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 선로에 사용하는 구조물의 종류
1. 서론
전기 철도에서의 구조물은 변전설비와 전차 선로 설비를 구성하며 각종 전선과 그 부속물 등을 지지하는 설비를 말한다. 전차 선로의 구조물은 그 특성상 열차가 운행하는 선로 위에 시설되어 전기차를 운행 하도록 하여야하는 특수한 목적의 구조로 되어 있다.
2. 구조물의 종류 및 특성
1) 전철주
전철주는 가공 전차 선로를 지지 또는 인류하기 위한 설비를 말하며, 가동 브래킷, 빔, 지선 등과 조합하여 사용하며 콘크리트주, 철주, 목주 등을 사용하고 있다.
(1) 콘크리트주
전차 선로에 사용하는 콘크리트 전주는 원심력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주를 사용하고 있으며, 철근에 인장을 걸어 만든 프리텐션 콘크리트 전주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2) 철주
전차 선로의 지지주에는 콘크리트 전주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 건설되는 선로는 고가 및 교량, 터널로 건설되므로 조합 철주, 강관주 또는 H형강주 등을 사용한다.
2) 전철주 기초
전철주를 대지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비를 말하며, 전철주 기초에는 근가 기초, 쇄석 기초, 콘크리트 기초,
특수 기초 등이 있으나 전철주의 대표적인 기초는 기계화 시공시 원형 콘크리트 기초, 인력 시공시 4각 콘크리트 기초로 시공한다.
3) 빔(beam) 전철주와 조합하여 전차선과 급전선 등을 지지하기 위한 강 구조물을 말하며, 고정식, 가동식, 스팬선식이 있다. (1) 고정식 궤도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전주를 세우고 궤도와 직각으로 강재를 조합한 브 래킷 또는 빔을 설치하고 이것에 전차선을 조가하는 방식을 고정식이라 한 다. 고정식에는 고정 브래킷, 크로스 빔, 문형 고정 빔(평면 빔, V형 빔, 사 각 빔, 강관 빔) 등이 있다. (2) 가동식 빔을 선로 방향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방식을 가동식이라 한다. 가동식에는 단독주에 설치하는 가동 브래킷이 있다. (3) 스팬선식 고정식 문형 빔 대신에 전선을 양측 전철주에 가선하고 이것에 합성 전차선을 지지하는 방식이다. 스팬선 빔 방식은 주 스팬선, 보조 스팬선으로 구성된다. 4) 지선 전차선, 급전선 등이 전주에 인류되면 인장력 및 수평 장력이 작용하므로, 그 인장력 또는 수평 장력에 의하여 전주가 경사 또는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설비를 지선이라 한다. 지선의 종류는 단지선, V형 지선, 2단 지선, 수평 지선, 궁형 지선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차 선로용에 사용하는 지선은 V형 지선을 많이 사용한다. 5) 완철 전주 또는 고정 빔 등에 취부하여 급전선, 부급전선, 보호선 등을 지지 또는 인류하기 위한 구조물을 완철이라 한다. 6) 하수강 전주의 건식이 곤란한 개소에서 고정 빔이나 터널의 천정에 브래킷, 곡선 당김 장치 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물을 하수강이라 한다. 7) 평행틀 전차선 평행 개소 등에서 1본의 전주에 2개의 가동 브래킷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평행틀이라 한다. 3. 결론 가공 전차선, 급전선, 보호선 및 그 부속물을 지지하고 있는 설비 전반을 전차선로의 지지물이라고 한다. 지지물을 구성하고 있는 주된 재료는 PC 콘크리트주, 철주 등이 있으나 최근에는 PC 콘크리트주의 생산 중단으로 신설되는 선로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고가, 교량 등에는 조립 철주를 사용하고 토공 개소는 H형 강주, 강관주를 사용하고 있다. 고정 빔은 V형보다 4각 빔으로 시설하며, 지선의 재료는 아연 강연선, 강봉을 사용하고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 경간과 전주 건식 위치에 대하여 (0) | 2017.04.11 |
---|---|
전차 선로에 사용하는 구분 장치의 종류와 사용 구분에 대하여 (0) | 2017.04.11 |
급전선 및 보호선을 동선과 알루미늄선을 사용할 경우 (0) | 2017.04.11 |
전차 선로에 사용하는 지선에 대하여 (0) | 2017.04.11 |
전차 선로에 사용하는 피뢰기의 종류와 특성 (0) | 2017.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