을 최소화 하였음.


(2) 고압 및 저압 배관 분리

() 현황 및 문제점

- 고압냉동기 간선배관이 저압 PULL BOX를 공동 사용하도록 설게되어있으나 고저압 공유시 유도장애등 문제점이 발생됨.

() 개선내용

- 고압냉동기 간선배관과 저압간선 배관을 분리 배관하였으며 PULL BOX를 추가 설치하여 고.저압을 분리하여 유도장애등 문제점 차단 시공하였음.



.동력 설비

(1) MCC반 상부 케이블덕트 설치

() 현황 및 문제점

- MCC반 상부 케이블덕트 설치MCC반 상부 케이블덕트 설치가 되어있지 않아 전면 케이블 덕트에서 배관배선이 용이하지 않음.

() 개선내용

- MCC반 상부에 케이블덕트(D:600 ×H:300)를 설치하여 하부로부터 인출된 케이블 원활하게 처리함.



.전등 및 전열 설비

(1) 기능실 회로 보완

() 현황 및 문제점

기능실(역무실,발매기실,창고등)전등회로 일부가 일반회로인 A.B회로에서 분기되어 있어 조명제어에 의거 영업종료후 근무자 상주구간인 기능실에 전등이소등됨.

() 개선내용

기능실(역무실,발매기실,창고등)전등회로 중 일반회로인 A.B회로에서 분기된 전등회로를 비상조명인 C회로에서 분기 조명제어에 의거 영업종료후 소등되더라도 근무자 상주 구간인 기능실에서는 소등되지 않고 S/W로 소등하게됨.


(2) 화장실 조도 개선 

화장실 문화를 개선코자 화장실 고급화 계획에 의거, 기준조도를 상향조정하고 조명기구 형식을 고급화하였다.

() 시설현황

구 분

당 초

개 선

기준 조도

150[Lux]

300[Lux]

세면기 상부

직부 노출 (FL 1/32W)

벽부 노출 (IL 60W)

매입하면 개방 (FL 1/32W)

직부 매입 (FL 1/32W)

조명 박스, 그릴 설치

대변기 상부

매입하면 개방 (FL 1/32W , 2/32W)

다운 라이트 (FUL 18, 20, 23W)

다운 라이트 (FUL 18W)

화장실 조명

매입하면 개방 (FL 2/32W)

다운 라이트 (FUL Type)

() 개선 내용

화장실 조도 : 300[Lux] 이상 고급화장실 수준으로 향상하고, 밝고 부드러운 조명등을 설치 쾌적한 화장실 환경 조명

세면기(소변기) 상부조명등 : 조명박스를 설치한 후 직부형 형광등(FL 1/32W)로 설치

대변기 상부조명등 : 화장실내는 매입 다운라이트(FUL18W)로 설치


(3) 고효율 조명기구 설치

국가에너지 절약시책에 부응하여 1호선 조명등을 에너지 등급이 높은 고효율 형광등으로 개 선하였다.

() 시설형황

구 분

개 선 전

개 선 후

비 고

안정기규격

FLR 40W 3등급

FLR 32W 2등급(한전 고마크)

 

형광램프 규격

32mm

26mm 슬림형

 

광속

2,650 lm

2,900 lm

 

광 효율

57 ~ 61 lm/w

90.5 lm/w

 

연색성

단파장

삼파장

 

    

                         - 한국전력공사의 고효율 조명기기인정표시 사용승인(“마크 취득품)을 득하고 에너지관리공단의 고효율 기자재 인증”(2등급 이상)을 받은 제품사용.

 

                          고효율 조명기기 보급지원제도 활용

- 정부정책사업(산업자원부)으로 에너지절약을 유도하기 위하여 고효율 조명기기를 확대

보급키 위한 제도로 당감리단에서도 이를 적극활용 한국전력공사에서 시행중에 있음.


(4) 터널콘센트 배관 규격변경

() 현황 및 문제점

터널벽면에 전기,신호 통신용 케이블트레이가 설치되어 있고 전기 터널콘센트 배관과 교차되게 되어있으나 콘센트 배관규격이 강관28로 설계되어 건축한계선에 저촉됨.

() 개선내용

전기 터널콘센트 배관 규격을 강관 22로 변경 시공하여 건축 한계선에 저촉되지 않도록 조치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