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 선로의 무가압 섹션에 대하여
1. 서론
전차 선로의 급전 계통을 구분하여 전차 선로의 일부분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일상의 보수 작업을 위하여 정전 작업의 필요가 있을 경우 등에 급전 정지 구간을 한정하고 팬터그래프의 접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전차선을 전기적으로 구분하는 장치를 구분 장치 또는 섹션(Section)이라 한다.
2. 구분 장치의 설치 위치
전차선의 전기적 구분 장치는 운전의 보안 확보, 선로 운용, 급전 계통 운용 및 보수를 고려하여 다음의 장소에 설치한다.
① 신호기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Section 직하에서 팬터그래프가 정지하는 것을 피한다.
② 상구배, 역의 발차 지점 부근 등의 역행 구간은 피한다.
③ 보수면에서 곡선, 터널, 교량 위 등은 피한다.
3. 구 분 장치의 구비 조건
① 충분한 절연성을 가질 것
②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이 없을 것
③ 가볍고 기계적 강도가 클 것
④ 그 구간을 운전하는 열차의 속도에 대응할 수 있을 것
4. 무가압 섹션의 구성
교류 구간에서는 인접 변전소의 급전 전압 상호간의 위상이 서로 다른 것이 보통이므로 이 서로 다른 위상을 구분하기 위한 무가압 섹션이 설치되며 이것은 계통 구분에도 사용된다.
이섹션의 길이는 열차의 속도, 아크의 길이, 팬터그래프의 간격 등에 의해서 결정되며 8[m], 22[m], 40[m], 60[m]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상 구분용 섹션은 무가압 섹션, 사구간, 데드 섹션, 절연 구분 장치 등으로 불리운다. 무가압 섹션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에어섹션이나 애자형 섹션을 인접하여 2개소에 설치한다.
② 절연 강화목 또는 FRP를 길게 연속하여 사용한다.
5. 무가압 섹션의 구성도
6. 교류 급전 계통
교류 변전소에서 방향별로 급전하는 경우 M상과 T상은 위상이 다르므로 변전소와 급전 구분소 앞에 전차선에는 무가압 섹션을 설치한다.
7. 결론
일반적으로 교류 전기 철도 구간은 역이 많고 구내 배선이 복잡하므로 방면별 이상 급전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변전소, 급전 구분소 직전의 본선에 목재 또는 FRP재의 이상 구분용 섹션을 설치하고 있다.
전기차는 이 섹션 개소를 노치 오프(Notch Off)로 통과한다. 고속 전철의 경우에는 속도가 200[km/h] 이상의 고속이므로 본선에서는 에어섹션을 2개소에 인접하여 설치한 이중 절연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 선로에 사용하는 피뢰기의 종류와 특성 (0) | 2017.04.10 |
---|---|
전차 선로의 가고 (0) | 2017.04.10 |
전차 선로의 자동 장력 조정 장치 (0) | 2017.04.10 |
전차 철도용 섬락 보호 지선 방식의 원리 및 시설 방법 (0) | 2017.04.10 |
전차선 높이 및 구배의 기준 (0) | 2017.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