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치신호기의 정위)
상치신호기의 정위는 다음과 같다.
1. 장내․출발․엄호신호기:정지신호 현시
2. 유도신호기:신호를 현시하지 않음
3. 입환신호기:정지신호 현시
4. 원방신호기:주의신호 현시
5. 폐색신호기
가. 반자동 폐색신호기:정지신호 현시
나. 자동폐색신호기
(1) 복선구간의 경우:진행을 지시하는 신호 현시
(2) 단선구간의 경우:정지신호 현시 다만, 폐색취급(폐색표시등에 점등)을 하였을 때에는 진행을 지시하는 신호의 현시
6. 복선 자동폐색시행구간의 장내․출발 및 반자동 폐색신호기
가. 주본선에 소속된 것:진행을 지시하는 신호의 현시. 다만, 특히 지정하거나 폐색방식을 변경하여 대용폐색방식 또는 전령법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정지신호 현시
나. 부본선에 대하는 것:정지신호 현시
(신호기 암의 모양 및 색깔)
완목식 상치신호기의 암(완목)은 신호기의 앞쪽에서 보아 신호주의 좌측으로 설치하며 신호기 암의 모양 및 색깔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장내신호기, 출발신호기 및 입환신호기
가. 모양:긴사각형
나. 색깔:
앞면 - 적색으로 하고 신호기암 끝부분에 백색선 1선을 세로로 그음
뒷면 - 백색으로 하고 신호기암 끝부분에 흑색선 1선을 세로로 그음
2. 원방신호기 (통과신호기를 제외)
가. 모양:화살깃 형
나. 색깔:
앞면 - 등황색으로 하고 신호기암 끝부분에 흑색선1선을 그음
뒷면 - 백색으로 하고 신호기암 끝부분에 흑색선 1선을 그음
3. 통과신호기
가. 모양:나팔형
나. 색깔
앞면 - 등황색으로 하고 신호기암 끝부분에 흑색선 1선을 세로로 그음
뒷면 - 백색으로 하고 신호기암 끝부분에 흑색선 1선을 세로로 그음
(상치신호기의 뒷면등)
상치신호기의 뒷면등(燈)은 다음 각 호의 방식에 의하여 신호현시의 상태를 표시한다.
1. 완목식 장내신호기․출발신호기 및 입환신호기
가. 정지신호를 현시하였을 때:큰 백색등
나. 진행신호를 현시하였을 때:작은 백색등
2. 등열식 입환신호기
가. 정지신호를 현시하였을 때:소등 (燒燈)
나. 진행신호를 현시하였을 때:백색등 1개
3. 완목식 원방신호기
가. 주의신호를 현시하였을 때:큰 백색등
나. 진행신호를 현시하였을 때:작은 백색등
(상치신호기의 배열)
①동일선로에서 분기하는 2이상의 선로에 대하여 동일 종류의 상치신호기 2이상을 동일 지점에 설치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1. 신호기를 병렬로 설치한 경우에는 맨 왼쪽에 있는 것은 맨 왼쪽의 선로에 대하고 이하 순차 오른쪽의 선로에 대하여 사용한다.
2. 신호기를 동일주에 상하로 설치한 경우에는 맨 위에 있는 것은 맨 왼쪽의 선로에 대하고 이하 순차 오른쪽 선로에 대하여 사용한다.
3. 맨 위에 설치한 신호기는 가장 주요한 선로에 대하여 사용한다.
②열차의 진입 또는 진출하는 선로를 구분하여 2이상의 장내신호기 또는 출발신호기를 설치한 경우에 장내신호기는 맨 바깥쪽의 것으로 부터 출발신호기는 맨 안쪽의 것으로부터 순차 제1,2 등의 번호를 붙여서 이를 구별한다.
③제2항의 신호기로서 그 취급에 관하여 특히 필요있는 경우에는 따로 이를 지정한다.
신호기의 배열
가. 동일주(柱)에 상하로 설치한 경우
나. 맨 위에 설치한 경우에는 최주요선로에 사용
다. 2이상의 출발 및 장내신호기설치시 번호부여방식
- 장내신호기 : 용산역 경원선의 예
- 출발신호기 : 구로역의 예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환신호중계기 (0) | 2017.04.20 |
---|---|
중계신호기 (0) | 2017.04.20 |
신호현시방식 (0) | 2017.04.20 |
상치신호기의 종류 및 용도 (0) | 2017.04.20 |
자동폐색신호기의 설치 (0) | 2017.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