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선)

전원 및 제어회선은 국제규격(IEC)제품을 사용한다. 다만 폐색회선, 신호원격제어회선, 집중제어회선 등은 통신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ATC궤도회로 제어회선은 한국철도표준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고속선의 경우에는 별도로 정한다.

회선은 꼬임이 없이 가지런히 배열하고 부식 또는 손상의 우려가 없어야 한다.

교류전철구간의 회선은 전차선 유도에 의하여 기기가 오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회선 보호관)

트로프 또는 전선관 등 회선 보호관은 비틀림이나 파손된 것이 없도록 하고, 쥐 또는 뱀 등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호조치를 한다.


(표시)

전선로에는 다음 각 호에 알맞은 표시를 선명하게 유지한다.

1. 회선은 가지런히 유지하고 전선 끝 부분에는 선 이름표에 회선명, 기기명 등을 기입한다.

2. 보호관은 회선의 매설, 횡단, 접속개소에는 매설표를 설치하거나 보호관에 적색페인트로 해당 표시를 한다.


(전선로의 도체저항)

전선로의 전원전압은 부하가 변동할 경우에도 기기 단자전압이 규정하는 범위내에 있도록 도체저항을 감안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단자)

신호회선에는 다음과 같이 용도에 알맞은 단자를 설치한다.

1. 신호계전기실 : 신호용 접속단자(AC220V/110V,DC60V, DC24V), 터미널블록 또는 5단자

2. 현장 : 터미널 블록 또는 5단자


(가청주파수 궤도회로 등의 유도방지)

AF궤도회로, 건널목제어자의 송착전케이블 등 상호 유도에 의하여 방해전압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케이블 상호간 또는 심선 상호간의 배열에 유의하여 오작동하지 않도록 설비한다.

 

  

(신호정보분석장치)

신호정보분석장치는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장치와 신호보안장치 동작상태를 모장치로 전송 또는 저장하는 검지장치로 설비한다.

신호정보분석장치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건널목경보장치용

2. 궤도회로장치용(AF 및 임펄스)

분석장치는 사업소(운전취급소)또는 주재실에 설치하며, 검지장치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1. 건널목경보장치용 : 건널목제어유니트함 내부

2. 궤도회로장치용 : 해당 궤도회로 설치구간

 

(열차번호인식기)

열차번호인식기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설비한다.

1. 한 선구에서 둘 이상의 선구의 분기지점을 운행중인 열차가 정해진 행선지와 다른 방향으로 진입할 우려가 있는 개소와 특별히 설치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개소의 양역의 조작판에 설치한다.

2. 열차번호는 양 역의 조작판에 동일하게 표시되어야 하며 열차가 분기지점에 접근하였을 때 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설치 위치)

기구함류는 선로변 외측의 안전한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로 그러하지 못할 때는 충분히 안전을 고려하여 적절한 장소를 선택하여야 한다.


(재질)

기구함류의 재질은 부식에 대한 강도가 높은 것으로 한다.

 

(기초)

연약 지반이나 토사 붕괴의 우려가 있는 곳에 설치할 때는 그에 대한 보강을 충분히 하여야 한다.

 

(방수)

기구함, 접속함 내부의 누수가 없어야 하고, 필요한 경우 결로방지형으로 설치한다.

 

  

(쇄정 해제 스위치)

고속선의 역 구내는 관계되는 일정 진로를 구분하여 구역별로 쇄정해제스위치(LCS)를 설치한다.

쇄정해제스위치는 진입하고자 하는 진로의 시점 마커에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역 구내 방호스위치)

고속선의 역 구내 방호스위치는 같은 용도의 스위치를 선로 양쪽에 모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각각의 방호스위치 기능을 하나로 실행할 수 있는 통합 방호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다.

스위치 취급 시에 관계되는 구역을 표시하여야 한다.

 

(폐색구간 방호스위치)

고속선의 폐색구간에는 폐색구간 방호스위치를 설치해야 한다.

폐색구간 방호스위치 개소에는 폐색구간 방호스위치 표지를 부착하여야 한다.

 

(승강장비상정지버튼)

전동차 운행구간의 정거장에는 승강장 비상정지버튼을 설치해야 한다, 다만 스크린도어(PSD : Platform Screen Door)가 설비된 정거장은 설치하지 않는다.

 

(안전스위치)

일반철도구간의 1이상의 터널 내에는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 스위치를 전환하면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열차를 정지 시킬 수 있는 안전스위치를 궤도회로 경계지점 부근에 설치한다.

궤도회로 경계구간이 터널 내에 없는 경우에는 가까운 궤도회로 경계구간에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 Recent posts